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통일기 신라사회에 나타난 북방 유목문화의 특징

        손병욱 ( Byeong Ook S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11

        본고의 고찰을 통해서 삼국통일기(540~681) 신라사회에는 다양한 형태로 유목문화적 특징들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시대이념으로 작동하면서 삼국통일을 이끌었던 완성기 풍월도(風月道)의 가장 주요한 특징인 의(義) 중심의 화랑제도는 물론이고, 그것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낭도부곡(郎徒部曲) 역시 유목문화의 영향을 짙게 받은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이 시기에는 지증마립간(智證麻立干; 500~514) 시기부터 중국으로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농경문화에 바탕을 둔 유교문화도 공존하였음에 틀림없지만, 시대를 이끌어 가는 주류는 분명히 유목문화였다고 하겠다. 즉, 유목문화를 주류로 하고 농경문화 내지 유교문화를 부차적인 것으로 삼았던 시대적 특징이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당시 신라사회는 유목문화가 지니는 장점과 농경문화가 지니는 장점을 동시에 살림으로써 강력한 공동운명체 의식을 형성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 조건이 불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삼한일통(三韓一統)이라는 거대한 성취를 이룰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특히 정(情)과 의(義)를 공존시키면서도 뚜렷하고 분명한 공동의 목표를 지향하는 낭도부곡의 작동원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낭도부곡은 ``형제애(兄弟愛)가 넘치는 동지조직(同志組織)``의 전형(典型)으로서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었고, 나아가 이러한 분위기를 신라의 전 사회에 확산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작동 원리는 다시금 남북통일기(南北統一期)를 사는 오늘의 우리 한국인들로 하여금 공동운명체 의식을 형성하고 강력한 힘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체제경쟁에서 승리하도록 하고 나아가 평화통일을 이룩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여전히 유효하다고 하겠다.

      • 선비의 수양(修養)과 삶

        손병욱 ( Byeong Ook Son ) 南冥學硏究院 2012 南冥學 Vol.17 No.-

        본고에서는 ``현대 혹은 미래의 바람직한 한국적 인간상으로 서의 선비란 누구며, 선비가 되기 위해서 어떻게 공부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먼저 과거의 선비를 옛 선비로, 앞으로의 선비를 참 선비로 명 명하였다. 그런 다음에 그들의 공부와 삶이 어떠했는지 탐색해 보았다. 그 내용은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옛 선비란 누구이며, 어떻게 닦고 어떻게 살았던가?`` 여기서는 먼저, 옛 선비가 꿈꾸었던 이상향(理想鄕)이 무엇이었으며, 개인적 목표는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옛 선 비의 하루하루의 삶과 일생의 삶을 표준화시켜서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는 옛 선비들이 어떻게 수양하고 공부했는지를 살펴 보았다, 그리고 끝으로, 이상의 고찰을 종합함으로써 옛 선비상 이 어떠했는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앞으로의 선비인 참 선비란 누구이며, 어떻게 닦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고찰하였다. 여기서는 먼저, 옛 선비상을 통해서 본 선비용선비문화의 상수(常數)와 변수(變數)가 무엇 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참 선비를 육성하기 위한 조건과 수양방법을 탐색해 보았다. 여기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지향하는 이상향의 비전과 참 선비의 자격조건이 무엇이며, 이러한 자각조건을 갖추기 위한 수양방법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는 학교 인상교육을 통한 참 선비 육성방안을 탐구하였다. 여기서는 세 가지 중점방안으로서 지향처(志向處)세 우기 교육, 명상교육, 그리고 습관화 교육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습관화 교육의 일환으로 바람직한 일과표 모델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앞으로 배출하고 정립하게 될 참 선비적 삶의 양상과, 지금까지의 논의를 종합한 바람직한 참 선비상을 각각 제시해 보았다.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figure out who the classical scholar is as a desirable Korean human character, in modem and future time, and how we could study to become a classical scholar. First of all, the classical scholar of the past is named as ``an old SEONBI`` and the coming scholar as ``a true SEONBI``. Next, their lives and studies have been explore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ly, ``Who is an old SEONBI, and how did he live and train? In this question, we have studied what an ideal world he dreamed was like and what his personal aims were. Then, we standardized his everyday life and whole life. Third, we explored how old SEONI3I trained and studied in the past. Finally, we tried to adduce how the old SEONBI was like by gathering up the above consideration. Secondly, ``Who is a true SEONBI, the coming scholar, and how should he live and train?`` In this question, we have explored an invariable number and variable number in scholar and scholar cultures. The next step is searching for some ways and qualifications for promoting ``a true SEONBI. In this stage, more specifically, we have explored vision of an ideal world, qualifications for becoming a true SEON13I and the ways of training. The third step is that we have studied some plans for promoting a true SEONBI`` through school personality education. In this stage, there are three plans-education for setting aims, meditation training and habituation- as intensive plans. Also, we modeled a desirable daily task as a suggestion. This could be a part of habituation,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e aspects of coning ``a true SEONBI`s`` life and how a true SEONBI could be like by summing up the study so far.

      • 남명학과 인성교육의 방향

        손병욱 ( Son Byeong-ook ) 南冥學硏究院 2017 南冥學 Vol.22 No.-

        본고에서는 한국선비문화연구원에서 앞으로 남명 선생의 실천적인 선비문화를 계승하고 확산시키기 위한 인성교육을 시행하려고 할 때, 그 방향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다루었다. 첫째,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에 대한 진단이다. 이는 약을 처방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건강상태를 잘 알아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특히 왜 이 시대가 위기의 시대인지를 언급하였다. 둘째, 이러한 진단을 바탕으로 인성교육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이 인성교육을 위해서 한선원이 담당해야할 역할을 모색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1. 한선원에서 배출할 이상적인 인간상인 창의적 리더가 곧 현대판 남명이라고 봤다. 그리고 그는 한국의 미래 비전인 `강하면서도 선한 문화국가`를 실현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2. 한선원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담아야 할 핵심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삶을 위한 인성교육구조도>를 제시하였다. 3. 한선원이 다른 인성교육기관과 변별되는 특징과 장점이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셋째, 한선원의 교육대상을 염두에 둔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구상하였다. 다양한 교육대상을 염두에 두고 이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1주용과 3주용 시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한선원의 입지적 조건을 살려서 제대로 된 인성교육을 시행하기 위해서 제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이 인적 구성임을 강조하였다. In this paper, the writer aimed to research on the problem that when we would like to do the education for human being`s good personality(EHBGP) for the succession & spread of actual Seonbi culture at Korean Seonbi Culture Institute(KSCI), how we would decide on the future direction. The writer dealt with following problems. At first, the writer made a diagnosis about korean prsent times. Especially the writer stressed that korean people have faced national crisis. The Second time, the writer stressed on the necessity of the EHBGP and researched on the role of KSCI. In detail, the writer dealt with such as three problems. 1. The writer regared the creative leader who would be the ideal type of KSCI as Nammyeong in this times, and stressed that the creative leader would have to do the main role to realize the strong and good cultual nation as korean future vision. 2. The writer presented < the structual diagram of education for human being`s good personality for the successful life > which were based on the important contents of educational programme for human being`s good personality. 3. The writer researched on the good points of KSCI which were distinguished from another educational institute for human being`s good personality. At third, the writer made out the scheme about educational programme for human being`s good personality for the students of KSCI. Considering several types of students, the writer presented 1 week and 3 week programme model for human being`s good personality which were applied to everyone commonly. In conclusion, the writer stressed on the importance of personal organization of KSCI to do the optimum EHBGP.

      • KCI등재

        ‘지금여기와 호흡명상’으로 비추어 본 불교 자아관(自我觀)

        손병욱 ( Son Byeong-oo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4

        본고에서는 불교의 수행과 깨달음을 일관하는 핵심 개념인 ‘지금여기’가 ‘호흡명상’과 밀접불가분한 연관성을 가진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지금여기와 호흡명상’을 불교적 자아관의 관점에서 해명함으로써 호흡명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다시 이 자아관을 진리관, 수증관, 진아관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한국 대승불교에서 그 동안 제기된 몇 가지 문제를 해명해 보고자 하였다. 진리관에서는 불교적 자아가 우주적 자아임을 전제한 뒤, 깨달음에 대한 일화의 고찰을 통해서 지금여기가 갖는 수행과 깨달음으로서의 의미를 각각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증관에서는 지금여기와 우주의 밀접한 관계를 탐구하고, 깨달음의 방법으로서의 정념(正念)과 호흡명상, 그리고 깨달음으로서의 지금여기가 갖는 다양한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진아관에서는 진아가 무엇을 가리키며, 이것이 무아와 다른가, 같은가? 아트만과는 다른가, 같은가? 이 용어가 갖는 전변설(轉變說)적인 요소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진아’개념은 비불설(非佛說)이라는 주장을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대승불교로서의 한국불교가 명실상부(名實相符)하자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런 물음에 대한 해답의 모색을 통해 불교 자아관에 대한 이해의 폭을 심화시키고 깨달음과 닦음의 문제를 보다 용이하게 해명함으로써, 한국불교가 대승보살도를 실현하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In this paper, the author gave special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main concept of ‘Here and Now’ which is consistent from training to enlightenment on Buddhism has deep relation with the ‘Breath Meditation’. And also I wanted to emphasize on the importance of ‘Breath Meditation’ as the method of the explanation to the relation of Here and Now & the Breath Meditation. Furthermore, I tried to answer to the several questions which were demanded to explain as the method of examining the view point of self through dividing the view point of truth, the view point of training-enlightenment, and the view point of true self. In Chapter Ⅱ, the view point of truth on Buddhism, on condition that self on Buddhism is the same as universal self, I tried to present the means of training and enlightenment through the research about anecdotes. In Chapter Ⅲ, the view point of training-enlightenment on Buddhism, I tried to research the deep relation between Here & Now and Universe, between right mindfulness[正念] and Breath Meditation, and the several meanings of Here & Now as the enlightenment on Buddhism. In Chapter Ⅳ, the view point of true self, what is the identity of true self? What difference is the true self from an-atman? Is the true self same as atman or different from atman? How do we understand that this word has the mutable elements? And how do we understand the opinion that the concept about true self disagree with Buddhism? What action do Korean Buddhism needs in order to agree with the name as Mahayana buddhism? I hoped to be able to give some helps for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through answering these questions. In this paper, I wanted to understand the view point of self on Buddhism more deeply. And I tried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training and enlightenment.

      • KCI등재
      • 청담조사(靑潭祖師)의 사상과 진주정신(晉州精神)

        孫炳旭 ( Son Byeong-ook ) 경상국립대학교 청담사상연구소 2021 마음思想 Vol.13 No.0

        본고에서 살펴 볼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진주정신이란 무엇이며, 이것이 청담조사의 사상형성에서 어떤 의미와 비중을 갖는가? 진주정신의 핵심은 의의 실천 곧 행의이다. 그리고 이것은 진주인이 지닌 의적 기질에서 연원하였다. 진주인의 의적 기질은 가야인의 기질이었고, 이것은 유목문화권에서 연원하였다. 청담은 토박이 진주인이었다. 진주에서 태어나서 진주에서 학창시절을 보내고 결혼하였다. 청담의 선대는 대가야의 수도였던 경북 고령에 500년 이상 살았고 이후 진주로 이거하였다. 청담에게는 『화랑세기』에서 묘사한 가야파의 특징인 의적 기질이 유전적, 자연[지리]환경적인 요소에 의해서 그대로 계승되었다. 그리하여 많은 일화를 남겼고, 나아가 이것이 그의 불교사상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의 불교사상의 특징은 불교 일반의 관점에서는 마음 사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청담만이 지닌 특징적인 것으로서는‘위대한 사판승으로서의 특징’을 포함한 6가지 특징으로 요약된다. 여기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봤다. 그리고 이러한 7가지 특징을 일관하는 정신은 그가 지닌 강렬한 의적 기질에서 연유하였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진주정신의 핵심인 행의를 가능하게 한 의적 기질에서 발현된 청담의 사상이 이 시대에 어떤 의미를 줄 수 있으며, 또 후학들이 이러한 그의 사상을 계승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탐구하였다. In this paper, I researched the following question. What is the core contents of the spirit of Jinju(晉州) area? How the formation of venerable Cheong-dam’s thought was operated by the spirit of Jinju area? As the result, I searched this answer. That is to say, the core contents of the spirit of Jinju are the practice of right, and the spirit of Jinju was came from Gaya (伽耶) Dynasty belonging to the ancient Korean several Dynasties. Jinju people’s righteous temperament was originated in Gaya people’s disposition. Gaya people’s disposition was originated in the area of nomadic culture. Cheong-dam was native Jinju man. He was born in Jinju and grew, graduated high school and married in Jinju. He livered in Jinju until the age of 25. His ancestors had livered in Goryeong(高靈) area during 500 years, which was the capital of Daegaya(大伽倻) Dynasty during long times. His grandfather moved Jinju. From these facts, I knew that he had originally Gaya people’s disposition, as it was righteous temperament. He remained many interesting stories which were relation to righteous temperament. Furthermore, his original righteous temperamen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Cheong-dam’s Buddism thought. Cheong-dam’s Buddism thought. As the general aspects, the features of his Buddism thought were able to call mind idea. But his own features were able to summarize six points including the great monk who aid Buddist exorcisers. I would like to explain that his consistancy spirits of 7 features were originated in his strong righteous temperament. Furthermore, I researched that Cheong-dam’s thought would give what message at this time, and how the future scholars would success his thought. As the general aspects, the features of his Buddism thought were able to call mind idea. But his own features were able to summarize six points including the great monk who aid Buddist exorcisers. I would like to explain that his consistancy spirits of 7 features were originated in his strong righteous temperament. Furthermore, I researched that Cheong-dam’s thought would give what message at this time, and how the future scholars would success his thought.

      • KCI등재

        기획논문 : 송산(松山) 권재규(權在奎) 성리학의 구조와 실천윤리사상

        손병욱 ( Byeong Ook So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4 No.-

        본고에서는 송산(松山) 권재규(權在奎)를(1870~1952)가 형성한 사상의 성리학적 구조를 해명하고, 이것이 지닌 실천윤리적인 특징이 무엇인지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그의 성리학적 구조는 수이야인(修已冶人) 중 수이(修已)에 속하는 위이지학(爲已之學)의 삼대영역과 治人에 속하는 경세지학(經世之學)으로 이루어진다. 수기의 삼대영역 중 본체논(本體論)에서는 태극논(太極論),리기논(理氣論),리일분수설(理一分殊說),체용륜(體用綸)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그는 리(理)·일원적(一元的) 리기체계(理氣體系)를 정립, 제시 하였다. 심성론에서는 심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심은 통체(統體)이고 성은 조리(條理)라고 하였다. 그리고 艮齎 田愚(1841- 1922)의 ``성은 스승이고 심은 제자`` 라고 하는 사심제세(師心弟說)을 비판하였다. 심성론에 속하는 사단칠정륜(四端七情淪)에서는 칠정포사단(七情包四端), 칠정(七情)과 사단(四端)이 모두 기발(氣發)이라고 하면서도 사단은 리(理)의 주재(主宰)가 관철된 기발(氣發)이므로 선(善)하고, 칠정은 정이 제멋대로 분출된 기발이라서 악하다고 하였다. 아울러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 명덕세(明德說) 등에서 사세(師說) 을 계승하여 자신의 유리론적(唯理論的) 견해를 피력하였다. 실천론[수양론]에서는 성인(聖人)이 되기 위해서는 경(敬)의 실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때 경은 거경존심(居敬存心)과 거경성찰(居敬省察)을 말하는데, 정시(靜時)에 거경존싱이 되어야 동시(動時)에 거경성찰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거경존심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정좌수연법(靜坐修練法)을 제시하였다. 그의 경세론은 수기가 되면 치인이 저절로 되므로 일단 수기에 전심전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성의정심(誠意正心)과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는 들이 아닌 하나요, 도학(道學)과 절의(節義) 역시 그러하다고 보아 수기에 치중하는 그런 경세론이라고 하겠다. 특히 유도(濡道)가 쇠미한 시대에 처하여 도통(道統)을 유지하는 것이 급선무이며, 이를 위해서는 직접 정치에 나서기 보다 후학을 양성 하는 것이 자기의 본무라고 보았다. 권재규의 실천윤리적 성격으로는 정좌수련 외에 知행병독사상(行幷篤思想), 매우 규칙적 이고 습관화된 일상적인 삶, 예의규범을 중시하는 예학사상(禮學思想)을 꼽을 수 있다. 그의 사상이 지니는 한계와 의미는 무엇인가? 한계로는 시대의 변화에 둔감 하였다는 것이지만, 그 의미로는 현시대 물질문명이 정신문화를 압도함으로써 야기되는 문제점, 특히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청소년의 바람직한 인성 형성``에 매우 유익한 시사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In this paper, well study two large themes, First, what is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e thought of ethics of korean new confucianist Kwon, Jae Gyu(權在奎)? Second, what is the Figures of ethics of him? His philosophical structure has four domains. These are the theory of Taegeok(太極論), (this is the same as the theory of Li-Gi), the theory of human mind & human nature(心性論) the theory of mental training(實踐論), and the theory of administration(經世論). At the theory of Taegeok 太極論), he stresses on the philosophy of Li(리), not as Ki(氣). At the theory of human mind & human nature(心性論), he stresses on the importance of human mind. The important point is that human mind is better as compared with human nature. And he criticizes the theory of that human nature is teacher, but human mind is student(師心弟說) which is presented by Cheon, Woo(田愚) who is one of the famous confucian scholars at the same period as Kwon, Jae Gyu. At the theory of Four-Seven emotions(四端七情淪), he insists on three points, At first, Four emotions belong to Seven emotions. Second, Four-Seven emotions are taken place from Ki. Third, Four emotions are good, but Seven emotions are evil, At the theory of mental training, 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e of awakened consciousness for the Confucian Saint. At this time, the virture of awakened consciousness means two meanings. At first, this means fostering my moral sentiment during calm period. At second, this means examining oneself during active period. And he presents the practice of sitting in meditation(靜坐修練法) a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the practice of awakened consciousness. What is his important point of the theory of administration? That is that without the accomplishment of training oneself, we can not rule people effectively. So, the accomplishment of training oneself is important for ruling other peoples. Therefore he concentrated his efforts on training his students in order to make true Confucian practices and scholars. His practical thoughts includes that knowledge must accompany with practice(知行幷篤), peoples must act many kinds of good manners, etc. At present, his teaching and thoughts give great meanings for cultivating young people` human nature effectively.

      • KCI등재

        "호흡명상적 염불선"의 정립을 위한 시도

        손병욱 ( Byeong-ook S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6

        최근에 와서 점차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염불선은 청화선사(1923-2003)가 이것을 복원하고 보급하는 일에 평생을 매진하였다. 그리고 이 염불선의 수 행법은 그의 스승인 금타화상(1898-1948)이 지은 「보리방편문」 속에 잘 드러 나고 있다. ‘(삼신일불의) 아미타불 수행법’이 그것이다. 그 장점은 이성적일 뿐 아니라 생명·감성·인격적인 특징을 두루 지니고 있어서 누구나 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것은 한 국불교에서 정통 수행법의 하나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필자는 그 원인 을 이 수행법이 갖는 변별성, 특히 정통 수행법인 간화선이나 근래에 와서 소 개되어 두루 수용되고 있는 테라바다 수행법과의 차별성에서 찾고자 하였다. 즉, 변별적인 특성이 도리어 기존의 한국불교 내지 초기불교와 소통하는데 장애물로 등장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염불선을 호흡명상과 결합함으 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해 보았다. 그리하여 이 둘의 장점을 결합한 ‘호흡명상적 염불선’을 제시하고 이것이 어떤 수행법적 특징을 갖는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 수행법은 아미타불 수행법의 장점을 살리면서 동시에 간 화선적인 요소는 물론이고 테라바다의 위빠사나, 사마타적인 요소를 포함한 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앞으로 이 호흡명상적 염불선이 제대로 정립 ·보급되어서 많은 사람들이 수행의 효과를 보게 되면 염불선 역시 한국불교의 중요한 수행법 중 하나로 인정될 수 있을 것인바, 그 수행법이 구체적으로 무 엇인지에 대하여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Recently, many people interest in the Zen of Amitabha. Especially CheongHwa, the monk of Zen Master(淸華禪師 : 1923-2003) had tried to restore and spread widely the Zen of Amitabha[念佛禪] all his life. And the training method for the Zen of Amitabha was presented in the Sentences for Spiritual Enlightment[菩提方便門], which was written by GumTa, the monk of Zen Master(金陀和尙 : 1898-1948), who had been the teacher of CheongHwa. What are the features of Amitabha Zen? This include the character of reason, life, emotion and personality. So everyone can learn the training method easily. But in spite of these good points, Korean Buddhism has not recognized this training method as main training method. What is the reason? I would like to research as the main reason that because this training method has clear distinction with the Zen of Ganhwa[看話禪] or the Theravada Buddhism, the Zen of Amitabha could not come to understand each other. So I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combining the Zen of Amitabha with the Breath Meditation [呼吸冥想]. Thus I presented the Zen of Amitabha based on the Breath Meditation, which were combined with the good points of two methods, and then I researched the training distinction of the Zen of Amitabha based on the Breath Meditation. As the result I gave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is training method concludes the good points of the Zen of Amitabha, the main points of the Zen of Ganhwa, and the main points of Theravada Buddhism. If many people gain good effects through this Zen of Amitabha based on the Breath Meditation, this new method will be recognized as the main traing method. So I tried to research that what is this method.

      • KCI등재

        특집논문2 불교사상과 문화의 현대적 의미와 응용 : 한국불교의 대승보살도 실천을 위한 방안 고찰 -상구보리와 하화중생의 문제를 중심으로-

        손병욱 ( Byeong Ook S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9

        대승보살도에서 본다면 보살은 하화중생 없이는 상구보리의 성불에 이를 수 없다. 그런데 한국불교(조계종 중심의 한국 선불교)는 대승불교를 표방하면서도 하화중생은 뒷전으로 제쳐두고 오직 상구보리의 성불에만 정신을 쏟고 있는 듯하다. 그 결과 한국불교가 대중들과 유리되어산중불교, 수행불교의 한계를 못 벗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불교의 주류인 출가승들이 보살도를 실천하자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국불교 스님들의 당면과 제가 깨달음과 닦음의 문제가 아니라 보살도의 실천이라고 보았다. 그것은 곧 깨달음의 사회적인 확산, 효율적인 하화중생의 시행이 될 것이다. 보살승이 되자면 하화중생 이전에 선오후수에 의거한 깨달음[상구보리]이 필요한데, 여기에 들이는 시간은 수계이후 최대한 6년을 넘기지말아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스님들이 석가모니의 제자자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하화중생을 통하여 한국사회의 현안문제, 특히 고통을 야기하는 제반문제 해결에 한국불교가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낡은 시스템을 과감히 버리고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보살도 실천을 위한 시스템의 대강을 구상하여 제시하였다. 앞으로 한국불교가 통일한국 시대를 맞이하게 되면 해야 할 일이 많을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여기서 스님들은 삼국통일기(540~676) 신라의 원효와 최근세 인물인 백용성 스님의 행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특히 이들의 하화중생의 정신을 철저하게 본받아서 그 정신으로 무장하고 그 정신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야말로 한국불교가 지금의 침체기를 벗어나서 재도약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보았다. At the point of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bodhisattva can``t become a buddha without saving all sentient beings. And yet korean Zen buddhism which belongs to Mahayana buddhism only seems to be concerned with the attaining spritual enlightment but is unconcerned with saving all sentient beings. As the result, korean Zen buddhism is separated with popular, can``t escape from the limits of Mt. buddhism and the buddhism for training. So then the monks who are belong to the main current of korean buddhism, what method do they have to practice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In this article, at the view point of these critical minds, the author thought that korean monks have the practicing problem of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as an urgent question, not the problem about becoming a Buddha or trining method. If I explain it with another words, it will be the social spreading of spritual enlightment which is equal to practice of saving all sentient beings. The monk of bodhisattva needs qualifications for the attaining spritual enlightment before the saving all sentient beings. For this attaining spritual enlightment, he must finish his homework as the attaining spritual enlightment within 6 years. If he can do this homework, he can maintain Buddha``s discipleship. And then korean buddhism must offer an important service for solving painful problems of present korean society by saving all sentient beings. If we want to do these duties, we must introduce a new system, at the same time we must give up an old system. So I offered the system for practicing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roughly. In the future, korean buddhism must do many affairs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of the unified korean ages. What kind of affairs must we do? How will we be able to solve many problems? Now and here, korean monks need to give attention to the behavior of ancient famious korean monk, WonHyo(元曉) and another famious korean monk of the modern period, BaekYongSung(白龍城).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practice their spirits of saving all sentient beings. I think that this effort is the only way to respring from the present state of stagnation in korean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