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Nature-inspired Adhesive Polymers for Cardiovascular Applications

        Mikyung Shin(신미경)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1

        Adhesive materials have been attracted for hemostatic agents, wound closure, and other applications towards medical devices and drug delivery platform due to their long-lasting properties in vivo. Polyphenol modification inspired by mussels’ adhesion and plant astringency has been emerging as a strategy to engineer robust, wet-resistant adhesive polymeric materials. Here, we present a variety of polyphenol-modified polymers exhibiting tissue adhesion properties for cardiovascular therapy and advanced 3D printing. First, catechol modification onto chitosan permits unique polymeric phase transition from solid film to adhesive hydrogels, which is applicable to design ‘bloodless needles’ even after injection. Second, tannic acid widely found in plants is spontaneously complexed with proteins for cardiac tissue targeting. Ultimately, these nature-inspired adhesive materials w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next generation of medical formulations for drug delivery and tissue repair.

      • 작업기억과 수학 문제해결능력의 상관에 대한 메타분석

        신미경(Mikyung Shin),김우리(Woori Kim)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 문헌을 중심으로 작업기억과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서 학습자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실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1975부터 2019년까지 영어로 발표된 논문을 포함시켰으며, 참여자들은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학생들로 이루어졌다. 본 메타분석에서는 Baddeley(1998)가 제안한 다중구성 작업기억 모델(multi-component Working memory model)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작업기억을 음운 루프, 시공간 스케치판, 중앙집행기의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 개발한 측정도구 및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모두 포함시켰다. 연구결과: 총 19개의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R 프로그램을 활용한 메타분석이 실시되었다. 작업기억과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능력 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학습자 관련 특성(나이, 성별, 장애,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내용, 작업기억 세부 과제)에 따른 조절효과도 분석되었다. 작업기억과 학습자들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은 모두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 관련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는 다소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작업기억과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으로 밝힘으로써 학습자들의 인지적 특성을 이해하고, 추후 수학 중재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수학 문제해결을 하는 과정에서 작업기억의 역학에 대한 중요성과 현장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분수 개념 이해도 향상을 위한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의 활용 효과 비교

        신미경(Shin, Mikyung),채수정(Chae, Sooj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분수 개념 이해도 향상을 위한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일제 통합학급에서 수업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4-6학년 경도지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기초선을 가진 교대중재설계를 적용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분수 개념을 학습시키기 위하여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 중재를 실시하였고 두 중재 방법은 무작위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 4명 모두 기초선보다 중재 구간에서 분수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재의 향상 정도 및 통계적인 유의미성은 중재 유형 및 학생별로 상이하였다. 중재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중재의 경우 더욱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적 구성요소에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가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분수 개념을 이해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중재는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에도 기여하였으며, 학생들의 특성 및 선호도를 고려한 교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explicit, systematic instruction with the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and virtual manipulative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fraction concept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We used an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with baseline for fou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grades 4 and 6 in a full-time inclusive classroom at a general school. Participants received explicit, systematic instruction with the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and virtual manipulations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fraction concepts. The order of implementation of intervention was selected randomly for both visual representations and virtual manipulatives. Results: All four participa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grades 4 and 6 showed an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fractions in the intervention phase compared to the baseline phase. However, the degree of improvemen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nterventions differed by intervention types and students. Regarding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 intervention, students generally demonstrated a higher preference in the case of intervention using virtual manipulatives rather than visual representations, and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ith an explicit, systematic instructional componen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xplicit and systematic instruction with the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and virtual manipulatives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fraction concepts. This intervention also contributed to students’ active engagement in learning,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diverse instructional needs and learning preferenc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수학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들을 위한 초등학교 일반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수학교수 실제 실태조사

        신미경(Shin, Mikyung),강은영(Kang, Eun Young),옥민욱(Ok, Min Wook)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들을 위한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수학 교수적 실제들에 대하여 실태조사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2016년 3월-6월 전국에 있는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일반교사 5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개발한 온라인 설문조사가 이용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Qualtrics 온라인 프로그램이 활용되었고,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를 통한 빈도분석, 교차분석 및 Fisher의 정확검정, Spearman의 상관관계분석 방법이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조사 결과,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은 통합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수학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을 위하여 대집단 활용을 학급조직으로 가장 많이 활용했으며, 교과서, 학급칠판, 학습지가 여전히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교사 주도의 시연 및 강의, 배경지식에 대한 복습, 이해도 확인 등은 매일 활용도는 편이었지만, 테크놀로지 및 학생수행 진전도에 대한 기록의 사용은 현저히 부족했다. 또한 14개의 교수적 전략들의 활용 빈도는, 많은 경우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지만, 상관관계지수(r)는 대부분 중간 이하였다. 많은 교사들은 다양한 수학 주제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다양한 주제의 교사 연수의 필요성에 대하여 공감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수학 교수에 초점을 맞추어 효과적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분석함으로서 통합교육을 위한 현장의 요구들을 분석할 수 있었다. 그 외에 연구의 제한점, 미래연구를 위한 제언, 현장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elementary school general education teachers’ beliefs on inclusive education and mathematics instructional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learning difficulties. A total of 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tween March and June 2016. Method: In this study, we used a researcher-developed online survey. Qualtrics, a web-based survey program,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statistics (Fisher’s exact test), and Spearman correlation were calculated using the SPSS package. Result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nd need for inclusive education. Whole clas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classroom grouping, and text books, classroom boards, worksheet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media. Teacher-led modeling, reviewing of previous topics, and evaluation of understanding were implemented almost daily; however, technology and progress monitoring were more limited. Many of the 14 instructional practices had positive correlations, yet most correlation coefficients (r) were moderate values. Many teachers also had a high level of confidence in mathematics topics and a shared need for various teacher training program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teachers’ need for inclusive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their beliefs and practices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area of mathematics instruction. Limitation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읽기장애아동을 위한 하이브리드 모바일 읽기 게임의 사용성 검사

        신미경(Mikyung Shin),박은혜(Eunhye Park),홍기형(Ki-Hyung Hong),이주현(Joohyun Lee),박혜원(Hyewo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14명의 읽기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하이브리드 모바일 읽기 게임의 사용성에 대하여 평가한 것이다. 읽기 게임은 아동의 읽기 발달 과정에 따라 총 6단계(자모음 익숙해지기, 통글자 익히기, 자모음 결합하기, 단어 읽기, 음운 규칙, 읽기 자동화)로 구성되었다. 본 사용성 검사에서는, 부모들이 1단계부터 3단계의 읽기 게임 앱 내용을 경험해보고, 일반적인 디자인 설계 및 보편적 학습설계를 5점 평정척도로 평가하였다. 일반적인 디자인에 대한 사용성 검사 결과(총 18개 항목)를 살펴보면 상호작용 설계, 교수적 설계, 인터페이스 설계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보편적 학습설계 측면(총 9개 항목)의 검사 결과로는 다양한 방식의 표상을 제공, 다양한 방식의 행동과 표현수단을 제공, 다양한 방식의 학습 참여를 제공하는 것 순으로 사용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앱의 개선점, 현장에 제공하는 시사점, 미래연구를 위한 제언들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 hybrid mobile reading game among 14 parent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reading game consisted of six step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reading (familiarizing with consonants and vowels, acquiring whole words,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reading words, phonological rules, reading fluency). In this study, parents experienced steps one through three of the reading-game app and evaluated the general design features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a five-point scale. Regarding the general design features, parents rated usability (18 items in total) 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interactiv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and interface design. Regarding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9 items in total), parents evaluated usability 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providing multiple means of representation, providing multiple means of action and expression, and providing multiple means of engagement. Lastly,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pp,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 Plant-Inspired Phenyl Chemistry to Engineer Injectable and Electroconductive Hydroge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Shin Mikyung(신미경)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2

        Electroconductive hydrogels are promising materials for mimicking electrophysiological environments of biological system towards cardiac/neural tissue engineering, therapeutic applications, and bioelectronics. Injectable and conductive hydrogels are attractive for applications in 3D printing or for direct injection into tissues. However, current strategy of simple embedding of conductive additives (e.g., carbon materials, metal nanoparticles, and conducting polymers) has challenges to achieve stable gelation, toughness, and high conductivity. Herein, we propose two types of plant-inspired phenyl chemistry, i) rapid gallol oxidation coupled with metal reduction and ii) dynamic gallol-boronate complexation followed by exposure to biological salts for in situ fabrication of electroconductive hydrogels applicable to 3D printing and bridging of tissue defects. Our finding of phenyl chemistry would provide an insight to a variety of applications where conductive materials are needed.

      • KCI등재

        단일대상 메타분석 연구를 위한 그래프 추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신뢰도, 타당도, 사용성 평가

        신미경(Shin, Mikyung),정평강(Jung, Pyung-Ga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대상 메타분석 연구에 필요한 그래프 데이터 추출에 사용할 수 있는 GetData Graph Digitizer 2.26 컴퓨터 프로그램의 신뢰도, 타당도, 사용성 평가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출판된 단일대상 연구들에서 168개의 그래프(총 데이터 수= 1,929개)를 도출하였고, 추가로 50개의 가설 그래프(총 데이터 수= 750개)를 개발하였다. 두 코딩자가 그래프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신뢰도를 살펴보았고, 추출한 데이터를 가설 그래프의 원자료와 비교하는 방법을 통해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사용성 검사를 위해 평가자의 응답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GetData Graph Digitizer 2.26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는 모두 유의미하게 높았다(rs = 1.00, ps < .001). 프로그램의 사용성 측면에서도 응답자들은 다소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다양한 개선점들을 제시하였다. 특히 x축과 y축을 설정하는 체계가 자동화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결론: 이상과 같은 높은 신뢰도, 타당도, 사용성 평가 결과는 단일대상 메타분석 과정 중 그래프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추출을 위하여 본 컴퓨터 프로그램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usability of GetData Graph Digitizer 2.26, a computer program used for graphic data extraction in the meta-analysis of single-case studies. Method: A set of 168 graphs (total number of data points = 1,929) were derived from previously published articles together with another 50 hypothetical graphs with AB designs (total number of data points = 750). The graphic data extracted by the two coders were compared for reliability. The extracted data were compared for validity with the original data derived from hypothetical graphs. To test the usabilit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dents’ evaluations were obtained. Resul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coefficients of the GetData Graph Digitizer 2.26 computer program were significantly high (rs = 1.00, ps < .001). In terms of the usability of the program, respondents provided rather positive evaluations and presented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In particular, respondents suggested a need for automation of the system for setting the χ and y axe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etData Graph Digitizer 2.26 computer program allows reliable extraction of graphic data for the meta-analysis of single-cas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