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대로 인한 우울 청소년의 학업중단위기 예방을 위한 학교미술치료 사례연구

        신성숙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7 임상미술심리연구 Vol.7 No.2

        This research aim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art therapy in reducing the depression of teenagers who are in danger of academic cessation due to domestic abuse and preventing the academic cessation itself.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female middle school student who was in danger of academic cessation because of physical and mental abuse by her mother and stepfather. The school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14 sessions in total, for 50 minutes a week in the educational welfare room, and a single follow-up management session to help to maintain the therapeutic change. We analyzed by conducting before-and-after studies using the MMPI-A and analyzed through the shape and content of the symbol presented by three times of free Mandala: the early, middle, final stage.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first, depression level has been reduced from 72 to 57 in the T-scope, and school problem has been reduced from 53 to 46 in the t-scope after the result of the MMPI-A study. Second, the following result of the free Mandala changed positively from the early stage to the final stage. In the beginning, gloomy spirit was expressed by drawing a blue color throughout the whole circle. In the middle of the stage, a healing bandage appeared to symbolize the wound of abuse were becoming in curable. In the last part, by expressing rainbow stairs that symbolize hope, the shape and content of the free Mandala changed positively. Based on this result,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the school art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depression level and school problems of an domestic abused teenager and it can be an effective direct-intervening method. 본 연구는 학교미술치료가 학대로 인한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우울감소와 학업중단위기예방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2학년 여아로서 모와 계부에 의한 신체적, 정서적 학대로 인해 학업중단위기에 있는 우울한 청소년이다. 학교미술치료프로그램 진행은 교육 복지실에서 주1회 50분씩 14회기를 실시하였고, 사후관리 1회기를 실시하여 치료 변화의 유지를 돕고자 하였다. 검사도구로는 MMPI-A를 사용하여 사전ㆍ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초기, 중기, 후기 3차례 자유만다라를 통해 표현된 상징을 형태와 내용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MPI-A 사전ㆍ사후 검사의 결과 우울(DEP)이 T점수 72에서 57로 감소되었으며, 학교문제(A-sch)는 T점수 53에서 46으로 감소되었다. 둘째, 자유만다라 그림에서 초기와 중기, 후기 단계별 그림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초기 원 전체에 파랑색을 그림으로써 우울한 마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었고, 중기 상처치유를 상징하는 반창고가 나타나 학대로 인한 외상의 치유가 되어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후기에서는 희망을 상징하는 무지개 계단을 표현함으로써 내용 및 형태의 상징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학교미술치료가 학대로 인한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문제 감소에 효과적이며 학업중단 위기에 중재 가능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관계외상 경험 우울 청소년의 자발적 그림그리기 중심 미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신성숙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0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사춘기 시기 관계외상 경험으로 우울한 청소년에게 자발적 그림그리기 중 심 미술심리치료를 적용하여 우울 감소와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으로 중학교 시기 집단따돌림 피해로 관 계외상을 경험한 개인 사례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진행은 학교상담실에서 주 1회 또는 월 2회에 걸쳐 매회기 50분씩 총 19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MMPI-A검사와 KSD(동적학교생활화)검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 한 그림의 변화를 관찰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MMPI-A검사 분 석의 결과 우울(D)이 감소되었으며, KSD검사에서 전체적인 인상과 내용에 있어서 학교 생활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 었다. 첫째, 자발적 그림그리기 중심 미술심리치료가 집단따돌림 피해로 인한 관계외상 청소년의 우울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발적 그림그리기 중심 미술심리 치료가 동적학교생활화(KSD)검사에 있어서 초기 혼자 있는 그림을 그렸으나 후기 친구 들과 어울리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행된 미술심리치료가 사춘 기 시기 집단따돌림 피해 청소년의 우울 감소와 학교생활의 변화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spontaneous drawing art psychotherapy in reducing the depression of teenagers who experienced relationship trauma and identifying changes in school life. The subject was a female adolescent experienced relationship trauma from school bullying during middle school. The treatment was provided for 19 sessions in total, for 50 minutes once a week or twice a month in the school counseling office. The program was analyzed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test, and MMPI-A test, KSD test were used as the evaluating instruments. Changes in each session are analyzed and describ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Depression level has been reduced after the result of the MMPI-A study, and the KSD test showed positive changes in overall impression and content about school life. Conclusion: 1) The spontaneous drawing of art psychotherapy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relationship trauma caused by school bullying. 2) The spontaneous drawing of art psychotherapy has shown a general changes from drawing of being alone in the early stage to a picture of hanging out with friends in the drawing of the Kinetic School Drawing (KSD) test.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art psychotherapy may be beneficial to reducing depression and changes in school life of adolescents victimized by school bullying.

      • 주일학교 초등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신성숙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5 교회와 사회복지 Vol.2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주일학교 초등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효과적이다’라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교회 사회사업 현장에 서 활용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의 미술치료에 대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다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객관화하여 분석하는 절 차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시에 위치한 교회 주일학교 초등부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각각 실험을 위한 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전 체20명의 아동들이며, 이들에게 주관적 안녕감에 관하여 사전조사 후 실험집 단에게 20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집 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매주 1회, 1시간 30분씩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집 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주일학교 초등부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t-test 분석하여 이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집 단 미술치료프로그램은 주일학교 초등부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효과적으로 검증되어 이를 다양한 교회안의 사회복지현장에서 활용할 것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to apply the program in church social work. As a methodology of the study, a sample group was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 conduct the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on Art Therapy. This result was compared with other control group’s result to objectively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otal 20 primary school children who are attending a Sunday school at 00 city w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10 children respectively. The preliminary inspection was about the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post inspection was conducted after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provide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n hour and a half, total 20 times.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who has and has not take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is study suggestes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an impa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rimary students attending a Sunday school and should be applied in church social work.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편광판 없는 공진기에서 λ/4-판에 의한 열복굴절 보상 및 TEM00모드 출력의 향상

        신성숙,장원권 한국물리학회 2004 새물리 Vol.49 No.3

        Thermally induced birefringence was successfully compensated and the beam quality of the TEM$_{00}$ mode was improved by placing a $\lambda$/4 plate into a plan - parallel continuous - wave high - power Nd : YAG laser resonator not containing a polarizer. From the non-polarized single - module resonator, a maximum multi-mode output power of 130 W could be obtained with an output coupler of 80 \% reflectance.As optical conversion efficiency, a slope efficiency, and the beam-quality factor the M$^2$ value were 38.3 \%, 58.2 \% and 26.7 \%, respectively. The TEM$_{00}$ mode oscillation obtained with a 1.2 mm - diameter aperture showed an output of 23 W, but inserting a $\lambda$/4 plate with a 1.5 mm aperture improved the output to 30.3 W. Inserting a $\lambda$/4 plate into a resonator without polarizer improves TEM$_{00}$ mode generation by 31.7 \% in the output power. 편광판 없는 다이오드 펌핑 평행-평판 고출력 연속발진 Nd : YAG 레이저 공진기에 \lambda$/4-판을 삽입하여 열복굴절을 보상하고 TEM$_{00}$ 단일모드 발진출력및 빔 질을 향상시켰다. 단일 모듈로 구성된 무편광 공진기는 80 \%의 반사율을 가진 출력경을 이용하였을 때 다중모드에서 최대 출력이 130 W였으며, 이때 광 변환효율은38.3 \%, 기울기 효율은 58.2 \%, 빔질 인자 M$^2$값은 26.7이었다. TEM$_{00}$ 모드의 출력을 얻기 위해 직경 1.2 mm의 개구를 공진기 내에 삽입하였을 때 얻은 출력은 23 W였으나, $\lambda$/4-판이 직경 1.5 mm의 개구와 함께 공진기 내에 삽입되어 얻은 출력은 30.3 W로 TEM$_{00}$ 단일모드의 출력이 31.7 \% 향상되었다.

      • KCI등재

        어머니 상실 경험으로 인한 PTSD 청소년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신성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5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 상실경험으로 인한 PTSD 청소년에게 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우울감소 및 자살생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2학년 남아로 어머니 상실경험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로 우울과 자살위험을 보이는 한 개인의 사례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진행은 2012년 9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주1회 60분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청소년 성격평가질문지 PAI-A검사와 투사적 그림검사인 HTP에서 나무그림(Tree)검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 검사를 분석하였고, 매 회기마다 그 변화의 관찰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PAI-A 검사 분석의 결과 우울과 자살생각이 감소되었으며, HTP검사 중 나무그림(Tree)이 긍정적 변화되어 나타났다. 이것을 바탕으로 결론을 다음과 같이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미술치료가 어머니 상실을 경험한 PTSD 청소년의 우울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미술치료가 어머니 상실을 경험한 PTSD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나무그림(Tree)에 있어 죽어있는 나무에서 수관이 풍성한 살아있는 나무로 변화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행된 미술치료가 어머니 상실을 경험한 PTSD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ed at measuring the effects of Art Psychotherapy in reducing DEP and SUI. The object was a male adolescent showing PTSD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d suicidal crisis coming from loss of mother. The treatment was provided for 20 sessions over 6 months from Sep. 2012 to Feb. 2013. Each session had 60 minutes once a week. Before and after each session, the tests were done. Each session the subject was observed and described in detail. The results were found between assessment and completion of treat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of PAI-A test showed the reduction of DEP. The analysis of SUI showed the reduction of SUI. The analysis of Tree-test showed the positive changes of self-image. 1) Art Psychotherapy made positive effects in reducing the teenager’s DEP. 2) Art Psychotherapy made positive effects in adjusting the teenager’s SUI. 3) Tree-test showed the change from dead tree to profusion of tree.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Art Psychotherapy may be beneficial to adolescents experiencing symptoms of PTSD and have considerable effects in the positive changes of DEP and SUI for teenag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