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요추 척추관 협착증에서의 시상 균형 및 보상 작용

        이창섭,최장석,김영창,서승석,안기찬,손상동 대한척추외과학회 200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8 No.1

        목적 : 요추 척추관 협착증에서 시상면상의 체간 균형과 시상 요소들의 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대상 기전에 주로 관여하는 시상 요소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 63명을 대상으로, 14x36인치 기립 측면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였다. 제 7경추 수선 거리와 고관절 굴곡각을 측정하여 체간 균형 상태를 파악하였다. 흉추 후만각, 요추 전만각(유합 분절각, 인접 분절각)그리고 골반 경사각을 측정하고, 한국인 정상 범위와 비교하여 대상 기정에 주로 참여하는 요소를 파악한고자 하였다. 또한 술후 추시상 유합 분절각의 교정 정도에 따라, 체간 균형의 변화와 시상 요소들의 변화를 통해 대상 기전과 이에 참여하는 시상 요소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결과 : 술전 시상 정렬은 제 7경추 수선 거리가 +3.04cm(±0.91;이하 SD), 흉추 후만각 30˚(±12.1), 요추 전만각 43.1˚(±14.7), 병소 분절각 21.5˚(±14.9), 골반 경사각 21.7˚(±8.2)이었다. 시상 균형의 평가상 8명을 제외한 55명에서 채간 균형 상태를 보였다. 정상 범위와 비교해 흉추 후만각은 평균 2.0˚감소한 반면 골반 경사각은 10.1˚증가를 여였으며, 흉추 후만각은 8명에서 정상 범위보다 감소한 반면, 골반 경사각은 49%인 31명에서 정상 범위보다 증가하여 골반 경사각이 보다 적극적으로 대상 기전에 참여하였다. 술후 유합 분절각이 5˚이상 증가한 14명에서는 유의한 제 7경추 수선 거리의 후방 이동이 있었으며, 5˚이상 악화된 11명에서는 제 7경추 수선 거리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인접 분절각이 대상 기전의 참여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과신전 상태를 보였다(유합 분절각 9.8˚의 감소에 따른 인접 분절각의 7.1˚증가). 결론 :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들은 대부분 전방 이동된 제 7경추 수선 거리를 보이는 대상된 체간 균형 상태를 보였다. 시상면상의 대상 기전에는 인접 분절각과 골반 경사각의 증가가 주로 작용하고 있었다. Purpose : To evaluate the sagittal alignment and the main factors contributing to sagittal compensatory mechanism in lumbar stenosis. Materials and Methods : 63 patients of spinal stenosis surgically treated were evaluated using 14x36 inch standing lateral films. The global sagittal balance was measured with C7 plumb line and hip flexion angle. The thoracic kyphosis, lumbar lordosis and pelvic tilting angle were compared to each of normal korean values to find out main factors participating in compensatory mechanism. At last follow-up, at least 6 months after surgery, the changes of sagittal parameters and global balance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orrection amount of pathologic segments' angle to understand the compensatory mechanism and its contributing factors. Results : The C7 plumb line was +3.04 cm(±0.91 SD), thoracic kyphosis 3O.0˚(±12.1), lumbar lordosis 43.1°(±14.7) and pelvic tilting angle 21.7°(±82). All patients except 8 showed global compensation state. The differences compared to normal korean values were 10°of pelvic tilting angle and 2°of thoracic kyphosis. Pelvic tilting angle was more contributing factor of compensatory mechanism than thoracic kyphosis. At last follow up, 14 patients surgically corrected 5˚or more showed significant posterior shift of C7 plumb line and increased lumbar lordosis(p<O.o5). 11 patients aggravated So or mor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adjacent segment angle to participate in compensatory mechanism(p<O.o5). Conclusion : Most lumbar spinal stenosis patients showed compensated sagittal balance state. Adjacent segments and pelvic tilting were thought as main contributing factors of compensation mech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