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 횡성 및 제주지역 더덕밭 잡초발생양상

        송회근,김창석,이정란,서현아,최경미,이인용 한국잔디학회 2015 Weed & Turfgrass Science Vol.4 No.3

        강원 횡성 및 제주 지역의 더덕밭에 발생하는 잡초 발생상황을 파악하여 더덕밭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위하여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3회 조사하였다. 더덕밭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47과 207종으로 일년생잡초가 87 종, 월년생잡초가 47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73종이었다. 잡초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에서 광엽잡초는 182종, 화본과잡초는 18종, 사초과잡초는 7종이었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는 쑥, 바랭이, 닭의장풀, 개여뀌, 돌피 등이었다. 더덕밭 발생잡초 중 외래잡초가 59종으로 전체의 29%를 차지하였으며, 개망초, 주홍서나물, 미국가막사리, 서양금혼초 등이 발생하였다. PCA 분석 결과, 강원 횡성 더덕밭의잡초군락은 개망초군락, 털진득찰군락과 닭의장풀군락으로분석되었으며, 제주 더덕밭의 잡초군락은 주홍서나물-참방동사니군락, 들개미자리군락, 새포아풀군락과 뽀리뱅이군락으로 분석되었다. The weed flora in the Codonopsis lanceolata upland fields were surveyed in Hoengseong and Jeju in May, August, and October of 2014.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use the survey data for establishing weed control methods and to bring awareness of possible problematic weeds occurred in C. lanceolata upland fields in Korea. Altogether 207 weed species of 47 families were identified, of which 87 were annual, 47 species were biennial and 73 were perennial.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leaves, 182 species were broad leaves, 18 species were grasses, and 7 species were sedges. The dominance was highest in the Artemisia princeps followed by Digitaria ciliaris, Commelina communis, Persicaria longiseta and Echinochloa crus-galli etc. Fifty-nine species were exotic weeds with 29% of a total presence, of which Erigeron annuus was highest, followed by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idens frondosa, Hypochaeris radicata etc. In the PCA plot, weeds presented in the C. lanceolata upland fields of Hoengseong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 annuus, Sigesbeckia pubescence and C. communis communities and those of Jeju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 crepidioides-Cyperus iria, Spergula arvensis, Poa annua and Youngia japonica communities.

      • KCI등재

        뽕밭에서 발생하는 잡초 양상

        이인용,김창석,이정란,송회근,서현아,최경미,지상덕 한국잔디학회 2015 Weed & Turfgrass Science Vol.4 No.2

        The weed flora in the mulberry fields were investigated in Suwon, Jeonju, and Buan in May, July, and September of 2014.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use the survey data for establishing weed control methods and to bring awareness of possible problematic weeds in the Korean mulberry field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53 regions, covering approximately 145,925 m2. Altogether 153 weed species of 37 families were identified, of which 68 were annual, 39 species were biennial and 46 were perennial. The dominance was the highest with Digitaria ciliaris followed by Erigeron annuus, Chenopodium album, Echinochloa crus-galli var. crus-galli, Acalypha australis, Commelina communis etc. Exotic weeds presented 44 species with 28.8% of a total presence, of which Erigeron annuu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Chenopodium album, Phytolacca americana, Conyza canadensis, Oxalis corymbosa etc. Especially, we should aware Senecio vulgaris, not controlled with glufosinate ammonium SL in the Korean mulberry fields because it was known as atrazine resistance in US, Canada, Germany etc. In the PCA plot, weeds presented in the mulberry field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clipta prostrata community and Stellaria aquatic community and weed flora of Suwon and Buan were different due to those only presented in Suwon. 소면적으로 재배하고 있는 뽕밭의 문제잡초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경기 수원, 전북 부안을 중심으로 2014년 5월, 7월, 9월에 3회에 걸쳐 뽕밭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였다. 뽕밭에 발생하는잡초는 37과 153초종으로 국화과 37종, 벼과 17종, 마디풀과 14종, 메꽃과 10종, 배추과 8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68종, 월년생 39종, 다년생 46종이었다. 지역별 발생잡초를 보면, 수원에서는 31 과 91초종, 전주는 19과 50초종, 그리고 부안에서는 32과114초종이 발생되었다. 우점잡초로는 바랭이, 개망초, 흰명아주, 돌피, 깨풀, 닭의장풀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44초종으로 전체의 28.8%를 점유하였으며, 개망초, 흰명아주, 미국자리공, 망초 순으로 우점도가 높았다. 특히 외래잡초 중개쑥갓은 미국, 캐나다, 독일 등에서 트리아진계 제초제 저항성 잡초로 일부 농가에서 비선택성 제초제인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액제에도 방제가 되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가필요하다. 발생한 잡초를 대상으로 PCA 공변량 분석을 한결과, 뽕밭을 대표하는 잡초군락은 한련초 군락과 쇠별꽃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 KCI등재

        율무밭에 발생하는 잡초 양상

        이인용,김창석,이정란,한정아,김경훈,김미선,송회근,김덕환 한국잔디학회 2014 Weed & Turfgrass Science Vol.3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utilize the basic data for weed control by surveying the occurrence of weedspecies and the degree of damages caused by those weeds occurred in cultivated Coix lacryma-jobi var. mayuen fields. Surveywas carried out three times, from June to September in 2013. The weed flora was composed of a total of 98 weeds, 33 family, ofwhich 58 species were annual, 21 species were biennial, and 19 were perennial plants. Thirty-one exotic species were included aswell. Dominance was the highest with Digitaria ciliaris followed by Acalypha australis, Echinochloa crus-galli, Portulacaoleracea, Bidens frondosa etc. in order. In the PCA plot analysis, weeds occurred in C. lacryma-jobi var. mayuen fields weredivided into three groups, Panicum dichotomitlorum community, Echinochloa crus-galli-Sigesbeckia pubescens community andAcalypha australis community. Yield of C. lacryma-jobi var. mayuen was reduced 60% in no weeding plots comparing to that inweed management plots. 율무밭에 발생하는 잡초발생양상과 잡초로 인한 피해정도를 파악하여 율무밭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위하여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3회 조사하였다. 율무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33과 98종으로 일년생잡초가 58종(59.2%), 월년생잡초 21종(21.4%)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19종(19.4%)이었다. 이 중 외래잡초는 31종이나 덩굴성 외래잡초인 둥근잎유홍초, 미국나팔꽃, 둥근잎나팔꽃 등의발생이 많았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로는 바랭이, 깨풀, 돌피, 쇠비름, 미국가막사리 등이었으며, PCA 분석한 결과,3개 그룹(미국개기장 군락, 돌피-털진득찰 군락, 깨풀 군락)으로 나눌 수 있었다. 잡초방임구에서 율무의 수량감소는 잡초관리구에 비하여 60% 감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