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메를로-퐁티의 코르푸스 현상학과 부르디유의 아비투스 사회학

        신인섭(Insup Shin) 한국철학회 2015 철학 Vol.0 No.123

        이 논증은 17세기 대승적 합리론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예찬과 그를 통해 재구성된 아비투스에 대한 사회학적 · 철학적 비판 사이의 조화를 찾는 시도이다. 이는 곧 조건과 원인이라는 과학 만능주의적 탐구로 환원되지 않는 메를로-퐁티의 ‘확장된 합리성’의 이념을 정립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여기서 우리는 부르디유의 비판적 사회학과 레몽 부동의 사회학적 인식론을 매개로 활용하고자 한다. 사회계급이 개인의 행위를 결정한다고 본 부르디유는 사회를 ‘사회적’ 행위자를 소외시키는 ‘시스템’이라고 비판하는 반면, 부동은 행위주체의 진정한 합리성이 실행되는 ‘콘텍스트’로 사회를 해석하면서 부르디유의 시스템을 교정하는 ‘방법론적 개체주의’를 제시하게 된다. 그런데 부르디유 사회학에서 아비투스의 논리는 역설적이게도 세계와의 실질적 관계 위에서가 아니라 어떤 문화에 동화되어버린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주체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메를로-퐁티의 신체도식 이론은 ‘세계로 열린 존재’의 중재로서 신체개념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메를로-퐁티의 확장된 합리성은 부르디유의 비판적 사회학과 부동의 사회학적 인식론을 잇는 교두보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find a harmony between Merleau-Ponty’s admiration of the Grand Rationalism and his reconstituted philosophical criticism against Bourdieu’s idea of Habitus. That is connected to setting up the idea of ‘extended rationality’ by Merleau-Ponty which could not be reduced to almighty scientism that solely pursues cause and condition. From this perspective, I would like to simultaneously utilize Bourdieu’s critical sociology and Boudon’s sociological epistemology as a medium. Bourdieu, maintaining that the social class determines an individual act, criticizes the society as a ‘system’ which alienates social agents(acted individuals). On the other hand, Boudon interprets the society as a ‘context’ where the authentic rationality is realized. He proposes the so-called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that is designed to rectify Bourdieu’s system. Paradoxically, in Bourdieu’s sociology, the logic of Habitus is rooted not in the relation with the world but in the subjectivity such as a social agent who is incorporated in a culture. On the contrary, Merleau-Ponty’s theory of body schema belongs to the concept of body as a vehicle of ‘Being opened toward the world’. In brief, the rationality extended by Merleau-Ponty will be a bridgehead between Bourdieu and Boudon.

      • 3D 아바타의 실시간 체형 변형에 관한 연구 : 메쉬모핑 기법을 이용한 아바타 및 아이템의 체험변형

        신인섭(Insup Shin) 한국HCI학회 200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2

        3차원 아바타 시스템에서 아이템들은 아바타의 체형마다 맞춰서 제작하여야 한다. 이러한 제작방식은 사업적인 측면에서 불리한점이 클 뿐만 아니라, 서비스하는 아바타의 체형, 종류와 같은 다양성 측면에서도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하기 어렵다. 다양한 체형의 아바타를 서비스하기 위해 제작해야 할 작업량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아바타의 체형을 최소한의 데이터 제작으로 표현가능 하도록 메쉬모핑(mesh morphing) 기법을 활용한 3D 아바타 체형변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바타의 기본체형과 변형될 체형을 토대로 실시간으로 표현할 수 있는 중간체형을 생성하는 방법과 기본체형에 맞게 제작된 의상, 헤어스타일, 신발 등 아바타 아이템 들을 중간체형에 맞도록 자동으로 변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면, 새로운 체형의 아바타를 도입하더라도 기 제작된 아이템들의 추가 제작 없이 새로운 체형에 맞는 아이템을 서비스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새로운 체형의 표현 방법이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식임을 보여준다. All items from the 3d avatar system should be made to fit the avatar s physical form. However this method is not only a disadvantage in an economical perspective, but also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client's needs of avatar's variety form. To provide various forms of the avatars, the work load naturally increases. This research is about changing the 3d avatar's body shape based on 3d mesh morphing which allows the 3d avatar with smallest data possible. The result mesh could be generated from source and target mesh with the deformation ratio and all 3d items like hair style, pants, shoes and etc. which was made to fit to basic mesh also could be deformed automatically, to fit them to the result mesh as is. Even if the different physical avatar mesh body such as children style is added to 3d avatar system, it is not necessary to make the 3d avatar items which is fit to the new physical body. New avatar mesh body will be adopted to the 3d avatar system in real time.

      • KCI등재

        프랑스현상학의 지형도 형성 및 현황에 대한 유형별 고찰

        신인섭(Shin, insup) 한국현상학회 202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90 No.-

        오늘날 프랑스현상학은 세 가지로 분류되는데 첫째 후설의 의식 중심의 선험적 관념론, 둘째 주체와 세계 사이의 조응이 요구되는 동위협력 현상학, 셋째 ‘주어진 바’(소여)를 중시하는 제 3세대의 실재론적 현상학이 그것들이다. 이같이 분류하게 됨은 현상학의 이해에 있어 핑크(20세기 전반)와 파토치카(20세기 후반)에 의해 블렌딩된 후설과 하이데거 사상이 모종의 역할을 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후설현상학을 독창적으로 변주한 막스 셸러의 공감의 현상학이 이바지했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스펙트럼을 통해 21세기의 세계 현상학계를 주도하는 프랑스현상학자들의 면면을 밝혀내고 있다. Today, French phenomenolog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Husserl's transcendental idealism centered on consciousness, second,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coordination that requires a collabor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world, and thirdly, the realist phenomenology of the third generation that emphasizes the given(le donné). This classification is maybe due to the role of Husserl and Heidegger's ideas blended by Fink (early 20th century) and Patochka (late 20th century) in understanding phenomenology. Furthermore, it cannot be denied that Max Scheller's phenomenology of empathy contributed to Husserl's original variation. Along with this spectrum, our study revealed the face of the French phenomenologists in the 21st century who lead the world phenome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