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부(田賦)의 공공철학(公共哲學) : 토지의 소유와 분배에 관한 12-13세기 중국의 경세담론

        송재윤(Jaeyoon Song)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3

        이 논문은 전부(田賦)에 관한 12-13세기 중국의 경세담론을 공공철학(public philosophy)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송대의 사상사는 흔히 이기 · 심성론을 중심으로 한 성리학(性理學)의 발흥기로 조명 받아왔다. 남송대 경세담론은 그러나 수백 종에 이르는 경서주석서, 다종의 역사서, 정부관료 및 지식인층의 주의(奏議) · 시론(時論) 등을 통해 공공철학으로 심화되어 갔다. 구체적으로 토지제도 및 토지세에 관한 논쟁을 통해서 12-13세기의 사상가들은 사적소유와 분배정의 일반에 관한 정치철학적 입장을 정립해갔다. 이 논문은 토지의 소유와 분배에 관한 주희(朱熹, 1130-1200), 섭적(葉適, 1150-1223), 마단림(馬端臨, 약 1245-1322)의 상이한 입장을 분석하고, 섭적에서 마단림으로 이어지는 경세담론의 사상적 계보를 밝힌다. 궁극적으로는 성리학적 중농주의의 세계관과 공리주의적 방임주의의 역사관의 근저에 깔려 있는 정치철학적 차이점을 구명(究明)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construct statecraft debates on land taxes in 12th-13th century China into a pubic philosophy on the private ownership of land. Existing studies on Chinese intellectual history has illuminated the Southern Song period as the formative era of Neo-Confucianism, and thereby focused rather excessively on its moral and ethical aspects. This article shows that Southern Song statecraft debates evolved into public philosophy through a proliferation of writings on government such as commentaries on the Confucian Classics, historical works, memorials, and policy proposals. More specifically, public discourses on the land tenure system and land taxes in 12th-13th century China established their political philosophical views on private property and distributive justic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Zhu Xi (1130-1200), Ye Shi (1150-1223) and Ma Duanlin's (ca.1245-1322) views regarding the privatization of land and distributive justice, this article inquires into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ost influential schools of statecraft in 12th-13th century China; Zhu Xi's Neo-Confucian physiocracy vs. Ye Shi's utilitarian non-interventionism.

      • KCI등재

        제국적 통합과 집권화의 이념

        송재윤(Jaeyoon Song)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5

        당대(唐代, 618­907) 유종원의 「봉건론(封建論)」은 유가 『오경』에 제시된 고대 성인통치의 이상을 부정한 파격적 문장이다. 그에 따르면, 인류의 역사는 통일제국으로 나아가는 상향적 통합의 과정이며, 고대의 분봉제는 역사발전의 낮은 단계일 뿐이다. 중앙권력의 잠식과 절도사의 발호를 경계한 이 글은 이후 중국 정치사상사의 최대담론 “봉건­군현” 논쟁을 촉발시킨 문제작이었다. 이 논문은 「봉건론」에서 그의 역사관과 문명론을 해석해 정치이론으로 구성한다. 우선 『오경』에 그려진 “봉건” 제도를 재구성하고, 유종원의 비판논리를 분석한 후, 양자를 비교해 “봉건­군현” 논쟁의 근원에 깔린 두 개의 서로 다른 세계관을 도출한다. 즉 한ㆍ당대 경학자들은 선정(善政)의 기초를 다자적 공존의 모델로 파악한 반면, 유종원은 일원적 통합의 모델을 제시해 제국적 질서의 불가피성을 주장했다. Liu Zongyuan's “On Feudalism” is a provocative essay that denies the ideal rule of the sage kings of antiquity suggested in the Confucian Five Classics. According to his argument, the history of mankind is a bottom-up process of integration toward a unified imperial order. The enfeoffment system of antiquity was contrarily a low level of historical development. Composed during the mid­Tang crisis marked by the eclipse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rise of military commissioners, this essay set off one of the most comprehensive political discourses in Chinese history, i.e., the fengjian v. junxian debate. This article reconstructs Liu's political theory by interpreting his conceptions of history and civilization, as reflected in this essay. I will first reconstruct the fengjian doctrine as presented in the Five Classics, and then analyze Liu Zongyuan's arguments against it. Then I will derive the opposing political visions and world-views that lie at the heart of the fengjian-junxian debate. The Han and Tang commentators generally believed that good government consists in the model of multilateral coexistence whereas Liu Zongyuan proposed the model of unilateral integration to argue for the necessity of a unified imperial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