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사 ‘순전’의 의미 고찰

        신은수(Shin Eunsu) 한국언어문학회 2009 한국언어문학 Vol.7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Sunjeon', which is the root form of the adjective form 'Sunjeonhada', as an independent two-syllable Korean adverb, and to examine its lexical meanings. First of all, this paper researches how two-syllable Sino-Korean roots from the adjective form of 'X-hada' are categorized, and how 'Bunmyeong' that has the same trace as 'Sunjeon' is classified. This paper addresses the various meanings of 'Sunjeonhada' and 'Sunjeonhi' respectively in diachronic linguistics. 'Sunjeon' is the '-hi' omitted form of 'Sunjeonhi', the adverb form which is derived from 'Sunjeonhada'. 'Sunjeonhada' means 'purity or completeness' and 'only N, or all N'. Originally, 'Sunjeonhi' had the meanings of 'purity or completeness' and 'only N/VP or all N/VP'. Meanwhile, 'Sunjeonhi' as 'purity or completeness' has not been spoken since the latter 20th century. Compared to 'Sunjeonhi', 'Sunjeon' takes meanings of 'only N/VP or all N/VP'. 'Sunjeon' is widely used in spoken Korean.

      • KCI등재

        동사 ‘녹다’에 대한 통시적 고찰

        신은수(Shin, Eunsu)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5 No.-

        이 논문은 15세기 ‘녹다’의 통사 · 의미를 살피고 통시적 변화를 기술한다. 아울러 15세기 ‘녹다’의 의미 관계, 통시적 의미 확장 양상, ‘녹다’의 의미특성을 밝힌다. ‘녹다’는 15세기부터 ‘NP이 녹-’, ‘NPpl이 (서르) 녹-’, ‘NP1이 NP2에 녹-’ 구문을 보인다. 통시적인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전반부터 ‘NP이 녹-’ 구문에서 ‘NP’에 사람명사가 쓰인다. 둘째, 15세기에는 복수 주어 명사가 주로 ‘N1과 N2와’로 실현되지만, ‘N1N2’와 같은 병렬구조로 드러나는 예도 있다. 셋째, 15세기 ‘NP1이 NP2에 녹-’ 구문에서 ‘NP1’과 ‘NP2’는 추상명사가 대부분이다. 넷째, 20세기 전반에 ‘NP1이 NP2에게 녹다’ 구문이 보이는데, ‘NP1’과 ‘NP2’는 사람명사이다. 15세기에 ‘녹다’는 [액체화]를 기본의미로 하여, [소멸화], [융합화], [원형화]라는 파생의미를 갖는다. 여기에 18세기에 [현혹화]라는 의미가 추가된다. 통시적으로 ‘녹다’는 논항 명사가 확장되고 개별의미가 늘어난다. ‘녹다’의 의미특성은 문맥, ‘노가 V’ 구성, 비유 표현 등을 통해 살폈다. ‘녹다’는 [액체화] 라는 의미를 갖는 거의 유일한 동사로, 주로 [변화], [소멸] 동사와 유의관계를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syntax structure and meanings of "nokta" in the 15th century and to examine its syntax structure and meanings diachronically. Also this paper is to examine relations of its meanings in the 15th century, and extension of its meanings, a characteristics of meaning. "nokta" basically has a syntax structures of "NP-i nokta", ‘NPpl-i (seoreu) nokta’, "NP1-i NP2-e nokta"(NP1․NP2: abstract noun) in the 15th century. By the way "NPpl" appears in form of "N1N2" on "NPpl-i (seoreu) nokta" in the 15th century. Also new sentence structure, "NP1-i NP2-ege nokta"(NP1 · NP2: human noun) appears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NP" of "NP-i nokta" is human noun in this time. "nokta" has the four meanings of [become a liquid], [disappear], [become one], [keep its original form] in the 15th century. "nokta" has many senses with this meanings as the center. It has more meaning of [be seduced] in the 18th century. And "nokta" has the semantic features of [disappearance] and [change].

      • KCI등재

        행위주 하강 동사 ‘내리다’ 연구

        신은수(Shin Eunsu) 한글학회 2019 한글 Vol.- No.324

        이 논문은 현대국어 행위주 하강 동사 어휘 체계 안에서 ‘내리다’가 갖는 하강 의미 특징과 위상을 밝혔다. 먼저, ‘내리다’가 탈것에서의 하강 의미를 가져 ‘오르다’와 온전한 대립 관계를 이루지 못함을 언급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특징은 ‘나다’에서도 발견되어 행위주 이동 동사 체계 안에서 일반성을 지니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행위주 하강 동사를 대상으로 장소 영역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살폈다. 행위주 하강 동사들의 ‘높은 곳’(출발점)과 ‘낮은 곳’(도착점)은 허공, 땅보다 높은 곳에서 지상, 바닥 등으로 다양하다. ‘내리다’류 복합어는 이와 같은 하강의 장소 영역에 폭넓게 쓰이는데, ‘내리다’는 거의 탈것에 한정되어 쓰인다. 또 행위주 하강 동사들의 행위주 하강 의미 빈도를 비교하고, 각 동사 안에서 행위주 하강 의미가 차지하는 비율을 살폈다. 행위주 하강 동사들 중 ‘내려오다, 내려가다’가 행위주 하강 의미 빈도가 높고, 동사의 전체 의미 중에서 행위주 하강 의미가 차지하는 비율도 높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mantic features of agent descent verb “naerida” and the status in the lexical structure of agent descent verbs. First of all, this study mentioned that the verb “naerida” does not have entirely oppositional relationship “oreuda”, as it is used in the descent from vehicles. This feature is also found in “nada”, which is regarded general in lexical structures of agent locomotion verbs. Next, study was done about how the location domain of agent descent verbs is realized. “A high place”(starting point) and “a low place”(arrival point) of agent descent verbs are various from the air, a higher place above the ground to on the ground, on earth, etc. While compound words whose meaning is “naerida” are usually used in the location domains, the verb “naerida” is used in the descent from vehicles. Thirdly, agent descent verbs were compared in terms of frequency of agent descent meanings, whose ratios were also investigated in each verb. The verb “naeryeooda” and the verb “naeryeogada” have more frequency of agent descent meaning than other agent descent verbs such as “naerida”, whose proportion is also higher.

      • KCI우수등재

        동사 ‘디다’에 대한 통시적 연구

        신은수 ( Shin¸ Eun-su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99

        이 연구는 15세기 ‘디다’의 통사 구조와 의미를 살피고, 이들의 통시적인 변화를 기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디다’의 통사 구조와 의미 변화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15세기에 ‘디다’는 주로 ‘NP이 디다’와 ‘NP1이 NP2에 디다’로 쓰인다. 주어는 대상 의미역으로 해석되는데, 사람이나 사물 명사가 모두 주어로 쓰일 수 있다. 그런데 사람 주어가 행위주 의미역으로 해석되는 예도 일부 존재한다. ‘NP2에’는 출발점이나 도달점, 기준점을 나타낸다. 15세기 ‘디다’는 크게 ‘하강, 소멸, 분리’의 의미를 지닌다. ‘디다’의 의미는 수직 이동과 수평 이동, 물리적 이동과 추상적 이동, 그리고 보편 하강과 특수 하강 등의 속성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디다’는 통시적으로 통사 구조와 의미가 축소한다. 20세기 후반의 ‘디다’는 ‘NP이 디다’와 ‘NP1이 (NP2에/로) 디다’가 쓰이고 있다. 주어 명사가 ‘꽃, 얼룩, 숨’일 때 ‘NP이 디다’가 쓰이고, 주어 명사가 ‘해·달’일 때 ‘NP1이 (NP2에/로) 디다’가 주로 쓰인다. ‘디다’는 역사적으로 보편 하강 의미가 근대한국어 시기에 사라지고, 특수 하강이나 소멸에 해당하는 의미가 꾸준히 이어져 왔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yntax structure and meanings of ‘dida’ in 15<sup>th</sup> century, study characteristics of its syntax structure and the change of meaning, and clarify its diachronic change. ‘Dida’ mostly was used ‘NP-i dida’ and ‘NP1-i NP2-e dida’ in the 15<sup>th</sup> century. Both human and inanimate noun could be subjects, which were translated into theme. Meanwhile, there were some cases that human subjects were translated into agent. NP2-e represented source, goal or criterion. ‘Dida’ meant descent, dissolution or detachment in the 15<sup>th</sup> century. The meaning of ‘dida’ were classified in details with the criteria of vertical movement & horizontal movement, physical movement & absolute movement, universal descent & specific descent. The syntax structure and meaning of ‘dida’ has decreased diachronically. ‘Dida’ was used ‘NP-i dida’ and ‘NP1-i (NP2-e/ro) dida’ in the late 20<sup>th</sup> century. In the case subject is such as flower, stain, breath, ‘NP-i dida’ is used. Whereas, when subject is such as sun, moon, ‘NP1-i (NP2-e/ro) dida’ is generally used, these days. The meaning of universal descent in ‘dida’ disappeared in the modernization of Korea, the meaning of specific descent or dissolution has been used consta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