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론』에서 mê thorubein의 사용

        송대현(Song, Daehyeon) 한국수사학회 2021 수사학 Vol.- No.41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론』에서 소크라테스는 법정에서 재판관들과 청중들에게 자신의 연설로 인해 ‘소란을 일으키지 말기’(mê thorubein)를 다음과 같은 맥락에서 요청한다. (1) 아고라에서 사용하던 단어와 말하는 방식을 채택하더라도 소란을 일으키지 말라고 미리 당부한 후(17c-18a), 이 내용을 다시 환기시켜 소란을 일으키지 말라고 요청한다(27b-c). (2) 소크라테스가 가장 지혜롭다는 델피 신탁의 내용을 언급할지라도 소란을 자제해 달라고 미리 당부한 한 후(20e), 이 내용을 다시 언급하면서 소란을 일으키지 말라고 요청한다(20e-21a). (3) 소크라테스 자신은 아테네에게 준 신의 선물이며, 아테네라는 굼뜬 말을 깨우는 등에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이라고 말하려 한다. 이런 내용을 들어도 소란을 일으키지 말아달라고 요청한다(30c). 결국, 이런 소란은 소크라테스의 변론에 대한 재판관들과 청중들의 불만족스러움을 표현하며, 이것이 판결에 영향을 주었다고 해석 가능하다. 이런 소란 각각은 소크라테스에 대한 그들의 감정ㆍ심리적 반응, 즉 혐오와 분노, 다중(多衆)들의 질투와 시기, 거만함과 고집스러움에 대한 그들의 부정적 심정을 나타낸다. In Plato’s Apology of Socrates, Socrates asks his judges and bystanders mê thorubein(‘not to make a disturbance’) at his trial in the following vein: (1) He asks them in advance not to make a disturbance even though he would adopt the same as the words he uses and the way he talks in the market place(agora), then he once again call for them not to do that in order to draw their attention to his request(17c-18a, 27b-c). (2) He asks them not to make a disturbance, even though he would mention that the Delphic Oracle says that ‘no one is wiser than Socrates’(20e-21a). (3) He asks them not to make a disturbance, even though he would say that he is a gift from god to Athenians and a sort of gadfly that awakens the city of Athens that is comparable to a great and noble, but rather sluggish horse(30c). In sum,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se disturbances represent discontent among judges and bystanders in his apology, which would affect his sentence. Each of these disturbances shows their psycho-emotional responses to him, such as hatred and anger, collective jealousy and envy, their feelings about his arrogance and stubbornness.

      • KCI등재

        원통좌표계 기반의 상반신 포즈 인식

        박재완(Jaewan Park),송대현(Daehyeon Song),이칠우(Chilwoo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9 No.7

        In this paper, we propose how to recognize upper-body poses using depth image based cylindric coordinate system. In order to recognize the pose, we configure the cylindric coordinate system belong to body features and the distance which is configured from camera to center of body using the pose candidate images. And we extract vectors of the features using depth informations which are presented brightness values. The extracted vectors are mapped to radial feature space and classified pose pattern. And the pose patterns are learned using average of the feature points and recognized the poses by comparing pre-defined pose patterns using euclidean distance. In this paper, in order to classify the features of the upper poses, we proposed method which can be composed of the poses and the upper pose patterns. The poses and the pose patterns are composed by using distance and angle from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In this paper, we purpose to extract effective pose information using simple operation applying dynamic cylindrical model to pose candidate images. 본 논문은 원통좌표계를 기반으로 하는 깊이영상을 이용하여 상반신 포즈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포즈를 인식하기 위해서, 포즈후보 영상을 이용하여 카메라로부터 신체 중점까지의 거리와 신체특징에 따라 원통좌표계를 설정한다. 그리고 밝기값으로 표현되는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벡터를 추출한다. 추출된 원통좌표계의 특징벡터는 원형의 특징공간에 표현되고 포즈 패턴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포즈 패턴들은 특징벡터들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학습되고 미리 정의된 포즈 패턴들과 유클리디언 거리로 비교하여 포즈로 인식된다. 상반신 포즈의 특징을 구분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포즈와 포즈패턴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포즈와 포즈 패턴은 원통좌표계의 중점에서의 각도와 거리를 이용해서 구성된다. 본 논문은 포즈후보 영상에 동적인 원통 모델을 적용하여 간단한 연산을 통해 효과적인 포즈 정보 추출에 목적을 두고 있다.

      • 건설폐수의 친환경 처리를 위한 급속응집기술 개발

        이준호 ( Lee Junho ),연익준 ( Youn Ikjun ),이명진 ( Lee Myungjin ),김규형 ( Kim Gyuhyeong ),송대현 ( Song Daehyeon ),양승호 ( Yang Seungho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건설은 사회기반을 설치하고 인간 생활환경을 개선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대기, 수질, 폐기물, 소음진동, 토양환경 등 환경보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큰 편이다. 특히 건설사업장에서는 공사과정 중에 표토의 굴삭작업 등을 수반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표토유실 및 토사면의 노출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강우 시에 토사가 섞인 오탁수 등 비점오염물질 발생을 야기하여 현장 주변 수계에 영향을 준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공사의 종류와 시공방법에 따라 특성이 매우 다르다. 폐수가 발생되는 대표적인 공사는 터널, 지반, 기초공사, 지하철 공사 등 대부분 굴착이 필요한 현장이다. 최근의 토목건설은 과거의 무분별한 개발의 개념을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환경파괴를 최소화하는 친환경적 구조물의 설계시공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국내 비점오염원 관리 기술은 오탁방지막, 세륜시설, 침사시설 등의 제한적인 처리시설만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형식의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은 그 처리 효율이 제한적이고 해당 현장의 환경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처리효율이 높고 건설현장 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적용성이 용이한 비점오염 처리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건설폐수 처리 장치에서 제거된 폐 슬러지의 재활용 및 자원화 방안을 모색하여 건설폐수의 종합적인 처리시스템을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 시 발생하는 폐수를 키토산과 같은 친환경 응집제를 적용하여 초고속 응집 및 응결을 통해 후속처리공정과 연계하여 수면적부하율을 극대화한 처리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공정을 실험실 규모로 구성하여 실험을 통해 최적 운전조건 및 설계조건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실규모 처리시설 제작 및 사업화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건설폐수 급속응집을 위한 하이드로싸이클론 설계

        이준호 ( Lee Junho ),연익준 ( Youn Ikjun ),김규형 ( Kim Gyuhyeong ),송대현 ( Song Daehyeon ),양승호 ( Yang Seungho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상수처리 및 하수고도처리의 경우 비교적 깨끗한 물(부유물질 농도 10mg/L 이하)에 약품을 첨가하여 최대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응집침전법을 주로 이용한다. 응집침전법은 급속교반 이후 플럭을 키우기 위한 완속교반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침전이 가능하도록 최대한으로 플럭을 키워야 되므로 응집보조제나 폴리머 등이 추가적으로 사용된다. 이에 반해 고농도 폐수의 경우 부유물질 농도가 100mg/L 이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입경분포가 다양하며, 약품과 입자간의 충돌과 결합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비중이 1보다 작은 입자들이 큰 입자들과 결함하여 무거운 플럭을 형성 할 수 있다. 하이드로싸이클론은 높은 수면적부하율로 운전이 가능하고 구동부분이 없으며, 운전 및 유지관리가 적게 소요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한편, 수처리에서는 입자분리, 고/액체분리에 국한되어 있으며, 건설폐수 처리를 위한 고속응집공정에 하이드로싸이클론을 적용한 국내·외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 하이드로싸이클론에서 발생되는 회전류(vortex)를 폐수처리를 위한 급속교반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폐수가 하이드로싸이클론으로 유입되는 부분의 형상이 최적조건으로 설계되어 회전류 발생이 극대화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CFD)을 통해 하이드로싸이클론 회전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설계인자를 도출하여 실험장치 제작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유입부 직경과 하이드로싸이클론 내경을 동일하게 적용하고 유입유속을 1.0m/sec로 하여 해석을 수행한 결과, 일반적 설계와 비교하여 최적설계인자를 적용한 하이드로싸이클론에서 회전류가 강하게 발생하였다. 유체해석에 사용된 설계인자를 바탕으로 제작된 하이드로싸이클론은 유량 8.6m3/day에서 속도경사 G값은 1,569sec-1, Gㆍt값은 24,629로 나타나 Camp가 제시한 104∼105 범위를 만족하였다.

      • 건설폐수 급속응집을 위한 하이드로싸이클론 설계

        이준호 ( Lee Junho ),연익준 ( Youn Ikjun ),김규형 ( Kim Gyuhyeong ),송대현 ( Song Daehyeon ),양승호 ( Yang Seungho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상수처리 및 하수고도처리의 경우 비교적 깨끗한 물(부유물질 농도 10mg/L 이하)에 약품을 첨가하여 최대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응집침전법을 주로 이용한다. 응집침전법은 급속교반 이후 플럭을 키우기 위한 완속교반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침전이 가능하도록 최대한으로 플럭을 키워야 되므로 응집보조제나 폴리머 등이 추가적으로 사용된다. 이에 반해 고농도 폐수의 경우 부유물질 농도가 100mg/L 이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입경분포가 다양하며, 약품과 입자간의 충돌과 결합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비중이 1보다 작은 입자들이 큰 입자들과 결함하여 무거운 플럭을 형성 할 수 있다. 하이드로싸이클론은 높은 수면적부하율로 운전이 가능하고 구동부분이 없으며, 운전 및 유지관리가 적게 소요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한편, 수처리에서는 입자분리, 고/액체분리에 국한되어 있으며, 건설폐수 처리를 위한 고속응집공정에 하이드로싸이클론을 적용한 국내·외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 하이드로싸이클론에서 발생되는 회전류(vortex)를 폐수처리를 위한 급속교반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폐수가 하이드로싸이클론으로 유입되는 부분의 형상이 최적조건으로 설계되어 회전류 발생이 극대화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CFD)을 통해 하이드로싸이클론 회전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설계인자를 도출하여 실험장치 제작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유입부 직경과 하이드로싸이클론 내경을 동일하게 적용하고 유입유속을 1.0m/sec로 하여 해석을 수행한 결과, 일반적 설계와 비교하여 최적설계인자를 적용한 하이드로싸이클론에서 회전류가 강하게 발생하였다. 유체해석에 사용된 설계인자를 바탕으로 제작된 하이드로싸이클론은 유량 8.6m3/day에서 속도경사 G값은 1,569sec-1, Gㆍt값은 24,629로 나타나 Camp가 제시한 104∼105 범위를 만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