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의 『모모타로(桃太郎)』 연구 -침략자 모모타로를 중심으로-

        송현순 ( Song Hyunsoon ) 한일군사문화학회 2018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6 No.-

        『모모타로』는 일본 전래동화 중 하나로 한국에도 많이 알려져 있는 이야기이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고 있고, 옛날 옛적에서 파생되어 나온 이야기이기 때문에 줄거리도 그리 복잡하지 않다. 등장인물의 사고, 행동양상 역시 권선징악적으로 다분히 교훈적이다. 그런데 전래 동화 『모모타로』를 모티브로 해서 쓴 아쿠타가와의 『모모타로』는 충격적이라고 할 만큼 많은 부분이 원화와는 다르다. 처음부터 복숭아에서 탄생한 모모타로는 게으르고 악의 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출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하기가 싫어 도깨비 섬에 침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모타로』를 텍스트로 하여 아쿠타가와가 모모타로를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싶었던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특히 구상의 변화 혹은 원화(原話)를 개변할 수밖에 없었던 동기로 당시 어떤 점이 작용했는지 중국 체험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모모타로』 등은 아쿠타가와 내면 깊숙이 잠재되어 있던 날카로운 비판정신이 밖으로 드러날 수밖에 없는 필연성에 의해 집필된 작품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아쿠타가와 문학의 계보 상, 매우 중요하면서도 의미하는 바도 크다. 그동안 현실정치나 민감한 사회문제와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었다는 비판에서도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쿠타가와의 시대인식이 결코 무감각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Momotaro” is a Japanese traditional fairy tale well known to Korean people. As this story is for the children and passed down from ancient times, it is not that complicated. The way of thinking and the pattern of behavior of the caracters are morallizing and didactic. However, Akutagawa’s “Momotaro” is suprisingly different from original story, even though he wrote it based on the fairy tale. From the beginning, Momotaro born out of a peach was described lazy and evil-mined as well and furthermore he invaded a goblin island because he was unwilling to labor. Akutagawa tried to blame Japan’s militarizm and policy of aggression through Momotaro’s invasion of the goblin island. This study selected “Momotaro” as a main text to review what Akutagawa tried to show in the story,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his other works not only in the subject but also in the details. Especially, Akutagawa’s trip to China was importantly reviewed to figure out what influenced him to change his perception. In the conclusion, “Momotaro” is a work that Akutagawa’s keen sprit of criticism, buried deep inside of his mind, necessarily drove him to write. This story is very important and means a lot in the genealogy of Akutagawa’s works, because he was able to refrain from the criticism that he kept distance from the reality of politics and sensitive social issue and it proved that his awareness of times was not insensible.

      • KCI등재

        Making 경험에서 나타나는 의미에 대한 들뢰즈의 ‘배움’ 철학 기반 탐색

        송현순(Song, Hyunsoon)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Making 경험에서 나타나는 의미를 들뢰즈의 ‘배움’ 철학에 기반하여 탐색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Making의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은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들뢰즈의 ‘배움’ 철학에 기초하여 해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크게 문헌연구와 질적연구로 이루어졌다. 문헌연구를 통해 들뢰즈의 ‘배움’ 철학을 탐구하였고, 질적 연구를 통해 Making 경험에서 나타나는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G교육대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생이었다. Making 과제는 종이탑 쌓기, 영상 제작하기, 쓸모있는 생활용품 만들기, 온라인 메이킹 독서프로그램 개발, 골판지를 이용한 독서대 만들기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의 결과는 크게 시작 단계, 전개 단계, 마무리 단계로 구분하여 정리되었다. 시작 단계에서 나타나는 Making 경험의 의미는 막막함, 두려움, 생경함, 압박, 고민, 유목적적 시작이었다. 전개 단계에서 나타나는 Making 경험의 의미는 시행착오의 과정, 우연한 마주침의 연속과 해 찾기, 지속적으로 강요되는 사유의 과정이었다. 마지막 단계에서 나타나는 Making 경험의 의미는 창조, 개선, 확장, 연속, 적용이었다. 들뢰즈의 ‘배움’ 철학에 의하면 학생들이 Making에서 경험하는 것은 제시된 길을 따라 동일성을 찾아가는 앎의 과정과 다르다. 마주친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그리고 다르게 찾아가는 과정이고 그것의 답은 다양하다. 이것이 메이커 활동의 의미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making experience based on Deleuze s philosophy of learning.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Making experience, conduct a qualitative study and interpret the results based on Deleuze s philosophy of learning. The research method was largely composed of literatur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search, Deleuze s philosophy of ‘learning’ was explored, an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e meaning of the making experience was explore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of G University of Education. Making tasks include building a paper tower, making a video, making a useful household item, developing an online making reading program, and making a reading stand using cardboar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beginning stage, the development stage and the final stage. The meaning of the making experience that appeared at the beginning stage was ambiguity, fear, unfamiliarity, pressure, anxiety and a purposeful start. The meaning of the making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 stage was a process of trial and error, a series of accidental encounters and solutions, and a process of thought that was constantly forced. The meaning of making experience in the final stage was creation, improvement, expansion, continuity and application. According to Deleuze s ‘learning’ philosophy, what students experience in Making is different from the process of knowing, seeking identity along the suggested path. It is the process of finding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you encounter on your own and differently, and the answers to them vary. This can be seen as the meaning of maker activities.

      • KCI등재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竜之介)의 『김 장군(金將軍)』론 -『김 장군』의 역사적 의미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역사인식-

        송현순 ( Song,Hyunsoon ) 한일군사문화학회 2021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3 No.-

        『김 장군』은 임진왜란 때 활약한 김응서 장군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조선인 김응서 장군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는 점은 아쿠타가와 문학에서는 그 소재 면에서도 매우 이례적이다. 아쿠타가와의 작품 중에서 한국을 무대로 또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은 이 『김 장군』이 유일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김 장군』을 텍스트로 하여 『김 장군』 역사적 의미와 아쿠타가와의 역사인식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김 장군』과 전작들과의 연계성, 그리고 집필 배경을 주요 사항으로 살펴보았다. 집필배경의 경우는 관동대지진 후 일본에서 조선인 학살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진 시점에 이 『김 장군』이 집필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관동대지진과 『김 장군』과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아쿠타가와의 역사인식에 대해서는 김응서 장군과 계월향 그리고 고니시 유키나가의 관계를 아쿠타가와가 어떻게 설정하여 김응서 장군의 승리를 이끌어 내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즉 변용된 역사를 통해 아쿠타가와의 역사인식을 읽어내고자 했다. 그 결과 『김 장군』은 초기부터 일관되게 추구해왔던 아쿠타가와의 예술관과 맥을 함께 하는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피지배국과 지배국의 역사, 조선과 일본의 역사가 다를 바 없다는 객관적이고 상대화된 아쿠타가와의 역사인식을 알 수 있었다. 아쿠타가와는 “어떤 나라의 역사도 그 국민에게는 반드시 영광된 역사”라고 말한다. 아쿠타가와의 이런 평등한 시선이 관동대지진 후 유언비어에 의해 차별과 학살을 당해야 했던 식민지 조선의 역사와 식민지 조선의 국민에 향해 있었던 것은 말할 것도 없다. In this study, I used General Kim as text in order to examine Akutagawa’s historical insight and intent. For this purpose, I review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Kim and his previous works, I also reviewed the context of writing as major issues. In regards to the historical context, I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Kim and the Great Kantō Earthquake, as General Kim was written at a time when the large-scale massacre of Koreans in Japan took place soon after the Great Kantō Earthquake. As for Akutagawa’s historical insight, I focused on how Akutagawa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Kim Eung-seo, Gyewol-hyang, and Konishi Yukinaga, and the events leading to the victory of General Kim Eung-seo. In other words, I tried to interpret Akutagawa’s historical insight through the transformed history in the work.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General Kim is a work that is in line with Akutagawa’s artistic view, which has been consistent through his work. In addition, it’s possible to understand Akutagawa’s objective and relativized historical insight, in that the history of the ruling and controlled countries, as well as the history of Korea and Japan, are no different. As Akutagawa says, “The history of any country is always a glorious history for its peop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kutagawa’s impartial view was directed toward the history of colonial Korea and the people of colonial Korea, who were discriminated against and slaughtered due to rumors after the Great Kantō Earthquak.

      • KCI등재

        초·중등 현직교사의 학생 이해에 대한 인식 및 연수 요구도

        최지연(Choi, Jiyeon),송현순(Song, Hyunsoon),권동택(Kwon, Dongtaik),조용선(Cho, Yongsun),이태석(Lee, Tae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생 이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생 이해의 현황, 학생과의 소통, 학생 이해 관련 연수의 필요 및 요구도 등에 대해 질문지를 구안하였고 전국의 초ㆍ중등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층표집을 통해 온라인/오프라인 설문으로 총 445명의 자료를 확보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생을 이해하고 있고 (9.8%) 학생 이해를 위해 노력 한다고(84.9%) 응답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학년으로 초등학교 6학년(59.2%), 중학교 2학년(66.7%), 고등학교 1학년 (57.6%)을 꼽았다. 셋째, 교사들은 학생 이해가 어려운 원인으로 교사 자신(37.1%) 을, 학생 이해의 방해 요인으로 업무 부담(56.1%)과 성장 경험(43.2%)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넷째, 학생에 대한 정보의 원천으로 교사들은 개인적 경험(62.6%)에 의존하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 이해를 위한 연수에 필요한 내용으로 초·중등교사들은 공통적으로 학생들 사이의 또래 문화 및 집단 심리, 정서적 교류 방법,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 s perceptions and needs of student understand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A questionnaire designed to elicit teacher s perceptions and needs of student understanding that was consist of student understanding current status, communication with students, needs of student understanding education training program. It was given to 445 school teachers who were teaching at different sized district by non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achers showed that they understand students(79.8%) and they try to understand students(84.9%). Second, most teachers replied that 6th grade of primary school, 2nd grade of middle school and 1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most difficult to understand. Third, most of teachers showed that a cause of difficulty of student understanding was teachers themselves(37.1%) and factors of disturbance of student understanding were a load of business(56.1%) and experience of growth(43.2%). Fourth, most of teachers depend on private experience(62.6%) to understand student. Fifth, peer culture, group psychology, emotional exchanging method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strengthening program were commonly required in both primary school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 of student understanding.

      • KCI등재

        메이커 기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에서 초등학생의 경험의 의미 탐색

        류미(Mi Ryu),송현순(Hyunsoon So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메이킹 활동으로 제시된 열린 문제를 아날로그 재료와 도구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초등학생들은 어떤 경험을 하고 그 배움의 의미는 무엇을 학습하는가를 질적 연구 방법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이 모둠별로 재료나 구조의 제한 없이 1m를 이동하는 수송수단을 만드는 활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23명의 학생들과 지도교사이다. 자료수집은 학생 면담, 학생작품, 담임 교사의 관찰 일지, 교사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면담내용은 전사하고 범주화한 후 의미를 해석하였다. 결과는 문제해결과정과 열린 문제 메이커 활동에서의 경험의 의미화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메이커 기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의 의미를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선택과 의사결정이 가능한 비구조적 활동에서 다양한 문제를 만나면서 모두 다른 모습의 수송수단을 만났고 문제해결을 경험했다. 둘째, 다양한 기호와의 마주침은 개방성, 복잡성, 지속성을 가졌다. 셋째, 배움의 욕망을 표출하며 넷째, 신체(몸)으로 사유하고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론을 정리하면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은 학생들의 선택과 사유, 의사소통을 촉진하며, 실패를 통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배움은 목적이 아닌 여정을 중시하며, 학습자의 차이와 경험이 새로운 배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learning outcomes of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aged in making activities using analog materials and tools to solve open-ended problems. The students worked in groups to design a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 distance of 1 meter with no restrictions on materials or structure. The study involved 23 students and their teachers, with data collected through student interviews, student artwork, classroom teacher observation journals, and teacher interviews. Transcribed interviews were categorized and interpreted for significance. The findings are categorized into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the experiential semantics of open problem-maker activities. The subsequent findings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maker-based, unstructured problem-solving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ly, students encountered diverse transportation forms and engaged in problem-solving within unstructured activities that allowed for decision-making and choice. Secondly, their encounters with various symbols exhibited openness, complexity, realism, and continuity. Thirdly, students expressed a strong desire for learning through their engagement in tactile thinking and interaction with their environment. In conclusion, unstructured problem-solving activities foster student choice, reasoning, and communication and offer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failure. Moreover, learning is viewed as a continuous journey rather than a destination, with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s and experiences significantly shaping new learning.

      • KCI등재

        소프트웨어 교육 경험에 대한 초등교사의 이야기 분석

        김나영(Nayoung Kim),송현순(Hyunsoon So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실시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을 듣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방법의 절차를 따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소프트웨어 교육 경험이 있는 4명의 초등교사이다. 자료수집은 이야기나누기 방법으로 진행하였고 반복적인 이야기 나누기를 진행하였다. 면담내용은 전사하고 범주화한 후 의미를 해석하였다. 결과는 참여자 각각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와 각 경험의 의미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소프트웨어 교육 경험에 대한 의미를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은 같이 인식하였으나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둘째, 비자발적으로 시작하였느나 그 후 결과는 스스로 성장하거나 아직도 관심 없음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프트웨어 교육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교사들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을 정리하면 소프트웨어 교육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사들이 소프트웨어 교육을 유의미하게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고. 둘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셋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긍정적 인식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sked teachers to discuss their experiences with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e then explored the meanings of their stories. To accomplish this, we employed the narrative method procedure among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xperience in software education, thus allowing us to collect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 transcribed these interviews, categorized relevant information, and interpreted the meaning. In this context, we divided the results into stories pertaining to the meaningful experiences of each participant. Ou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software education was necessary, but also reported many difficulties. Second, it began involuntarily, but then grew on its own or remained uninterested. Third, each participant had a different perspective on software education. In sum, this highlights three important provis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oftware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eachers can experience software education meaningfully. Second,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software education. Third, it is critical to reduce the rejection of software education and establish positive perceptions.

      • KCI등재후보

        수업 장면에서 드러난 초등교사의 특성에 관한 참여관찰연구

        이성은(Lee Sungeun),송현순(Song Hyunsoon),윤연희(Yoon Yeon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4 열린교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ary teacher's characteristics in instruction with a participant observation. For this purpose, three public schools and one private school were selected. And six classes were chosen eqnally the two 1st, two 4th, two 6th grades from three public schools and one private school. The collection of data observed the classes as well as the scenes where the students come to the school, activities after school that reaches from all day. After the participant observation, the analysis of videotapes consisted of recordings that contain every school/class/lesson. The category was divided into teaching and personal aspects. And then 'teaching' aspects divided into three parts. Those were contextualization, elaboration, and integration. And personal aspects were divides into communication, guidance, and modeling.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hen the elementary teachers' characteristics were trying to share with the teaching and personal aspects, those were not divided separately but operated coordinately in one situation inside.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were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pproach. In conclusion, it was recommended to be developed various perspectives in addition to two characteristics of ethnographic study. 본 연구는 참여관찰을 통해 초등학교 교실 수업 장면에서 드러나는 초등교사의 특성을 탐색 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형적 사례로 인정되는 공립 3개교 사립 1개교에서 저학년 2학급, 중학년 2학급, 고학년 2학급 총 6학급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총 138차시의 수업뿐만 아니라 아동이 학교에 오는 장면부터 방과 후 활동까지 전일 활동을 관찰하였다. 수집된 참여관찰 기록은 사실기술과 해석으로 전사하였다. 전사된 내용분석은 학교별, 학년별 교과별로 표시하면서 일정한 체계로 코딩하였다. 세 번의 수정과정을 거쳐 완성된 코딩의 틀은 교수측면과 인격적 측면이다. 교수 측면은 맥락화, 통합화, 정교화의 3개의 영역으로, 인격적 측면은 의사소통, 생활지도, 모델의 3개영역으로 범주화 되었다. 연구결과, 초등교사의 특성을 교수 측면과 인격적 측면으로 나누어볼 때, 두 측면은 뚜렷이 구분되기보다는 하나의 상황 속에서 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은 개별적 접근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문화 기술적 연구의 특성상 교수 측면과 인격적 측면 이외에 다양한 또 다른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이해, 인식, 실천

        임희준(Lim, Heejun),노석구(Noh, Sukgoo),송현순(Song, Hyunsoon),장인실(Chang, Insil),최일선(Choi, Ilsun)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이해, 인식, 실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250명으로 구글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이해를 조사한 결과,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성평등 보장’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라고 파악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았으며, 환경보존 관련 목표에 대한 이해가 높았다. 초등예비교사들의 전반적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인식의 수준이 높았으며,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대한 인식은 특히 높은 반면 경제성장 영역의 목표들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1∼2학년보다 3∼4학년의 인식 점수가 더 높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인식이 학년에 따라 더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실천과 관련해서는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성평등 보장’에 대한 실천 의지가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과 실천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는 높은 인식에 비하여 실천 경험이나 실천 의지는 그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예비교사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이해, 인식과 실천 사이의 격차를 줄이는 노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understanding, perceptions, and practi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5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data was collected with Googl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SDGs, man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dn’t understand that ‘no poverty’ and gender equity’ are SDGs, while they highly understood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related goals as SDGs. In terms of perceptions of SDG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s perceptions were generally high. Especially their perceptions on ‘clean water and sanitation’ and ‘good health and well-being’ were high, while their perceptions on economic developmental related goals were low. Junior/seniors perceptions on SDGs were higher than those of freshman/sophomore. In terms of practice of SDG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actice or effort for practice on ‘quality education’ and ‘good health and well-being’ were hi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 on SDG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for ESD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