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과 일본 사회의 인식

        신영숙(Shin Young Sook)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8 평화연구 Vol.16 No.1

        1951년 체결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과 1965년 한일협정은 전후 피해자 보상 문제에서 국가간 보상은 끝났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사회에서 199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제기된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세계적인 이슈로 자리매김하면서 전후 배상과 사죄를 요구하는 해결운동도 국제 사회가 공감,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국민기금’의 실상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일본의 사회적 인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일본을 정확히 아는 것이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당연히 필요할 것이기 때문이다. 1995년 7월 설립된 국민기금은 정부 예산과 국민 모금으로, 목표는 “‘군위안부’문제와 여성문제 해결”이라는 2개를 명기하고 있다. 실제 사업에서 한국, 네덜란드, 필리핀, 대만, 인도네시아 등 5개국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위로금 지급과 복지시설 설립 등을 운영, 실시하였다. 2007년 3월 기금은 최종적으로 해산되고 현재 디지털기념관이 운영되고 있다. 기금에 대한 평가는 일본 내에서도 성공적이었다고 강변하는 쪽과 실패하고 말았다는 의견이 크게 엇갈린다. 본 연구에서는 ‘기금’을 추진한 일본의 비교적 진보적이면서도 내셔널리리즘 입장의 정치인을 포함한 지식인들과 상대적으로 좌파 및 페미니즘에 경도된 지식인들의 기금에 대한 분명한 반대와 거부 입장이 대체로 크게 양분되어 있음에 초점을 맞추었다. 반대한 지식인들이 지적한 대체적인 문제점만 해도 다음과 같다. 1) 문제를 금전적 방법으로만 해결 하고자 함. 2) 반대를 표명한 피해당사자나 여성단체 의견을 일방적으로 무시함. 3) 국제 재판에 회부하려는 시민단체 등의 해결 운동을 무력화함. 4) 일본 내 입법에 의한 보상 해결방안을 봉쇄함. 5) 역사교과서 서술이나 역사적 교훈으로 삼는다는 목표도 실행하지 못함.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concluded in 1951 and th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in 1965, alluded that the compensation between these two countries for postwar victims has been over. But the matter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ho were forced to work as sex slaves) seriously claimed in Korea since the beginning of 1990s has been set up as a global issue and thus, there has been an overseas sympathy brought with political and social movements for postwar reparation and apologies.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actual state of ‘Asian Women’s Fund(AWF)’ and to consider Japan’s social recognition of the ‘Fund’. It needs to be the first consideration that we know exactly about Japan in order to solve our own problem. The ‘AWF’ established in July 1995 is based on the Korean Government budget and its people’s donations. Its objective is the settlement of both matters of wartim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nd women’s issues of nowadays. The ‘AWF’ played a role in making amends for the victims of wartime ‘comfort women’ in the five countries of Korea, the Netherlands, Philippine, Taiwan, and Indonesia. In this regard, it also has built and operated the welfare facilities. The ‘AWF’ was eventually dissolved on March 2007 and instead the Digital memorial hall is currently organized. There are two deep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fund who says that it performed well, whereas others say it failed. In this thesis, they are almost largely seperated into two stands of the comparatively progressive statesmen and intellectuals of the Japanese nationalism, who participated in ‘AWF’, and also the intellectuals of the (rather) socialism or feminism, who are placed at the definite attitude of the opposition, denial and resistance. The problems apparently revealed are as followed; 1) To fix the problem by the only monetary(consolation) way. 2) Ignore thoroughly the opinions of women(victims) and their organizations or parties who consistently professed opposition. 3) Cripple the movements and activities of Citizen groups who try to submit to International court. 4) Block the compensation plan in terms of the legislation in Japan. 5) Restrict the real descriptions of history textbooks and the historical lesson in school, etc.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아시아태평양 전쟁기 조선인 종군간호부의 동원실태와 정체성

        신영숙 ( Shin Young Sook ) 한국여성사학회 2011 여성과 역사 Vol.- No.14

        아시아태평양 전시기 일본의 종군간호부들은 충군애국 또는 가계보조라는 의무를 큰 부담 없이 내면화하여 자신의 헌신을 자랑스럽게 여기기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적십자사 구호간호부이지만, 육군, 해군 간호부의 지원도 그런 사회적 배경에서 이루어 졌다. 그들은 말 그대로 `백의의 천사`를 선망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실제 전장에 임한 그들의 생활은 너무나 엄혹하였고, 그들에게 요구된 역할은 감당하기 어려운 정도였다. 대체로 16, 17세의 어린 소녀들에게 강요된 어머니, 또는 누이로써의 역할은 육체적 정신적 피로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폭격과 부상병 간호, 사망자의 처리까지 실로 엄청난 일이었음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황군`의 간호부라는 미명 탓에 내색도 하기 어려운 처지였다. 결국 하나에서부터 열까지 그들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맛보았으며, 지금도 그 상처는 가시지 않고 있다. 식민지 조선이나 대만의 간호부들은 일본 간호부와 또 다른 처지였다. 이들은 적십자간호부, 육군간호부, 기타 임시간호부로 구분한다는 것이 그리 분명한 작업은 아니다. 일적간호부와 육군간 호부의 구분은 간호부 양성과 모집의 주체에 따른 것이지만, 그 역할이나 실제 전장의 생활에서는 그들 사이에도 별 차이는 없었다. 그만큼 전장이란 조건이 혹독하였기 때문이며 그런 점에서는 모두 피해자라고 하는 것이 마땅하다. 일본인 간호부나 구호간호부 등과 조선인간호부의 차별은 특히 임시나 단기로 종군한 기타간호부의 경우 자격, 임금과 근로 시간 등 처우문제, 업무 자체의 차별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그들은 당연히 주사, 투약 등 환자의 간호라는 본업과 빨래 등 보조 업무 상의 차별을 경험하였으며, 민족적 성적 계급적 차별을 알게 모르게 경험하기도 하였다. 그 중에서도 기타 임시간호부로 따로 구분한 것은 여성 자신이 알고 응했는가, 교육을 받고 간호부를 한 것인가 등의 차이로 편의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이들이 별도의 교육도 없이, 또한,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간호부의 역할을 다해야 했던 것이야말로 또 다른 강제동원의 피해라 할 수 있다. 당시 그들 사이에 별다른 차별을 느끼지 않았다 하더라도 종전 후 보상 등에서 아직도 큰 차별을 받고 있고, 귀국 후 모국에서의 상황도 힘들기만 하였던 것이다. 개인적인 처지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일본군의 협조자로 친일파처럼 지목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아직도 자신을 사회에 떳떳이 드러내기를 꺼려하고 있다. 이러 것도 그들의 생활에 적잖은 차별과 실생활의 어려움을 가중케 하는 것이다. 전장에서 부상병을 돌보고 간호하는데 몸을 아끼지 않은 것은 친일 또는 전쟁 협조 여부를 떠나 그 때 그 곳에서 사람이 해야 할 도리였을 것이다. 그들 스스로도 당시에 부상병을 치료하여 다시 전장에 내보낸다는 것이 잘 한 일인가 하는 의문을 갖게 되고, 때문에 전후 반전, 염전, 평화 의식이 싹트지 않을 수 없었다. 본 연구가 그들의 상처를 조금이라도 보듬고 치유하는 데 일조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War nurse is a general term for “nurses sent to the battlefield to attend on wounded soldiers”. During the second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the shortage of nurses were made up by new recruits from Japanese Red Cross and army volunteers, whose number and identities are not clear. One Japanese dictionary defined that nurses were called “angels in white” and nursing was one of honorable occupations for women. In principle, military nurses could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Red Cross relief nurses who had received trainings from institutions like the Red Cross, and nurses who were recruited into the army. But in this thesis, three groups are divided temporarily. 1) Red Cross Relief Nurse : Nurses in this category had pride as female professionals devoted to the authority of the Japanese Emperor and nation. Their spontaneity was encouraged on an institutional level. 2) Army Nurse : These nurses thought that their sacrifice as women in a patriarchical society was compensated by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mselves. They considered themselves proud members of the military and faithful (second grade) citizens of the Japanese Empire. 3) Temporary Nurse, Practical Nurse and Nurse Intern, etc. : These nurses were mobilized while in training. Many of them were inexperienced, but they could not resist the social imperative. Many temporary nurses (臨看) or hired women (傭人) were mobilized as reserve labor force. They were subject to discrimination at work and with regard to the social position, and had no guarantee for the status. Military nurses in colonial Choson were female professionals of a modern, but largely patriarchical society. They supported their families and had the chance to improve their social status. This, in addition to the pressure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motivated them to respond to the call for recruits without much hesitation. They also were mobilized under the name of “angels in white” and played a key role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Japanese doctors and wounded Choson soldiers. There were widespread discrimination in favor of Japanese nurses or relief nurses in training (education), wage, working hour and job description. In addition to the regular works of caring the sick, such as injection and drug preparation, they had to do the washing and other chores and experienced discrimination on the grounds of nationality, gender and class. The situation was even worse for those who had previously been ordinary army employees, such as `comfort women`, before they were incorporated as the temporary nurses. All of them are the poor victimes during the second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대한제국 시기 가부장제와 여성생활

        신영숙(Shin Young-sook)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1995 여성학논집 Vol.11 No.-

        While the Daehan Empire enacted some social reforms to eliminate the accumulated feudal contradictions, the imperialist invasion of world powers were accelerated, especially Japan seeking to colonize the Daehan Empire. Under these circumstances modernization in official and private sectors proceeded to such extent that women's lives changed dramatically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I researched the historical relation between society and women by studying the patriarchy in the Daehan Empire from the viewpoint of ideology and establishments and by scrutinizing corpus related women's real lives. At that time there were various women's problems: women's edu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family, and family life. I tried to grasp and explain the relating aspects between women's social activities and traditional patiarchy. Though the traditional feudal patriarchy was collasping, the transition to modern society was not easy. Feudal conventionalities still dominated moral values and social practices. At the same time efforts to overcome these practices were made. The foremost demand of that period was the development of national power and children's education for future. So, women's problems we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from the feminist point of view. Women's education was focused on producing good wives and wise mothers(賢母良妻) in a modern sense. It was recognized that women's position in the feudal patriarchy was the worst obstacle to the progress of history and the creation of new society. As a concequence, all of society became aware of women's role in society-women can, and should take part in the social activities as a citizen. That was the greatest of all social changes and the highest in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during the Daehan Empire. That also influenced social change and development. Owing to the limitation of awareness of women's problems, Korean feudal patriarchy was transformed, not destroyed. Women's movement had these difficulties, and yet for one reason or another, women were individually devoted to social movement. Women's involvement in the social movement in that period founded the succeeding women's movement-it has historical significance in women's movement. But they were not watched the especial women's rather than in the point of growing the national power for the nation's future. Of course the new consciousness of the women, that was the women were the lawful citizens and they performed their rules as possible as they could, broke out violently. The contemporary opinion and recognition was for it generally.

      • KCI등재

        일본의 `아시아평화국민기금(국민기금)`에 대한 한국사회의 대응

        신영숙 ( Shin Young-sook ) 한국여성사학회 2010 여성과 역사 Vol.- No.12

        본 연구는 일본의 `국민기금`에 대하여 한국 정부와 시민 단체, 그리고 무엇보다 피해 여성들은 어떻게 대응하였는가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국민기금`이 발족하고 償い金(한국 시민단체에서는 주로 `위로금`이라고 하였다)을 지급하면서 이를 둘러싸고 피해자끼리, 또는 피해자와 운동단체 사이에 내부적 갈등과 불신이 생겨났다. 이로 인한 분열과 대립, 갈등과 내홍의 양상은 현재도 일종의 트라우마와도 같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그 해소 방안이 절실하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피해자 여성의 개인배상 요구를 교묘하게 희석시킨 `국민기금`의 일본과 피해자 사이의 간극을 분명하게 드러냄으로써 국가, 개인주체 그리고 여성인권이 상호 어떻게 자리매김하는가에 대해 다각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국민기금으로 문제는 일단락됐다는 일본에 대해 국제 사회는 지금도 문제가 제대로 해결되지 않았다는 반응을 수시로 보이지만 눈에 띄는 성과를 얻어내지는 못한다. 더욱이 한국 정부는 일본에 대해 외교적 제스처를 반복하며 이 문제를 부차적인 것으로 치부하거나 이용하는 듯한 인상까지 준다. 그나마 기금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으로 생존자들에게 생활지원금을 비롯한 여러 복지 정책을 쓰고 있는 것은 다행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이 피해자들의 명예와 자존감을 충실히 보전한 것이라고 보기는 여전히 어렵다. 한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 관련 시민단체들은 국민기금에 대해 일관되게 적극적인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그 원칙을 지켜 왔다. 특히 국민기금에 대한 반대를 실천하기 위해 국제연대사업과 지원금 모금에도 일정한 성과를 올렸으며, 생존자들의 지지를 확보한 바 있다. 그러나 너무 원칙을 고수하느라 지나친 무리수를 두기도 하였다. 생존자들의 의견 수렴보다는 일방적인 실행과정에서 일부 피해자들에게 뜻하지 않은 마음의 상처를 주게 되는 부작용이 발생한 것이다. 이는 시민단체와 생존자 사이에도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결국 할머니들 간의 내분과 반목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국민기금을 놓고 피해당사자, 단체와 정부 등 사분오열이 심했던 것이다. 이야말로 이중의 불행이자, 비극이다. 일본의 `책임을 다했다`는 완강함에 피해자의 의견을 잘 수렴하여 가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시민단체일 것이다. 역사가 외면하는 현실에서 현명한 대응책을 찾기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다만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 설립과 역사 교과서에 사실을 잘 담아냄으로써 평화와 여성의 자존을 위한 교육, 즉 올곧은 역사인식 심어주기에 힘을 더 기울이고 쏟아야 할 것이다. 피해자, 아니 생존자 여성들도 후세의 젊은이들에게 반전 평화의식, 여성의 자존감과 인권 의식을 심어주는 것에 더 큰 힘을 쏟고 싶어 하지 않을까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sponses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ivic groups, and damaged women to the Japan`s Asian Women`s Fund (AWF). The AWF was created to compensate victims (償い金, Korea civic groups have labeled it as “comfort money”). However, there have been a series of internal conflicts and distrust between victims as well as with civic groups. This has caused major disruption, confrontation, conflict, and separation among the victims, only to compound to their trauma; hence, a resolution is urgent. This paper seeks to expose the gap between the victims and deliberate attempts by AWF to weaken women`s individual claims as victims as well as analyze various ways in which nations, individual subjects, and women`s rights are positioned. Japan attempts to put an end to this issue via the “AWF” has only raised concerns amo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Japan has yet to address the problem adequately with no noticeable outcome. Moreover, despite the repeated attempts by South Korean government to resolve this issue through diplomatic channels, the Japanese have treated this matter (or have given the impression) as a side issue. Although granting survivors financial and welfare support through the Korean National Fund is positive and encouraging, it is still difficult to gauge whether or not the honor and respect to the victims have been guaranteed faithfully. In response, the Korean Council for the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Jeongdaehyeop) and other related civic groups have consistently expressed opposition to the AWF and have maintained their position of honoring and respecting the victims. In particular, these groups have organized international solidarity campaigns, raising funds against the AWF. In effect, some of the survivors have supported the actions by these groups. However, some of the actions (e.g., maintaining to certain principles too strictly) have triggered adverse effects, prompting unexpected reactions, often inflicting pain on the victims. Certain campaigns by these groups have been organized around certain interests (e.g. one-sidedness) rather than listening to the opinions of the survivors. This lack of communication has been tragic both to civic groups and the survivors. As a result, this has triggered internal conflicts and disharmony among the victims (they are often called “halmoni” or “elderly” in Korean society), civic groups and the government. It is a real double misfortune and a tragedy for both sides. To tenaciously seek full “responsibility” from the Japanese and to stand in opposition seems like an endless battle. One way to end this stiff and delicate struggle, especially history, which ignores this reality, is to expend one`s energy in establishing a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include these oft-ignored facts in historical textbooks, while focusing on education which promotes peace and women`s self-esteem. Namely it could be more instructive to correct historical consciousness through these kinds of actions. I feel that the survivors who are not simply victims would want to instill the future generations of young people with a consciousness promoting peace, women`s self-esteem, and human rights.

      • KCI등재
      • 컴퓨터활용교육 2, 4 : 개정된 중등학교 7차 정보과목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도 조사 및 분석

        신영숙 ( Young Sook Shin ),노영욱 ( Young Uhg Lho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2

        개정 7차 정보과목은 컴퓨터 활용위주 교육에서 사고력, 문제해결능력을 증진 시키는 과학개념의 교과로 개정되어 2010년 중학교 1학년부터 적용되고 있으나 중등학교에서는 정보과목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2010년부터 교원평가제가 도입되어서 학부모가 학교 교육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시점에서 본 논문은 중·고등학생의 자녀를 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개정 7차 정보과목에 대한 인식 도를 조사 및 분석하므로 개정 7차 정보과목을 이해하지 못한 학부모들에게 개정 7차 정보과목을 이해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학부모의 입장에서 보는 정보 교육 대한 문제점과 의견을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정보과목이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으로 자리매김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