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딜타이 사상에서 칸트 철학의 이해와 수용

        손세훈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硏究 Vol.- No.74

        This study emerged from the study of Kantian philosophy and Dilthey’s texts. A comparison between the Kantian philosophy and the literature of Dilthey shows that many considerations, especially in the field of natural philosophy and the theory of historical-religious world remained unconsidered. It is therefore tried to explain the problem of knowledge of the aesthetic world in a partly historical, partly ethical and social investigation. In trying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through his connection with the whole, it is assumed that this whole thing is already known. On the other hand, the context of the whole should be opened up precisely by understanding individual aspects. Accordingly, there is so called a hermeneutic circle. The individual reveals itself from the whole, the whole of the individual. Already had that been formulated in the field of German Idealism as a totality-concept. Dilthey finds the German Idealism with the fact that the man from the given abundance of things can be ordered by prevailing ideas about the general concepts and universals in his thinking. They overlook the full and concrete unity of the individual and general to rise up and to realize in name of totality-concept as before announced synthesis. This means that to raise itself to the central principle of German idealism. 본고에서는 딜타이가 칸트의 자연철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정신과학의 영역으로 자신의 해석학을 발전시켜 나갈 때 그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다루고자 한다. 칸트는 판단의 가능성의 조건들에 대한 선험철학적 물음들을 주제화한다. 판단력은지성과 이성 사이에 있는 중간 능력으로, 사물을 합목적성에 따라판단하는 능력이다. 자연과 인간의 합목적적 관계는 실천적 행위의 결과물이며, 따라서 판단력에 바탕을 둔 해석학은 우리 삶에서 핵심적인 것을 발견하고 동시에 학문에 본질적 세계를 반영하기위한 노력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칸트 철학은 보편적인 것과 특수한 것을 판단의 대립에서 이끌어 낸다. 주관성이나 객관성과 같이 보편성과 특수성의 개념을 칸트는 서로 대립적인 개념들의 관계를 결정하는 관계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해석학적 순환의 개념과도 일치한다. 동시에 칸트는 자연관찰과 관련된 목적론적 판단에서도 보편성과 특수성의 개념을 사용한다. 판단력은 단지 미적 판단의 도구만이 아니라 특수한 것을 보편적인 것과 구분하거나 연결시키는 역할을하는 것이다. 개별적인 것은 구체적인 개체성을 가질 수 있다. 전형적인 개체 개념은 부분으로 제한된 대립관계에서 통일성의 연속으로 표현된 총체성을 전제하는데, 이는 딜타이가 말하는 자의식을 강조한 정신과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시편 병자시에 관한 연구

        손세훈 그리스도신학대학교 출판부 2010 교수논문집 Vol.10 No.-

        The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in the Psalms In this thesis, the writer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in the Psalms. And he came to the result as following: Psalmist who was sick thinks that the basic causes of his sufferings come from God. Therefore the psalmist thinks that he suffers pain because God hides Himself from the psalmist, or God gets angry with or leaves him. This shows us that the psalmist has severe sufferings and he cannot understand the sufferings in his faith. But he believes only God under the extreme situations of severe sufferings. He is convinced that God will solve his sufferings. In the psalmist’s convictions and praises of God, we can find that the psalmist’s sufferings are being solved at any way, because the psalmist professes that God heard the cries of psalmist and relieved him. God’s hiding, anger and leaving are passing thoughts were started from that the psalmist had doubted for a while the relation of God to him because of his sufferings by the enemies. And the convictions, praises and vows of the psalmist show that he perceived of God’s providence and love and he recovered his belief in God after he had undergone the sufferings by the enemies. What the psalmist was relieved by God means that the universal righteousness of God has been realized in the psalmist’s lives. Thus he gives thanks to God and holds service with pleasure.

      • KCI등재

        루만과 독일관념론의 예술철학 비교

        손세훈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루만과 독일관념론의 예술철학 비교손 세 훈**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학자로 알려진 니콜라스 루만의 이론을 근대 독일관념론자들의 여러 예술철학과 같이 비교하며 유사성을 정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루만은 ‘예술’을 독립된 논제로 다루지는 않았다. 실제로는 여러 가지 단편화되고 사후에 재구성된 루만의 예술저작으로부터 독일관념론과 연관시키는 것은 맥락적 독해가 필요하다. 특히 독일관념론에서부터 이어져온 자의식의 개념과 자기준거개념을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우선, 루만의 사회학이 칸트, 셸링과 같은 독일관념론은 자의식 개념을 출발점으로 하고 있음을 밝힌다. 또한 예술철학이 가지는 기반이 단순히 감각에 기반을 둔 미학이 아니라 시대의 윤리학, 역사까지도 아우르는 삶의 철학 전체의 모습과 닮아 있음을 증명해 나가는 과정이 루만과 독일관념론은 서로 유사하다는 점을 밝힌다. 결론 및 제언: 그러므로 독일관념론뿐만 아니라 해석학자 딜타이의 예술철학의 방법론은 루만의 자기준거에 기반한 사회철학까지 이어진다. 핵심어: 루만, 독일관념론, 자기준거, 자의식, 예술철학 □ 접수일: 2022년 7월 31일, 수정일: 2022년 8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도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부산외국어대학교 만오교양대학 조교수(Professor, Busan Univ. of Foreign Studies, Email: undiner@bufs.ac.kr) Comparison of Art PhilosophyBetween Luhmann and German IdealismSehoon Son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the theory of Nicholas Luhmann, known as a modern sociologist, with the various art philosophies of modern German idealists and tries to sort out the similarities. Luhmann did not treat ‘art’ as an independent topic. In reality, it requires a contextual reading to relate to German idealism from various fragmented and posthumously reconstructed works of Luhmann’s art. Luhmann’s concept of art is based on the concept of self-consciousness that has been inherited from German idealism. To summarize this: First, German idealism, such as Luhmann’s sociology or Schelling, takes the concept of self-consciousness as a starting point. Second, the foundation of the philosophy of art is not simply aesthetics based on the senses, but resembles the whole of life that encompasses the ethics of the times and even history. Third, the problem of parts and wholes found in the tradition of organic theory or Dilthey’s hermeneutics extends to Luhmann. Key Words: Luhmann, Deutsche Idealism, Selbstreferenz, Selbstbewusstsein, Artphilosophy

      • KCI등재
      • 독일보육시설에서 어린이의 참여에 대한 법적 근거와 개념

        손세훈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21 법무보호연구 Vol.7 No.2

        독일 내 보육시설의 이용은 기본법 뿐만 아니라 사회법에 기초한다. 여기에는 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적극적인 권리행사 이외에도 보육시설 내에 어린이들의 교육참여와 계획 수립, 각종 사안 동의와 같은 어린이들이 행정적인 일에도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어린이들의 참여 권리가 독일의 보육에서 시행되는 법적인 현황을 살펴본다. 또한 어린이들 스스로 자신의 발달,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참여할 권리가 있는지, 아니면 단순히 수동적인 참여를 요구받도록 설계된 보육시설에 참여하는 것을 방지하는 법적 장치들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The use of childcare facilities in Germany is based on social law as well as basic law. In addition to the active exercise of the right to use childcare facilities, it also contains content that encourages children to actively participate in administrative tasks such as participation in education, planning, and consent to various issues within childcare facilities. This paper examines the legal status of children's right to participate in childcare in Germany. It also seeks to determine whether children hav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decisions that affect their own development and character, or what legal mechanisms prevent them from participating in child care facilities designed to simply require passive participation.

      • KCI등재

        시편 표제어 첨가에 관한 이해

        손세훈 한국구약학회 2010 구약논단 Vol.16 No.2

        There are several distinguishable elements in the Psalm-headings. Some are relatively easy to define, while others get steadily more obscure. Psalms are not only poetical but musical. Several musical instruments are mentioned in the Psalms. Musical directions are given in the headings of many psalms, especially in the first three books: often the directions simply say 'for the chief musician', but some times they are considerably fuller, though difficult to be understood. And the situational context(Sitz im Leben) of final form can reasonably be placed between the time of the Chronicler and Maccabaean period.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correlation between Psalm-headings and the Psalms' main text. Until now, most of scholars have not concerned about the meaning of the Psalm-headings in the Psalms. It is because the Psalm-headings in the Psalms had been edited in the latter period, while other versions were explaining the historical situation in the texts. Nevertheless, there is a reason to have a total of 116 headings in the Psalms (in its own way). Although the Psalm-headings in the Psalms had been edited in the latter period, it could catch a glimpse of the editor's theological perspective. It seems that the editor wanted to have readers understand deeper meaning. The writer came to a result as following:1) The concern to the tune- When compared the tune with text, the tune of Psalm-headings became a source of understanding the Psalms' text. (Pss. 7, 9, 16, 22, 32, 42, 44, 52, 53, 55, 56, 57, 58, 59, 60, 74, 78, 81, 84, 88, 89, 142). 2) The concern to the figures and historical context -In the Psalm-headings the figures and the historical context greatly helped to understand the psalmist's context(Pss. 3, 7, 52, 57, 59, 60). As a result, Psalm-headings of the Psalms give a clue to the understanding on the text and a particular figure or a historical context in it. 본 글의 목적은 시편에 표제어를 첨가할 당시, 편집자의 의도를 이해하기 위하여 표제어와 본문과의 상관성에 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표제어의 음악적 지시와 역사적 언급을 본문과 비교하였다. 총 29편(시 3, 7, 8, 9, 16, 22, 32, 42, 44, 45, 52, 53, 54, 55, 56, 57, 58, 59, 60, 69, 74, 75, 78, 80, 81, 84, 88, 89, 142편)을 살펴본 결과, 표제어는 본문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임을 알았다.

      • KCI등재

        딜타이 사상에서 실증주의에 대한 이해와 수용

        손세훈 범한철학회 2017 汎韓哲學 Vol.84 No.1

        In der zweiten Hälfte des 19. Jahrhunderts ist der Positivismus eine der bedeutendsten philosophischen Richtungen. Der Positivismus geht vom Gegebenen aus, nur das Tatsächliche wird untersucht, das Sein der Objekte kann man nicht erkennen, metaphysische theoretische Erörterungen über das Sein werden für unmöglich gehalten. Man war sicher, dass es möglich sein müsste, die ausschließlich auf Gesetze hin ausgerichteten Einzelwissenschaften zu einer natürlichen Ordnung zusammenzuführen. Im Zusammenhang mit der Ausbreitung der Naturerkenntnis hat sich der Positivismus im 19. Jahrhundert zu einer herrschenden Gestalt der Weltanschauung entwickelt. Die Positive Philosophie vermag die Notwendigkeit aufzuweisen. Die Wissenschaft, in der wir uns bewegen, kennt kein anderes Gesetz, als dass alle Möglichkeit sich erfülle, keine unterdrückt werden. Die positive Philosophie ist besonders im deutschen Idealismus eine Vereinigung von Pantheismus und Theismus. philosophy. Dilthey ging von Kant und Hegel aus, welche die Philosophie zur allgemeingültigen Wissenschaft hatten erheben wollen. Schelling gilt als Begründer des Positivismus. Die Voraussetzung von Schellings Transzendentalsystem, das Ganze des Seienden als „fortgehende Geschichte des Selbstbewusstseins“ vorzutragen, besteht also in einer zweifachen Erweiterung des Begriffs des „Ich“ oder der Subjektivität. 이 논문에서는 딜타이의 철학을 실증주의와 유기체론, 총체성과 같은 독일 관념론에서 주로 쓰인 개념들을 통해 해석학이 가진 과학철학적 의미를 새롭게 고찰해보고자 한다. 딜타이가 속한 철학적 사조인 해석학은 기존의 형이상학적이고 추상적인 철학적 단초들, 예를 들어 신적인 절대이성이라든가 법칙적 지성의 역할과 같은 논의들을 벗어나 인간의 경험과 실천적 관심 속에 파악하였다. 하지만 일종의 착상의 전환이라고 해야 할 이러한 해석학은 그 전 시대 철학계를 풍미한 독일관념론의 대가인 칸트, 피히테, 셸링, 헤겔과 같이 많은 풍부한 자연철학에 대한 사유분석을 수용하였고 특히 과학철학에서 실증주의가 말하는 가설연역과 맞닿아 있다. 실증주의에서 말하는 경험에 바탕을 둔 실천적인 사유나 행위들에 대한 새로운 방식이나 개념찾기는 단순히 영미권에서 일어난 사유철학만이 아니다. 특히 셸링의 철학 안에서 중요한 주제로 자리잡고 있는 실증주의는 딜타이의 해석학 안에서 그 실천적인 측면을 다시 강조한 철학적 운동으로 그 의미를 되살려본다. 실증주의적인 자연인식은 과학을 운동전단계가 원인과 결과로 설정되는 동치관계로 설정된다. 그렇기에 과학은 개념화를 통해 단지 구체적인 예시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이런 동치관계를 파악해 가는 개인의 자의식과 그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일반화를 통해 보다 깊이 있는 현실성을 가지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