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일반핵심능력과 개인 변인의 관계 및 특성

        송영숙(Song, Youngs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개인 변인에 따른 일반핵심능력의 차이 및 특성을 분석하고, 일반핵심능력 강화를 위한 대학교육의 질적 제고 및 책무성 강화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AHELO 실행가능성 평가에 응시한 A대학교 학 생 187명의 일반핵심능력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일반핵심능력의 기술통계를 살펴보고, 학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 한 성별, 나이, 계열, 학점에 따른 일반핵심능력의 차이를 분석하고,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일반핵심능력 특성에 따라 유형화 하였다. 성별, 나이, 학점에 따른 일반핵심능력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계열에 따른 일반 핵심능력의 차이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는데 객관식 총점, 수행과제 총점, 문제해결능력, 분석적 추론 능력, 글쓰기 능력에서 인문사회계열 학생의 평균이 이공계열 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핵심능력의 특성에 따라 네 가지 그룹으로 유형화한 후 성별, 나이, 계열, 학점에 따른 군집의 일반핵심능력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성별, 나이, 계열에 따라 군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점에 따라서는 군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generic skills and individual variables. The data from 187 students at a Korean university that participated in the Assessment of Higher Education Learning Outcomes (AHELO) feasibility study were utili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eneric skill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grade point average (GPA). The field of study was the only variable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ic skills among the three group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four groups were form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eneric skills. No differences in generic skills were observed among the four group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field of stud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ic skills among the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GPA.

      • KCI등재

        대학생 상황판단형 공적윤리 역량 진단도구 개발과 타당화

        송영숙(Song, Youngs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연구의 목적은 S대학교 사례에 기초하여 대학생 상황판단형 공적윤리 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진단도 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준거집단과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하고, 중요 상황 수집과 상황 시나리오를 개발하 였다. 또한 반응대안 개발과 가중치 추출을 실시하고, 51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여 진단도구에 대한 타당 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2개 요인으로 수렴되었으며, 구조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 다. 또한, 기존에 공인된 HEXOCO 성격검사의 정직/겸손성 요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공적윤리 역량의 세부 역량은 정직/겸손 성 요인의 하위요인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어 공적윤리 역량 측정도구는 개인의 윤리적 행동과 공공 성의 특성파악에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생들이 인격과 지성을 겸비한 우수 인재로 성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공적윤리역량을 진단하는 데 있어 상황판단형 역량진단도구를 대학의 특성에 맞도록 개발하여 학생의 선발이 나 역량개발, 교육과정 개편, 교육프로그램 효과 분석 등에 다양하게 활용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situational judgement test to diagnose the Competencey of public ethics for undergraduates. A criterion group composing of high performers was formed. Critical incidents and responses were developed from interviews with members of the criterion group. Also an expert committee was composed of six university members wh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on Competencey based selection or education. This committee reviewed all the items developed and selected some of them for the final test. Item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xamined through the final test that 519 college students took. The result of the confirmatory as well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Competencey of public ethics consisted of 2 sub-elements which were work ethics and democratic citizenship. The correlation between results of the test and the HEXACO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verall, the findings of the study highlight that a situational judgement test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to diagnose Competencey levels of public ethics for undergraduates.

      • KCI등재

        대학생 일반핵심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 AHELO 결과를 중심으로

        송영숙(Youngsook Song)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5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일반핵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에서 대학생 핵심역량 육성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OECD AHELO 실행가능성 사업에 참여한 서울 소재 A대학교 학생 167명 일반핵심능력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학생 특성 변인, 학업성취 변인, 학습경험 변인이 일반핵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핵심능력, 수행과제 총점, 문제해결능력, 글쓰기능력에 모두 영향을 주는 변인은 학생특생변인에서 전공계열과 학습경험변인에서 통합과 조직, 판단이었다. 둘째, 수업 중 중점 활동으로 판단에 대한 인식이 높은 학생일수록 일반핵심능력, 수행과제 총점, 문제해결능력, 글쓰기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업 중 중점 활동으로 통합과 조직에 대한 인식이 높은 학생일수록 일반핵심능력, 수행과제 총점, 문제해결능력, 글쓰기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 변인은 일반핵심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행과제 총점, 문제해결능력, 글쓰기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일반핵심능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핵심역량 우수 단과대학 혹은 학과의 정규교육과정에 대한 벤치마킹을 제안하였고, 수업 과정에서 고등사고력 강조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으며, 수업 출석, 교수·학생 상호작용, 교수법의 강화 및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variables influencing generic skills of undergraduates in a Korean university. Data from OECD AHELO feasibility study were utilized and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n SP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field of study, coursework emphasis on synthesizing and organizing and coursework emphasis on making judgments were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sum of multi choice questions’ score and performance task’s score, performance task’s score, problem solving score and writing effectiveness score. Coursework emphasis on synthesizing and organiz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um of multi-choice questions’ score, performance task’s score, performance task’s score, problem solving score and writing effectiveness score.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the sum of multi-choice questions’ score and performance task’s score.

      • KCI등재

        일본 사사구리 영장 순례의 전통성 및 현재성

        송영숙(Song, YoungSook) 동아시아일본학회 2024 일본문화연구 Vol.- No.89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sa-Guri temples Pilgrimage, the New-Shikoku temples of Shikoku Henro. The contents of this are broadly divided into policies that take advantage of the need to imitate and inherit Buddhist tradition as a Temples for New-Shikoku and change the times. First of all, the imitation and succession aspect of tradition is that the Sasaguri temples was created by imitating Shikoku Henro as Shikokus New-Shikoku temples, and it matches the number of Shikoku Henros 88temples, and most of the main existence of each temples is the same. In addition, the costumes of the pilgrims and the religious rituals at the time of pilgrimage are completely consistent. As a way of coping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first, a number of temple such as Nanjoin initially started as prayers, but succeeded in a new change as a Dangasa to lay a large-scale charnel house in response to the needs of believers. Second, a new holy site, such as PowerSpot, was created to target the needs of modern people and is on the rise. Third, the Sasaguri temples Society was able to jointly hold Osunahumi in the modern sense of the 21st century to capture religious propagation and economic benefits. In summary, Sasaguri temples pilgrimage is characterized by a social participation-type Buddhism that inherits religious tradition as a New-Shikoku temples but actively responds to and accepts changes in the times.

      • KCI등재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송영숙(Youngsook S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2013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 취업과 정규직 취업 분포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인턴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취업과 정규직 취업 분포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하였고,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 취업 및 정규직 취업 분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 결과, 인턴 경험이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면,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이 활성화되도록 지원을 강화하며, 전공과 직무 일치 비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직무역량을 중시하는 능력중심 채용이 확대되도록 관련 제도와 정책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work experience during higher education on employment. In particular,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employment and permanent employment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or internship.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relatedness of college major and work experience as well as internship on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or permanent employment were investigated. The data came from the 2013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The study covered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and permanent employment among the groups classified by work experience or internship. Inter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graduates" permanent employme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ies for internship during higher education need to be enhanced. The match between employment and the field of study in college needs to be increased. Interventions and policies for the establishment of competency-based employment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방귀쟁이 며느리’ 민담의 양상 및 사회문화적 함의

        송영숙(Song, YoungSook) 동아시아일본학회 2021 일본문화연구 Vol.- No.79

        본고는 일본의 ‘방귀쟁이 며느리’ 민담의 구체적 양상 및 사회문화적 함의에 관한 연구이다. 일본의 ‘방귀쟁이 며느리’ 민담을 고부간의 갈등을 핵심으로 하여 주요 모티브 및 서사구조에 의해 유형화를 시도하면 〈회복형〉, 〈복수형〉, 〈비극형〉으로 대별된다. 각각의 유형에 내포된 사회문화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메이리콘이라고 부르던 전통사회의 혼인방식과 이에 따른 요메이지메 관습이 반영된 민담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요메이리콘 혼인으로 시집살이를 하던 며느리를 바라보는 시집 식구들의 ‘곱지 않은 시선’이 강하게 작용하였다. 둘째 며느리의 ‘별난 방귀’에는 방귀의 주술적 위력을 고려할 때 신화적 요소가 내포된 것으로 추론된다. 셋째 방귀를 통해 나타난 며느리의 행동은 ‘시댁 순응적 태도’(회복형)에서 출발하여 ‘시댁 불응적 태도’(복수형, 비극형)로 발전하고 있다. 요컨대 ‘방귀쟁이 며느리’ 민담에는 시댁의 관습에 적응하려는 태도와 시댁 및 나아가 사회의 부조리한 관습에 저항하여 주체적인 삶을 지향하는 며느리의 적극적인 의지가 공존하고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pecific aspects and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Japanese folk tales of “Fart-daughter-in-law”. If Japanese folk tales of ‘Fart-daughter-in-law’ are categorized by major motives and narrative structure with the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s the point, they are broadly classified into 〈Recovery type〉, 〈Avenging type〉, 〈Tragic type〉.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each type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interpreted as a folktale that reflects the traditional social marriage method called Yomeirikon and the Yomeijime customs. In other words, the ‘unloved gaze’ of the married family members who looked at the daughter-in-law who was married due to the Yomeirikon marriage worked strongly. Second, when considering the magical power of farts in the daughter-in-law"s “weird farts,” the mythical elements are clearly visible. Third, the daughter-in-law"s behavior starts with the “conformity attitude of the in-laws”(recovery type) and develops into the “resistance attitude of the in-laws” (revenge, tragic type).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시스템 개발 및 활용: S대학교를 중심으로

        송영숙(Song Young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대학의 이념, 목표 및 인재상을 반영한 S대학교의 핵심역량 진단시스템 구축 사례를 살펴 대학생 핵심역량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진단시스템 구축의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S대학교의 핵심역량 진단시스템 구축은 2015년부터 2017년에 걸쳐 핵심역량 모델링,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온라인 핵심역량 진단시스템 구축의 3 단계를 거쳐 이루어졌다. 우선 역량모델링을 수행하여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문헌조사와 인터뷰 실시, 예비조사와 본조사 실시, 수정 등을 거쳐 최종 104문항으로 구성된 핵심역량 진단도구가 개발되었다. 최종적으로 핵심역량 진단도구의 원활한 운영과 진단결과의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을 위하여 온라인 핵심역량 진단시스템이 구축되고 핵심역량 진단 결과가 활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핵심역량 진단시 스템 구축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핵심역량 진단시스템 구축에 대한 면밀한 검토는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역량기반 교육의 내실화 관련 논의를 더욱 풍부하게 한다. S대학교의 핵심역량 진단시스템 구축은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교육시스템으로의 변화에 일종의 촉매제 역할을 수행하였다. 핵심역량 진단시스템이 대학교육의 질적 개선에 있어 보다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모든 대학 구성원이 선정된 핵심역량과 개발된 핵심역량 진단시스템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역량기반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of the core competency diagnostic system for undergraduates by examining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 university s core competency diagnosis system. In order to construct a core competency diagnostic system for S university, first, competency modeling was performed and core competencies were derived. Next, a core competency diagnostic tool consisting of the final 104 items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terview, preliminary investigation, main survey, and revision. An online core competency diagnosis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 result of core competency diagnosis was utilized to provide effective feedback of the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building a core competency diagnostic system are as follows. This study provided a platform for discus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re competency diagnostic system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the analysis system of university educ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a more substantive effec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ll university members must fully recognize the core competency and core competency diagnosis system. A consensus on the necessity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 among should be formed.

      • KCI등재

        담화표지 ‘아’, ‘어’, ‘음’의 성별과 연령별 사용 양상

        송영숙(Youngsook Song),심지수(Jisu Shim),오재혁(Jeahyuk Oh) 한국음성학회 2020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2 No.4

        이 연구는 담화 표지 ‘아, 어, 음’의 출현 빈도와 발화 시간, 발화 위치 등을 계량적으로 관찰하여 성별과 연령별 차이를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용량 음성 코퍼스인 서울코퍼스를 이용하였고, Praat(ver.6.1.31)으로 음길이와 실제 발화를 확인하고, Emeditor(ver.17.6.1)로 코퍼스를 분석하고, R(ver.3.4.4)로 통계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성별에 따라 보면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단독 발화에서 ‘음’이 고빈도로 사용되었고, 발화 종결 위치에서의 평균 음길이 또한 길었다. 연령에 따라 보면 발화 시작 위치에서 10대에서는 ‘아’가, 40대는 ‘어’가 고빈도로 출현하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This paper quantitatively calculated the speech frequency of the discourse markers ‘a’, ‘eo’, and ‘eum’ and the speech duration of these discourse markers using the Seoul Corpus, a spontaneous speech corpus. The sound durations were confirmed with Praat, the Seoul Corpus was analyzed with Emeditor,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by statistical analysis with R. Based on the corpus analysis,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a particular factor is preferred by speakers of particular categories.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the corpus is that the sound durations of female speakers were longer than those of men when using the ’eum’ discourse marker in a final position. In age-related variables, teenagers uttered ‘a’ more than ‘eo’ in an initial position when compared to people in their 40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has quantitatively analyzed the discourse markers ‘a’, ‘eo’, and ‘eum’ by gender and age. In order to continue the discussion, more precis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the context. In addition, similarities can be found in “e” and “ma” in Japanese(Watanabe & Ishi, 2000) and ‘uh’, ‘um’ in English(Gries, 2013). afterwards, a study to identif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can be predicted by using the cross-linguistic analysis of the discourse.

      • KCI등재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재직자 교육훈련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송영숙(Youngsook Song),정화민(Hwa-Min Je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은 중소기업 재직근로자의 전략분야 인력양성사업의 일환이며, 공동훈련에 필요한 인프라, 훈련비, 인건비 및 일반운영비 등을 국가에서 지원하는 사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재직자 교육훈련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교육훈련 재직자 과정에 참여한 707명의 자료를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컨소시엄 교육훈련 참여자의 성별, 강사 만족, 교육시설 및 서비스 만족 요인이 교육훈련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사 만족, 교육시설 및 서비스 만족, 성별 순으로 교육훈련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다. 성별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교육훈련 만족에 더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직위, 직군은 교육훈련에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강사 만족이 교육 훈련 만족의 가장 큰 영향 요인이라는 점에서 강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강사에 대한 지원을 체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교육훈련 참여자가 교육훈련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현업에서 교육훈련전이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의 환경 조성 및 시설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여성 재직자의 교육 훈련 참여를 높이고, 여성 재직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훈련 교육과정의 설계 및 시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훈련 내용의 적절성, 교육훈련 시간의 적정성, 직무의 연관성, 직무의 기여도 면에서 질적 수준을 높이는 데에도 보다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The consortium for the HRD ability magnified program is part of the joint training program for SMEs in the strategic field and supports the infrastructure, training, personnel, and general operation expenses required for the joint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as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of the Consortium for the HRD Ability Magnified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Gender, trainer satisfaction, educational facilities and service satisfactio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raining program satisfaction. The impact on education and training satisfaction of gender, instructor satisfaction, educational (facilities) and service satisfaction was high and in that order. It was found that the male participants have a more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than the female participants. Age, job group, and job titl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raining program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he capacity of the trainers should be strengthened. It is important to provide facilities that enable trainees to participate effectively in education and training and increase the transfer of education and training to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implement a curriculum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female trainees`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More effort is needed to improve the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contents, education and training time, job relevance, and job con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