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사회인지적 행동 모델의 유용성에 대한 메타분석

        손영곤(Youngkon Sohn),이병관(Byoungkwan Lee) 한국언론학회 2012 한국언론학보 Vol.56 No.6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literature of social cognitive studies. The present study is a quantitative integration and review of the studies in that field. Through a meta-analysis on 120 independent studies published up to the end of 2011, this study found that the TPB accounted for 27.9% and 31.5% of the variance in behavior and behavioral intention, respectively.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BC) accounted for the significant amounts of variance in both intention and behavior, which was added in the former model,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he results also found that the subjective norm was a weak predictor of behavioral intentions.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meta-analytic studies conducted in the U.S. and implies that TPB needs to improve the measurement and to add another normative componen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meta-analytic review, this study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s in which current TPB research can be taken forward.

      • KCI등재

        부정적 기사 내용, 소비자 조절초점 성향, 메시지 소구 방향의 조절초점 (불)일치성이 광고맥락효과에 미치는 영향

        손영곤(Sohn, Youngkon),문관식(Mun, Kwansik),정윤재(Jung, Yoonjae),신일기(Shin, Ilgi)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광고연구 Vol.- No.129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자동차 개발과 더불어 탄소배출을 최소화도록 하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완성차 제조사들은 환경문제와 연비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기술 투자에 막대한 재정적 투입을 늘리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듯 소비자들의 자동차 선택과정에서 환경보호 정도를 중요한 구매결정요인으로 고려하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들의 광고마케팅 전략 방향 또한 환경과 연비를 강조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미쓰비시와 폭스바겐과 같은 유명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의 조작사건은 해당 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쳐 소비자들의 신뢰는 깨지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을 통해, 본 연구는 동종업계 기업 관련 부정적 뉴스를 통한 소비자의 부정적 경험이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형성되고 이에 따른 경쟁사의 광고메시지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어떻게 다르게 하는지 이론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론과 점화효과이론을 바탕으로 삼원요인실험을 설계하였다. 분석결과, 미쓰비시 연비조작사건기사에 노출된 촉진성향 소비자는 예방성향 소비자보다 광고 제품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기사 내용 유형, 소비의 조절초점성향, 그리고 광고메시지 유형 의 조절초점 일치 여부에 따라 촉진성향 소비자와 예방성향 소비자의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Environmental pollutions have made consumers more interested in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motivated consumers to purchase them. Accordingly, global vehicle manufacturers have invested in developing technologies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like hybrid cars and planned a variety of advertising campaigns to emphasize their technologies and vehicles. In this regard, Volkswagen and Mitsubishi scandals inspired us to ask how negative publicity makes consumers feel regulatory fit violation and how the primed experiences cause consumers to react to advertisements for hybrid vehicles launched by other companies. In order to theoretically answer these questions, the current study employs regulatory focus and priming theories and conducts a three-way design: 2(Mitsubishi fuel economy scandal vs. a Volkswagen emission scandal) × 2(Promotion-oriented focus vs. Prevention-oriented focus) × 2(Fuel economy improvement message vs. Emission reduction message). As a result, promotion-oriented participants" attitude toward vehicle manufacturers is more negative than prevention-oriented participants" when they are exposed to Mitsubishi fuel economy scandal. Furthermore, we find that the differences of attitude toward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between promotion-orientation and prevention-oriented participants depend on whether or not they experience regulatory fit violation between the contexts of scandals and the types of advertising messages.

      • KCI등재

        컨조인트 분석에 의한 포털 플랫폼 신문광고 상품의 최적화 전략

        손영곤(Youngkon Sohn),김병희(Byoung Hee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7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포털 뉴스 페이지의 신문광고 영업을 위한 소비자 유인방안과 영업 전략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포털 이용자들이 포털에서 뉴스를 볼 때 나타나는 광고에 대해 중요하게 평가하는 속성은 무엇이며, 선호도가 가장 높은 최적의 광고상품 조합은 무엇인지 규명했다. 포털 뉴스 이용자들이 인식하는 신문광고의 중요도를 규명하고, 가상의 광고상품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예측했다.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본 연구는 광고형태(디스플레이 광고, 동영상 광고, 네이티브 광고), 게재위치(언론사 홈, 기사본문 하단, 기사본문 중간), 소구형태(정보제공, 흥미유발), 제품유형(고관여 이성, 고관여 감성, 저관여 이성, 저관여 감성) 등 4개의 속성과 속성별로 2~4개의 수준을 정하고, SPSS의 직교설계를 이용한 부분 요인설계를 통해 20개의 광고상품 조합을 추출했다. 컨조인트 분석 결과, 속성 중에서 제품유형이 인터넷 포털 광고에 주목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이 광고형태, 게재위치의 순이었으며, 소구형태에 대해서는 고려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ew alternatives in terms of consumer engagement and business strategy for newspaper advertisement within the portal platform newspaper se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ritical factors(attributes) of advertisement on online portal newspaper section that influence on the perceived evaluation towards the advertisement, and proposed the optimal combination of online-advertisement based on consumers’ level of preference. The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online portal news users towards newspaper advertisement, and its future market share by conducting simulations on mock advertisement products. Applying conjoint analysis, this study focused on sorting out the newspaper advertisement into four types; advertisement type(display ad, video ad, and native ad), placement(on the main page of the press, at the bottom of article text, and in the middle of article text), appeal type(information suggestion, and interest arousing), product type(high involvement rational/emotional, and low involvement rational/emotional). For the data analysis, twenty advertisement product combinations were selected based on two to four levels for four attributes by conducting fractional factorial design using SPSS. As a result of conjoint analysis, the product type among the four attributes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aying attention to internet portal advertisements, followed by advertisement type, placement, and appeal type.

      • KCI등재

        옥외광고물 활성화 제도(자율관리구역 및 한시적 자유표시구역)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개별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손영곤 ( Sohn Youngkon ),신일기 ( Shin Ilgi ),김희정 ( Kim Heejung ),김기민 ( Kim Kimin )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1 No.2

        옥외광고물법의 개정에 따라 국내 옥외광고 환경은 상당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옥외광고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자율관리구역과 한시적 자유표시구역 제도를 둘러싼 전반적인 인식과 이슈를 고찰하고 향후 연착륙을 위한 지역 선정 및 그 운영방향을 위한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제언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에서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자율관리구역과 한시적 자유표시구역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인식하고 있지만, 실무 단위의 제도적 이해와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은 아직까지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자율관리구역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사회를 포함한 이해관계자들의 사전 충분한 공감대 형성과 의견 조율이 전제되어야 하며, 한시적 자유표시구역은 해당 지자체의 기획력, 유동인구 유입으로 대표되는 공간적 특성, 기업 유치를 통한 사업성, 랜드마크화 등 문화적 특성을 두루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는 전문가의 의견이다. 향후 옥외광고물 운영과 관련해서도 자율관리구역은 도시형태별로 상이한 기준과 광고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시적 자유표시구역은 안정성, 철거 용이성, 원상복구 등의 요건을 갖추고 있다면 광고형태나 규격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전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율관리구역과 한시적 자유표시구역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였다. With the amendment of the outdoor advertising law, outdoor advertising industries are facing enormous and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outdoor advertising expert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perception and issues surrounding the autonomous management district and the temporary free outdoor advertising district. Advertising experts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autonomous management zones and temporary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s. And they also agree that specific strategies for institutional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working units are still lacking. To settle the autonomous management district, it is necessary to form a consensus of the stake-holders including the local residents, public officer, and advisory consultant. The temporary free outdoor advertising district is composed of planning a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and spatial characteristic represented by flowing population. Advertising experts express the core factors for settlement of temporary free outdoor advertising district reflect regional, econom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Based on advertising experts opinion,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in outdoor advertising district are discussed.

      • KCI등재

        기업의 PR 프로그램은 얼마나 효과적인가?

        김대욱(Kim, Daewook),손영곤(Sohn, Youngkon),서동명(Seo, Dong-Myung),최명일(Choi, Myung-il)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9 No.2

        본 연구는 기업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PR 프로그램이 얼마나 효과적이며, 그 효과 방향이나 정도는 어떠한가를 살펴보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조직-공중관계성, 기업 이미지, 기업 명성(평판)을 PR 효과로 상정한 선행 연구들에 대한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통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 포함 논문은 총 89편이었으며, 연구대상은 30,180명이었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PR 프로그램은 조직-공중관계성, 기업 이미지, 명성 및 평판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조직-공중관계성에는 CSR 활동이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고, 그 다음으로 인터넷/소셜 미디어 PR, 기업 정체성 PR의 순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이미지에서는 기업 정체성 PR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CSR 활동, 이벤트 활동, 스폰서십, 프로모션, 문화예술 PR, 인터넷/소셜 미디어 PR 프로그램의 순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명성 및 평판에서는 인터넷/소셜 미디어 PR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CSR 활동, 기업 정체성 PR 프로그램이 그 다음으로 효과적인 PR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수행된 개별 PR 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PR 효과를 산출하는가에 대한 객관적이고 실질적인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실무자들의 PR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corporate public relations (PR) activities are effective. To do so, this study conducts a series of meta-analysis for the research related to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OPR),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repu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s that PR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of OPR,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reputation. Specifically, CSR activities have the strongest effects on OPR, followed by the internet/social media PR, corporate identity PR. In addition, corporate identity PR activities are more effective on enhancing corporate image rather than CSR activities, event PR, sponsorship, promotion, art PR, the internet/social media PR. For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reputation, the internet/social media PR is effective, followed by CSR activities, corporate identity PR. These results may be used as practical evidence for evaluating PR activities and fundamental evidence for planning PR activities.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기획자, 경험자, 비경험자간 인식 차이

        이수범(Soobum Lee),손영곤(Youngkon, Soh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에 관한 리터러시 기획자와 리터러시 경험자, 리터러시 비경험자 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에 기초한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객관적 일치도의 경우 리터러시 경험자와 비경험자 간에 일정 부분 인식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주관적 일치도와 관련하여 리터러시 비경험자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모든 요인에 대해 리터러시 기획자나 경험자와 차이를 지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도에 대해서는 리터러시 경험자와 리터러시 기획자가 추정한 경험자의 관계에서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었을 뿐, 다른 집단간 상호 인식에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리터러시 비경험자 집단의 경우 미디어 리터러시의 의의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To analyze media literacy practitioners’, media literacy experienced, and media nonexperienced persons’ perceptional differences toward media literacy, this study adopted co-orientation model, using agreement, congruence, and accuracy. This study analyzed empirical relationships among their own perception, their inference about others’ percep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media literacy practitioners and media literacy experienced persons on agreement. Also, media literacy nonexperienced persons didn’t perceive media literacy practitioners and media literacy experienced persons perception on congruence. On accuracy,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literacy experienced persons and media literacy practitioners toward media literacy constructs was similar, and that there was a hug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practitioners,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persons. And, media literacy nonexperienced’s persons didn’t seem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 literacy.

      • KCI등재

        소비자가 인식하는 구매 시기와 제품 유형의 시간적 거리감이 광고 정보처리 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일기(Shin, Ilgi),손영곤(Sohn, Youngk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광고연구 Vol.0 No.112

        본 연구는 소비자의 해석 수준에 따른 시간적 거리와 제품 유형인 실용재와 쾌락재에 노출되는 광고 메시지를 어떻게 처리하여 구매에 이르게 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들에게 시간적 거리감과 제품 유형(실용재, 쾌락재), 그리고 제시되는 광고 메시지가 제품 본질적인 측면 강조 여부에 따른 광고 속성의 삼원 요인 실험설계를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시간적 거리감과 제품 유형, 시간적 거리감과 광고 속성의 이원상호작용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보면 먼 미래 시점의 소비자 광고 태도와 제품 태도의 형성을 위해서는 제품의 본질적인 기능이나 속성을 소구하는 광고 전략이, 가까운 미래 시점의 경우 구매 시점의 촉진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점을 소구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 방향과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nsumers’ construal level interprets advertising messages which contains temporal distance and then their interpretation influences their intention to purchase. Further, it is assumed that both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types of products differentiate the impact of consumers’ construal level on processing advertising messages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is, this study employs a three-way design: 2 (high temporal distance vs. low temporal distance) × 2 (hedonic vs. utilitarian products) × 2 (functional vs. symbolic appeals). Even though there is not a three-way interaction of temporal distance, the types of products, and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the results significantly reveals that there exist a two- way interaction between temporal distance and the types of product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mporal distance and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is plausible that functional appeal is more effective for consumers who consider a distant future purchase. In contrast, symbolic appeal is more persuasive for people who decide a near future purchase. With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일기(Shin, Ilgi),손영곤(Sohn, Youngkon),이진우(Lee, Jinwoo),정윤재(Jung, Yoonja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2

        본 연구는 소비자의 추론수준에 따른 시간적 거리와 마감시간 압박이 노출되는 광고메시지를 어떻게 처리하여 구매에 이르게 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소비자들에게 한정된 기간 내에만 구매할 수 있음을 강조하는 광고 전략을 내세우는 소셜커머스에서 제품 사용상황을 기준으로 시간적 거리감과 제품 마감시간에 따른 시간 압박, 그리고 제시되는 광고메시지가 제품 본질적인 측면 강조 여부에 따른 광고속성의 삼원 요인 실험설계를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비자들은 시간 제약에 놓일 경우 단순화한 정보처리과정을 거쳐 의사결정을 하고 있었다. 둘째, 휴리스틱 의사결정의 연장선상에서 마감시간은 시간적 거리감의 영향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셋째, 시간적 거리감과 마감시간은 소비자들에게 전달되는 광고메시지를 구성하는데도 하나의 지침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광고메시지 구성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onsumers perceive both temporal distance and time pressure embedded in advertising messages and explore how such perception leads to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Besides, this study theoretically employs a traditional approach to explain the effect of advertising appeal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ccordingly, this study generates eight separate conditions: 2(high temporal distance level vs. low temporal distance level) × 2(high time pressure vs. low time pressure) × 2(functional appeal vs. symbolic appeal). Participant(n=227) wer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large universities in Korea. In sum, this result first reveals that people under a high time pressure condition tend to make a purchase decision by employing simple information process. Second, the results illustrates that time pressure mediates the effect of temporal distance on people"s heuristic information process. Finally, both temporal distance and time pressure direct people"s purchase intention. Given the findings, we sugges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discuss methodological limitations.

      • KCI등재

        유명인 모델의 공신력 척도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

        이병관(Lee, Byoungkwan),손영곤(Sohn, Youngkon),강경희(Kang, Kyungh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3

        본 연구는 메타 분석에 의한 신뢰도 일반화(reliability general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국내 유명인 모델 속성의 측정 척도에 대한 신뢰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76편을 대상으로 매력성, 신뢰성, 전문성 등 유명인 모델 속성 척도의 평균 신뢰도 계수를 계산하였다. 또한 표본크기, 평균, 표준 편차, 여성 비율, 척도 유형, 측정 도구 원천 등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조절 효과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명인 모델 속성 측정 도구의 신뢰도 평균은 매력성이 .823, 신뢰성 .850, 전문성 .830으로 비교적 안정된 신뢰도를 보이고 있었다. 국내 유명인 모델 속성 측정 도구는 측정값의 평균, 표준 편차, 척도 유형, 여성 표본 비율, 20대 이하 표본 비율 변인과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변계수 모델을 적용하여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동 요인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고자 하였다. A reliability generalization (RG) study was conducted for the celebrity endorsement scale that consist of three sub-dimensional scales such as credibility, expertise, attractiveness. The celebrity endorsement scale is the most commonly used tool in the field of advertising effects. In conducting this study, an extensiv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major academic publications in Korea, with 76 articles reviewed and coded. Using a varying coefficient mode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average reported alpha coefficients ranged from .823 for attractiveness to .850 for credibi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magnitudes of alpha coefficients varied depending on various moderators such as mean scores, standard deviation scores, scale type, and ratio of female and younger age in the samples. Discussions are made concerning the necessity for further use of the celebrity endorsement scales.

      • KCI등재

        한국형 타임스퀘어의 장소성 형성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 코엑스 옥외광고 자유표시구역의 장소성을 중심으로

        신일기(Shin, Ilgi),손영곤(Sohn, Youngk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4 No.4

        장소란 무엇인가? 공간과 장소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장소는 공간에 주관적인 가치와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생성되는 공간이다. 이렇게 볼 때 장소는 반드시 유명 관광지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장소성의 초기 형성은 미디어 및 온오프라인 구전을 통해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초기의 발생은 이미지와 향유할 수 있는 콘텐츠의 형태로 전달되고 안정된 경험의 수준에 따라 명소로 유지되거나 소멸하게 된다. 이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도심도 경험적 소비를 위한 대상도 공간, 나아가 특정 장소가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독특한 미디어와 광고물 그리고 문화예술 행사의 경험적 소비가 장소성에 대한 초기 구성과 수용자들의 인식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명소화 프로젝트가 진행된 옥외광고 자유표시구역의 장소성 형성과 그에 따른 방문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콘텐츠와 문화예술행사 등 다양한 볼거리와 다른 즐길거리를 제공하는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이 장소성 형성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대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소성을 형성하는 물리적, 행동적, 의미적 요인은 모두 장소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장소 정체성은 장소 애착과 장소 의존성,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렇게 형성된 장소성은 다시 사람들의 방문의도를 높이는데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자유표시구역 방문 여부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여 장소성 형성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엑스 자유표시구역의 장소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What is a plac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pace and place? The place refers to the space generated by giving subjective values and meaning to the space. In this sense, the place is not necessarily a famous sightseeing. The city center of everyday life can be a place for empirical consumption, and it can be a pla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location of the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and the intention to visit accordingl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ense of place. The effect of contents using digital signage and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on the forming sense of place and intention of visit in the outdoor advertisement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was empirically analyzed. To this end, factors that form sense of place were classified physically, behaviorally, and semantically, and to analyze sense of place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it was divided into place identity, place attachment, and place dependence. To verify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327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physical, behavioral, and semantic factors had a signigicant effect on place identity, and place identity had an effect on place attachment, place dependence, and visit intention. The sense of place formed in this way had a positive (+) effect on increasing people’s intention to visit again. In addition, a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visit the COEX Free Display Are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place formation in dep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sures to increase the location of the COEX Free Display Zon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