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자 인식론의 미학적 사유 -장자와 칸트의 대상인식을 중심으로-

        신정원 ( Shin Jungwo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5

        본 논문에서는 장자철학에 나타난 미학적 사유를 살피고 도(道)의 실현에서 상상력의 발현과 예술적 자유로움의 의미를 연구하고자 한다. 장자는 인식 주체의 자의성이 가진 한계를 벗어나 도라는 우주 본원의 가치에 이르고자 하였는데 그러한 인식은 인식 주체 간의, 주체와 대상 간의 자유로운 소통을 매개로 한다. 그리하여 인간의 육체나 정신을 초월하여 자연과 합일된 진정한 앎과 궁극의 자유의 경지에 이르고자 했다. 서양철학사에서 자연과 자유를 합치하려는 노력은 특히 칸트에게서 두드러진다. 그 노력이 그의 미학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자연과 자유의 합치는 진리와 도덕의 통일을 위한 시도이기도 하였다. 칸트의 미학에서는 자연과 자유가 합일할 뿐만 아니라 자연과 인간, 진리와 윤리, 나아가 보편과 개별, 객관과 주관이 합일한다. 미는 철학과 예술의 사이에 있으면서 독립적이고 추상적인 형식과 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보편적이고 객관적이면서 동시에 개별적이고 주관적이다. 생동적이며 감각적이고 구체적이기도 한 미가 어떻게 이성적이고 논리적이고 보편적인 철학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그 쉽지 않은 질문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를 장자철학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시발점이다. 장자의 인식론과 미학사상은 그의 철학에서 의미 있는 독창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장자와 칸트미학을 비교한 선행논문들은 상상력이나 심미 등을 다루고 있으나 그것들을 합목적성 및 도가적 인식론과 연결시킨 시도는 논자가 아는 한 거의 없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가 다루지 않은 장자의 진지(眞知) 추구를 예술 및 자유로운 유희와 연계시키고 칸트 미학의 주요 개념인 상상력과 합목적성과 비교하여 살펴볼 것이다. 특히 장자의 초월적 인식을 자연과 자유의 합일의지라는 측면에서 고찰하고 그 근저에는 자유로운 상상력과 예술의 경지가 있다는 점을 제시할 것이다. 장자와 칸트의 인식을 미학적 사유를 통해 비교하려는 본 논문의 궁극적 목적은 장자의 인식을 미학의 통합적 인식론의 발현과 연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것이다. This paper contemplates the manifestation of imagination and artistic freedom in realization of dao (道) by studying the grounds of aesthetics in the philosophy of Zhuangzi. Zhuangzi tried to reach the ultimate value of the universal origin, or dao being freed from the limitation of the cognitive subjects` arbitrariness. Its attainment can be mediated by unconstrained interactive communications among the cognitive subjects, and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objects. After all, he desired to realize true-knowing and eventual realm of freedom in perfect accordance with nature transcending human physical body and spirit. In Western philosophy, the attempt to accord nature and freedom was made especially by Immanuel Kant. 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his aesthetics. In Kantian aesthetics, nature and freedom can be unified as one. Furthermore it is a coinci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truth and morality,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and the subjects and the objects. Beauty exists in-between the philosophy and art then still has the property and form of independence and abstractness. It is both universal and objective while individual and subjective concurrently. How can this animated, sensible and even concrete beauty go together with the rational, logical and universal philosophy? The belief that we may be able to find a clue to answer to this difficult ques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Epistemology and aesthetical philosophy in Zhuangzi has originality and yet studies have rarely been made under this theme. The preceding researches to compare Zhuangzi and Kant have dealt with imagination and aesthetic appreciations; however, few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in depth to relate the purposiveness and Zhuangzi`s epistemology as far as I know. This paper will study Zhuangzi`s pursuit of true-knowing in association with art and free wandering by comparing imagination and purposiveness ― the major concepts of Kantian aesthetics. Particularly it will deliberate on Zhuangzi`s transcendental cognition in terms of its will to combine nature and freedom and suggest that free imagination and the realm of art are the ground for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paper is searching for the possible connection of Zhuangzi`s cognition to the realization of aesthetics` integral cognition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aesthetic cognition of Zhuangzi and Kant.

      • KCI등재

        노인의 운동참여 정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이윤표(Younpyo Lee),박수근(Su-keun Park),길재호(Jae-ho Khil),맹성호(Sungho Maeng),신정원(Jungwon Shin),정샘(Sam Chung) 한국발육발달학회 2018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ercis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Using the microdata of the elderly people surveyed in 2014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 extracted the subjects related to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The final 6,326 person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the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re significant causal factors in all pathways. Second, the degree of exercis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way of subjective health status to depression level, and the high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more depressed level.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운동참여도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심지은(Jieun Shim),박수근(Su-keun Park),길재호(Jae-ho Khil),맹성호(Sungho Maeng),신정원(Jungwon Shin),정샘(Sam Chung) 한국발육발달학회 2018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empiricall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exercise participation and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among the subjects who completed the survey of the elderly in 2014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0,178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ere selected as final analysis subjects. The research instruments set out in this study consisted of 11 items of successful aging including 5 item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1 item of exercise participation, including low disease and disability risk area,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maintenance area, and active participation area in lif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influence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nd the successful aging, and the representative participation of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ccessful aging.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affects successful aging, but the older the elderly,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tion of appropriate exercise in the socio -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can lead to successful aging through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