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3D 적층 STS316L 소재의 저항 점용접 특성 평가

        김세현(SeHyeon Kim),김민규(Min-Gyu Kim),황인성(In-Sung Hwang),김동윤(Dong-Yoon Kim),김영민(Young-Min Kim),박지용(Jiyong Park),유지영(Jiyoung Yu) 대한용접·접합학회 2021 대한용접학회 특별강연 및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Vol.2021 No.11

        최근 다양한 산업에서 기존 가공방식으로는 제작이 어려운 복잡형상을 3D프린팅 방식으로 제작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위상 최적화를 통한 형상 제작을 통하여 무게를 감소시키고, 부품 일체화를 통해 기존 부품 용접부의 내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3D프린팅 방식은 아직 대형 부품을 제작하는데, 재료 및 공정의 한계를 보이고 있어 산업 부품을 제작하기가 적합하지 않다. 이에 일부 주요한 부품을 3D프린팅 기술로 제작하고 대형 부품에 용접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3D 적층 STS316L과 STS316L 판재 소재에 대하여 각각 동종 소재 조합으로 저항 점용접을 진행하여 3D프린팅 부품의 용접성을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극 가압력은 350 kgf로 고정한 후, 용접 전류, 용접 시간에 따라 용접을 진행하여 저항 점용접 로브를 도출 하였다. 용접 후, 단면 분석, 인장전단강도 시험, 조직 분석, 파형 분석을 통하여, 각 소재에 대한 저항 점용접성에 대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파형 분석은 용접 중 전류, 전압 신호를 측정하여, 동저항, 전력 신호를 도출 한 후, 거동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3D프린팅 공정의 용접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마그네슘을 6 wt.% 함유한 알루미늄 합금의 저항 점용접성 평가

        김민규(Mingyu Kim),김세현(Sehyeon Kim),황인성(Insung Hwang),김동윤(Dong-Yoon Kim),김영민(Young-Min Kim),이승환(Seung Hwan Lee),유지영(Jiyoung Yu) 대한용접·접합학회 2021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39 No.5

        To ensure safety and reduce the weight of vehicles, stud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on different aluminum alloys that have strength higher than conventional aluminum alloys.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aluminum alloys through magnesium content control is underway. Research on manufacturing techniques, such as, welding for application to the car body parts of these materials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resistance spot weldability of an aluminum alloy with 6 wt.% magnesium (Al-6Mg) wa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commercial aluminum alloy 5052, 6061 (Al5052, Al6061). The suitable welding range of the Al-6Mg was found to have a welding current of 24 ㎄ to 28 ㎄, and a similar level of Al6061. The welding heat input was almost the same for the three materials, which resulted in no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the nugge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orosity ratio between Al-6Mg and Al5052; however, the porosity ratio of Al6061 was higher. The alloy with the highest tensile shear strength, hardness and energy absorption of a welded joint was Al-6Mg. The low porosity ratio and high hardness of the Al-6Mg alloy caused the relatively high tensile shear strength and energy absorption of the welded joint.

      • KCI등재

        글로벌 이슈 주제중심의 과학수업에서 중학교 영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 분석

        김세현 ( Kim Sehy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이슈 주제중심의 과학수업에서 중학교 영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지역공동 영재학급 중학교 1학년 20명이며, 수업은 지구온난화를 주제로 하여 총 20차시로 진행되었다. 연구설계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혼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를 활용하여 수업 전후의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업활동지와 모둠활동 녹음자료, 수업성찰일지, 수업평가지, 교사관찰일지 등을 함께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글로벌 이슈 주제중심 과학수업에서 나타난 중학교 영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태도 하위영역에서는 ‘과학 가치에 대한 태도’, ‘과학 관련 이슈에 대한 관심’, ‘과학에 대한 책임감’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글로벌 이슈 주제중심의 과학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글로벌 이슈라는 새로운 개념에 흥미와 관심을 보이기도 했지만 토의를 중심으로 이슈를 탐색하고 해결아이디어를 제안해 가는 과정을 어려워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실험이나 만들기 등의 활동이 이루어질 때는 흥미를 갖고 글로벌 이슈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반면, 내용을 수렴하는 토의과정이나 글쓰기 등의 활동은 소극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좀더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육내용의 다양화, 수업방법의 변화 등 학생들의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모색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how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mong the middle-school gifted students changes in science classes when these classes focus on the topics in global issues. Twenty students in a first-grade middle-school class in a community school for the gifted children. Twenty sessions were conducted on the topic of global warming. This study applied the combination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before and after the sessions were analyzed by attitude questionnaire. Besides, class activity notes, group activity recordings, class reflection notes, class evaluation sheets, and teacher’s observation sheets were also collected for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in the classes that focus on topics in global issues. Among the sub-sections of the attitude toward sci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ections of ‘the attitude toward scientific values,’ ‘the interest toward the issues related to science’ and ‘the responsibility toward science.’ Although the participating students in the science class showed interest in the global issue as it is a new concept for them, they also tended to find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issue and suggesting ideas to solve the issue. Additionally, the students showed interest in the global issue in such activities as experiments and crafts, but they nevertheless showed a tendency to be passive in such converging activities as discussion and writing.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various methods to enhance students’ interest, including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method, etc.

      • KCI등재

        사회문제해결형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수업모델이 초·중등학생들의 ESD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세현(Sehyeon Kim),손연아(Yeon-A Son),이은주(Eunju Lee),김강석(Kangseok Kim),김병주(Byeongjoo Kim),남윤희(Yunhee Nam),최소영(Soyoung Choi) 한국환경교육학회 2018 環境 敎育 Vol.31 No.2

        본 연구는 초 ·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문제해결형 ESD 수업모델을 적용하여 ESD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ESD 수업은 환경-사회-경제 영역을 통합적으로 접근한 사회문제(갈등상황)를 해결하는 13개 주제를 중심으로 개발한 것을 적용하였으며, 서울, 경기, 광주, 전라 등 4개 지역 350명의 학생이 ESD 수업에 참여하였다. ESD 역량은 수업 전후에 측정하였으며, 교사의 수업관찰일지도 함께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ESD 역량은 인지 및 기능 영역과 태도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인지 및 기능 영역에는 사고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 진로개발능력이 포함되며, 태도 영역에는 자아성찰적 태도, 타자지향적 태도, 민주시민적 태도, 국제문화적 태도가 포함되어 있다. 연구결과, 사회문제해결형 ESD 수업을 통해 초․중등학생들의 인지 및 기능 영역과 태도 영역의 ESD역량은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각 영역 ESD 역량의 ESD역량요소 중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은 초․중등학교 모든 학교급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competencies improvement of using social problem solving ESD clas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ESD curriculum was restructured focusing on 13 subjects that solve social problems (conflict situation) by an integrated approach, with 350 students from four regions in Seoul, Gyeonggi, Gwangju, and Jeonla, and the ESD competenci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class. The teachers’ class observation journals were collected together to be analyzed. The ESD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areas of perception and function, and attitude. The area of perception and function contains think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theoretical thinking, critical thinking, systematic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career development ability, and attitude area contains self-reflexive attitude (reflective attitude and self-efficiency), other-oriented attitude (relationship formation, conflict management, cooperation, sympathy, confidence, sensitivity), democratic civil attitude (responsibility, leadership, morality, openness) and intercultural attitude (diversity, global community spirit). As a result of this study, social problem solving ESD clas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s of perception and function ability and attitude of ESD competenc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Especially, think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among ESD competencies of each area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class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rough the study results, training for cooperative learning method such as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control of task difficulty, and social interaction induction based on learners’ need, and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affective characteristic, and so on were presented.

      • KCI등재

        미래문제해결(Future Problem Solving) 5단계 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에서 중학교 영재들의 과학지식 변화 분석

        김세현(Kim Seh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본 연구에서는 FPS 5단계 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에서 중학교 영재들의 과학지식 변화를 분석하였고, 과학지식의 변화는 지식학습 과정(개념탐구 단계)과 문제 발견 및 해결 과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지역공동 영재학급의 중학교 1학년 20명이며, 과학지식 검사지와 수업활동지, 모둠활동 녹음자료, 산물스케치 등의 다양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FPS 5단계 모형의 ‘지식학 습’ 과정(개념탐구 단계)에서 중학교 영재들의 과학지식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게 나타났으며, 질적 자료들에서도 과학지식 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살펴볼수 있었다. 또한 ‘문제발견과 문제해결’ 과정에서는 기존의 알고 있는 지식과 개념탐구 단계에서 배운 과학지식을 활용하여 이슈를 찾고 해결아이디어를 논리적으로 발전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교육과 정규교육과정과의 연계 필요성과 핵심역량 중심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가능성 등을 제언하 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scientific knowledge of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in science class with FPS five-step model, the change of scientific knowledge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e process of knowledge learning (concept inquiry phase) and the process of problem finding and solving. The study involved 2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gifted class in a middle school, and variou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cluding scientific knowledge test, class activity notes, recording materials and product sketch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knowledge learning process (concept inquiry phase) of the FPS five-step model, the scientific knowledge change of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Qualitative data also indicated improvements in scientific knowledge. The process of finding and solving problems showed a tendency to find issues and logically develop solutions using knowledge already known and scientific knowledge learned in the phase of conceptual inquiry.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to link gifted education with regular curriculum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program as a gifted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core competencies.

      • KCI등재

        미래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의 문제발견 및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중학교영재들의 과학창의인성 요소 분석

        김세현(Kim, Seh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In this study, science creativity-character elements identified from problem finding and solving process during science class with Future Problem Solving Model applied to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bject matter ‘Global warming,’ class consisted of 20 periods in 7 sessions and the data regarding to discovery of problems and process of problem solving collected from 11 periods of 4 sessions was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covery and interpretation of science creativity-character elements properly, various qualitative data was reviewed including individual and group activity records, group activity recordings, class reflective journal, class evaluation form, etc.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science creativity-character elements such as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divergent and critical thinking, idea exchange and collaboration, and values and decision making from the ethical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problem finding and solving.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e need for changes in learning environment for gifted students in regular middle school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with consideration for various creativity and character elements,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for problem solving class, and professional enhancement of teachers through school consulting.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영재를 대상으로 미래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의 문제 발견 및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과학창의인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수업은 ‘지구온난화’ 주제로 하여 총 7회 20차시로 진행되었고, 이 가운데 문제 발견 및 해결 과 정에 해당되는 4회 11차시의 자료가 수집 및 분석되었다. 과학창의인성 요소의 발견 및 해석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개인 및 모둠활동지, 모둠활동 녹음자료, 수업성찰일지, 수업평가지 등 다양한 질적 자료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영재들은 과학 수업의 문제 발견과 해결 과정에서 확산적 사고 및 비판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력, 아이디어 교류와 협력, 도덕적 관점에서의 가치와 의사결정 등의 과학창의인성 요소를 나타내었다. 이를 토대로 일반 중학교에서 영재들을 위한 학습 환경 변화의 필요성, 창의성과 인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문제해결형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컨설팅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제고 등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