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erformance analysis of maximum likelihood detection for the spatial multiplexing system with multiple antennas

        신명철,송영석,권동승,서정태,이충용,Shin Myeongcheol,Song Young Seog,Kwon Dong-Seung,Seo Jeongtae,Lee Chungyong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2 No.12

        본 논문에서는 다중안테나를 갖는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주어진 채널에 대한 maximum likelihood 검출기의 성능을 수식적으로 유도하였다. 벡터 심볼 오차율을 구하기 위해 nearest neighbor의 방향을 나타내는 에러벡터를 정의하였다. 전송 벡터 심볼이 랜덤한 채널에 의해 변환 될 경우 확정적으로 4개의 nearest neighbor를 가짐을 정의된 에러벡터의 특성을 이용해 입증하였다 변형된 구 검출기로부터 획득 가능한 에러벡터와 최소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주어진 랜덤 채널 하에서 벡터 심볼 오차율을 수식적으로 도출하였다. 유도된 벡터 심볼 오차식을 검증하기 위해, 랜덤 채널을 unitary 채널, dense 채널, sparse 채널로 분류한 후 각 채널 상황에서 유도된 결과 식을 모의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결과로부터 유도된 벡터 심볼 오차식이 다양한 랜덤 MIMO 채널에서 ML 검출기의 성능을 잘 근사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The performance of maximum likelihood(ML) detection for the given channel is analyzed in spatially multiplexed MIMO system. In order to obtain the vector symbol error rate, we define error vectors which represent the geometrical relation between lattice points. The properties of error vectors are analyzed to show that all lattice points in infinite lattice almost surely have four nearest neighbors after random channel transformation. Using this information and minimum distance obtained by the modified sphere decoding algorithm, we formulate the analytical performance of vector symbol error over the given channel. To verify the result, we simulate ML performance over various random channel which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unitary channel, dense channel, and sparse channel. From the simulation results, it is verified that the derived analytical result gives a good approximation about the performance of ML detector over the all random MIMO channels.

      • MIMO OFDM 시스템을 위한 향상된 채널 추정 기법

        신명철,이학주,심세준,이충용,Shin Myeongcheol,Lee Hakju,Shim Seijoon,Lee Chungyong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1 No.6

        MIMO OFDM 시스템에서 comb형태의 훈련심볼을 사용하는 기존의 채널 추정방식은 가장자리 반송파 영역에서 채널 추정의 MSE(Mean Squared Error)가 큰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순환구조를 갖는 comb형태 훈련심볼을 제안한다. 제안된 순환구조에서는 모든 종류의 comb 훈련심볼이 각 안테나로부터 순환 전송되며 수신 단에서는 각 comb 형태의 훈련심볼들을 이용해 채널을 추정한 후, MSE로부터 구해진 최적의 가중치를 곱함으로써 채널 주파수 응답을 추정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식이 기존의 comb 형태의 훈련심볼에 비해 높은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In MIMO-OFDM systems, conventional channel estimation techniques using comb type training symbols give relatively large mean squared errors(MSEs) at the edge subcarriers. To reduce the MSEs at these subcarriers, a cyclic comb type training structure is proposed. In the proposed cyclic training structure, all types of training symbols are transmitted cyclically at each antenna. At the receiver, the channel frequency responses that are estimated using each training symbol are averaged with weights obtained from the corresponding MSEs. Computer simulations showed that the proposed cyclic training structure gives more SNR gain than the conventional training structure.

      • 다중 송수신 안테나 시스템 기반에서 오차 전달을 고려한 효율적인 K-BEST 복호화 알고리듬

        이성호,신명철,서정태,이충용,Lee Sungho,Shin Myeongcheol,Seo Jeongtae,Lee Chungyong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2 No.7

        K-Best 알고리듬은 일정한 최대 복잡도를 가지기 때문에 ML (Maximum Likelihood) 수신기나 sphere decoding 수신기에 비해 실시간 구현에 적합한 알고리듬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ML 수신기에 가까운 성능을 내기 위해 충분히 큰 K값을 적용할 경우 여전히 높은 복잡도를 가지게 되며, 구현에 좀 더 적합하도록 작은 K값을 적용할 경우, 최대 복잡도는 낮아지는 반면오차 전달(error propagation)에 의해 높은 SNR 영역에서 에러 플로링(error flooring)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차 전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레벨 별로 K값을 감소시키는 K-reduction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모의 실험을 통해 연산량 및 비트 오차 확률 측면에서 이득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 K-Best algerian is known as optimal for implementing the maximum-likelihood detector (MLD), since it has a fixed maximum complexity compared with the sphere decoding or the maximum-likelihood decoding algorithm. However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the K-Best algrithm is still prohibitively high for practical applications when K is large enough. If small value of K is used, the maximum complexity decreases but error flooring at high SNR is caused by error propagation. In this paper, a K-reduction scheme, which reduces K according to each search level, is proposed to solve error propagation problems. Simulations showed that the proposed scheme provides the improved performance in the bit error rate and also reduces the average complexit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