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 보육 기관평가 국제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영국, 노르웨이,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송신영 ( Shinyeong Song ),장혜진 ( Hyejin Ja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영국, 노르웨이, 뉴질랜드에서 이루어지는 유아교육·보육 기관 대상 평가를 국제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유아교육· 보육 기관평가에 도움이 되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국, 노르웨이, 뉴질랜드의 유아교육·보육 관련 부처의 홈페이지와 평가관련 공식기관 및 공식문서, 학술논문, 전문가와의 면담 등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평가제도 및 목적, 평가체제 및 절차, 평가 내용 및 기준, 평가결과 활용, 평가자 관리로 나누어 비교·분석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보육 기관평가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평가의 목적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평가절차가 간소 화되어야 하며, 평가의 목적에 부합하고 기관의 맥락을 반영하는 지표를 구성해야 하며, 평가결과 활용에 대한 논의가 적극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끝으로 평가에 관련된 이슈가 기술적인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유아의 웰빙과 기관의 자발적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철학적인 이슈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evaluation for Korea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through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ECEC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valuation of England, Norway and New Zealand. It is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based on literature study. Main resources were each government``s official documents, web-based contents from official web-sites related to ECEC evaluation, and conversation with professionals. The collected data were divided and analyzed by 5 items: the purpose, system/procedure, content/standard, use of the result of and management of evaluators. The policy implications through an international comparison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is a need to clearly identify the purpose of evaluation. Second, evaluation procedure should be more simplified. Third, indicators should consider evaluation``s purpose and each institution``s context. Fourth, the use of evaluation result should be more actively discussed. Lastly, more diverse groups can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process. This study would an insight and valuable implications to find a direction of both integrating and enhancing evaluation system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내용 분석: 신체활동과 영양교육을 중심으로

        송신영(Shinyeong Song),김길숙(Gilsook Kim) 삼육대학교 미래사회와기독교연구소 2023 융합학문과 기독교 Vol.4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신체 건강과 관련하여 국가 수준의 초기 누리과정을 근거로 한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신체활동과 영양교육 관련 내용 범주를 영역별로 살펴보고 관련 활동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누리과정에서 신체 건강 관련 내용과 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2013년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에서 보급한 누리과정 해설서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빈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활동과 관련된 내용은 신체운동⋅건강 영역과 예술경험 영역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신체활동과 운동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 범주는 ‘신체 인식하기’와 ‘신체 조절과 기본 운동하기’, ‘신체활동에 참여하기’이었고 예술경험 영역에서는 ‘예술적 표현하기’ 중 ‘움직임과 춤으로 표현하기’이었다. 또한 영양교육에 대한 내용은 신체운동⋅건강 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건강하게 생활하기’ 내용 범주 중 ‘바른 식생활하기’와 관계되어 있었다. 둘째, 5세 누리과정에서 신체활동을 다룬 활동은 총 101개이며, 4세는 147개, 3세는 120개로 4세 과정에 가장 많은 신체활동 관련 활동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영양교육 활동은 3세 24개, 4세 29개, 5세에서 22개의 활동이 제시되어 있어 4세의 경우 29개의 활동으로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었으며 5세가 22개로 가장 적은 영양교육 활동을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유아의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해 어떤 부분이 부족하고 개선해야 할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ntent categorie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education by area and analyze how much related activities are included in the early Nuri course at the national level related to physical health of young children, focusing on the Nuri course commentary by age and the teacher's guide.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and activities related to physical health in the Nuri cours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Nuri course commentary and the Nuri course teacher's guide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3, and the frequency was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content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was included in the physical exercise/health area and the art experience area, and the content categories directly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were ‘body recognition’, ‘body control and basic exercise’, and ‘body control’. ‘Participating in activities’ and ‘Expressing through movement and dance’ among ‘Artistic expression’ in the field of art experienc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were covered in the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area, and it was related to ‘healthy living’ content category. Second, there were a total of 101 activities dealing with physical activity in the 5-year-old Nuri course, 147 activities in the 4-year-old and 120 activities in the 3-year-old, and the most physical activity-related activities were covered in the 4-year-old course. As for nutrition education activities, 24 activities were presented for 3 years old, 29 for 4 years old, and 22 activities for 5 years ol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on what parts are lacking and need to be improved to improve the physical health of young children when revising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국공립보육시설 확충을 위한 우선설치지역 선정의 탐색적 연구

        신나리(Shin, Nary),송신영(Song, Shinyeong),이은경(Lee, Eungyoung) 한국생활과학회 2010 한국생활과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select vulnerable regions with insufficient child care services based on an in-depth investigation of divers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o establish a practical goal for the expansion of public child care centers through identifying priority regions in foremost need of public child care centers out of the vulnerable regions. The vulnerable regions were selected from both urban and rural areas with particular criterions to determine their critical situation. First of all, the number of children aged zero to five, private and public child care centers, and capacity and enrolment of the regional child care center were selected from towns (Eup) and townships (Myeon) within rural areas and neighborhoods (Dong) within urban areas to calculate the capacity fulfillment. Specifically, a dense population of low-income families inhabited within urban areas defined the region’s vulnerable status for the analysis, whereas poor accessibility of a child care center within rural areas correspond to the lack of child care services. The analytical result displayed that a total of 456 towns and townships did not acquire child care centers. Out of 456 towns and townships, 162 were selected as priority regions. On the other hand, 546 neighborhoods corresponding to upper 30 percentiles of urban area where children receive basic subsidy for low income families were selected as vulnerable regions. Out of 546 neighborhoods, 243 were selected as priority regions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