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성의태어의 사전 처리에 대하여 - 관련어의 유형과 정보 제시 방식을 중심으로 -

        손달임 ( Shon Dal-lim ) 한말연구학회 2016 한말연구 Vol.- No.42

        In the present paper, the ways how onomatopoeic/mimetic words are presented in dictionaries were examined centering on the types and categories of related words and related words presenting methods. As everyone knows, Korean onomatopoeic/mimetic words have related words that show differences in nuances through replacements of consonants and vowels. In addition, new vocabularies having morphological/semantic relations are formed through repetition, form extension, and affix combinations. Therefore, existing Korean dictionaries provide onomatopoeic/mimetic word related words information. However, the systems and methods of provision are different among dictionaries. Therefore. in dictionary handling of onomatopoeic/mimetic words, securing systemicity should b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herefore, in the present paper, the ways how onomatopoeic/mimetic word related words are handled in the <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 the < Yonsei Korean Dictionary >, and the <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chapter 1. In chapter 2, how the types are classified in individual dictionaries and the ranges of onomatopoeic/mimetic word related words provided were examined. In chapter 3, the methods of presenting related words information and the units used in individual dictionari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differences in the methods of explaining the meanings of related words and the order of arranging the explanations of meanings when onomatopoeic/mimetic word are polysemic words among individual dictionaries were identified. Onomatopoeic/mimetic word related words information becomes an indicator that shows morphological/semantic relations between entry words to users. Therefore, when providing related words information in dictionaries, the consistency and systemicity of dictionary descriptions, user convenience, and reference functions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역량기반교육’의 의미와 적용 타당성에 대한 고찰

        조남민(Cho, Nam Min),손달임(Shon, Dal Lim),황미경(Hwang, Mi Kye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가의 교육정책으로서 역량기반교육은 타당성을 갖는지, 둘째, 역량기반교육 이 대학의 교양교육에 적용 가능한지, 셋째,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교양교육을 담당한 구성원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논하는 데 있다. 우선, ‘역량’의 정의는 조직에 속한 개인의 구체적인 직무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에서 기원했으 며, 이와 같이 조직의 전략적 측면에서 고려된 ‘역량’은 OECD의 ‘DeSeCo Project’, EU의 ‘Key Competences’ 합의, 미국의 P21 위원회의 21세기 핵심역량 제안 등에서 인간의 ‘성공적인 삶’에 필수적인 요소로 그 개념이 확장되었으나, 현재 대부분의 국가들이 목표로 하는 ‘경제성장’, 혹은 국가 경쟁력 강화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이 갖추어야 할 능력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리고 핵심역량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국 정부는 공교육에 있어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편 작업을 시행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초⋅중⋅고등 학교 및 대학 교육도 투입(input)과 산출(output), 즉 수치화된 교육적 효과나 취업 등의 결과를 목표로 하게 되었다. 둘째, 이러한 사실은 국내외 대학의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적용한 사례들을 통해 뒷받침된다. 외국의 경우 핵심역량 기반 교육이 순수 학문이나 교양⋅예술 분야가 아닌 실용적⋅전문적 분야에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이를 실시하더라도 대학에 상당한 자율성을 부여하 고 있었고 운영에 필요한 지원을 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한국과는 사정이 매우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 결과 본 조사의 응답자들은 각 대학이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교과목에 대한 핵심역량을 매핑할 때 교수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못했기 때문에 교수-학습 과정이나 성취도 평가 과정에 적용하기 에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역량기반교육이 현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증진하는 데 기여하는 바가 있고, 전공 영역이나 도구적⋅실용적⋅전문적 특성을 갖는 특정 교과에 적용하는 것은 효과를 기대할 만하지만, 인문사회 영역을 포함한 교양 영역 전체에 일괄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견해가 주를 이루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역량기반교육이 특정 분야에 한하여 효과적일 수 있으나 인문⋅사회⋅예술 등을 포함한 교양교육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 방안이 될 수는 없으며, 더 나아가 공교육과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의 교육정책으로서 타당하지 않다는 사실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있음을 이론적 측면, 사례 분석, 인식 조사 등의 근거 제시를 통해 밝혔다. This study will discuss three topics. First, whether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a national educational policy has validity, second, if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applicable to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third, how members in charge of liberal arts education perceive competency-based education. First,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definition of competency originated from evaluating the specific job performance ability of individuals belonging to an organization. In this way, the concept of “competency” considered in the strategic aspect of the organization has expanded to be essential to a person’s “success in life” according to the OECD s “DeCo Project,” the EU s “Key Components” agreement, and the US P21 Committee s proposal for the 21st century. Based on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the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organization in public education, and accordingly aimed at the input and output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university education, that is, it quantified educational effects and employment rates. Second, this fact was supported through exampl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s at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selectively applied to practical and professional fields rather than pure learning and liberal arts. Even if it is conducted by the government, it is given considerable autonomy within universities and plays a role in providing necessary suppor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amples found in Korea. Thir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university instructors. As a result of the survey, respondents of this survey recognized that it was difficult to apply competency to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r achievement evaluation process because each university did not sufficiently collect opinions from instructors when setting core competencies and mapping core competencies for their subjects. In addi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current society, and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when applied to specific subjects with instrumental, practic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expecting too much for it to be applied to the entire liberal arts area.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competency-based education can be effective only in certain fields, but it cannot be an educational method encompassing liberal arts education, including the humanities, society, and the art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not appropriate as a government’s policy for public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theoretical approach, case studies, and perception surveys.

      • KCI등재

        갈등적 대화의 원리와 구조 연구 : TV 드라마에 등장하는 남녀의 대화를 중심으로

        손달임 이화어문학회 2008 이화어문논집 Vol.26 No.-

        본고는 TV드라마에 등장하는 갈등적 의사소통 상황에서 수행되는 대화의 특징과 구조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대화는 화행 목적과 관계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목적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화자와 청자는 일반적인 대화의 원리나 격식을 준수하게 된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대화는 대부분 일정한 구조를 보여주게 된다. 그러나 때로는 화자와 청자의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는 일반적인 대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와 그 특징 및 구조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 나타나는 대화의 특징 및 구조가 무엇인지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본고에서는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는 화자와 청자 간의 의견이나 이해관계가 상충되고 이러한 의견 대립이 언어 표현으로 나타나며, 대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협동의 원리’, ‘공손성의 원리’ 등의 일반적인 대화의 원리나 ‘순서 교대의 원칙’, ‘선호적 대응쌍의 구도’ 등의 대화 구조가 잘 지켜지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 시작 단계와 종료 단계가 자주 생략되며 특히 종료 단계에서 대화 참여자들의 합의 없이 대화가 일방적으로 중단되거나 대화 참여자가 대화장을 벗어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는 ‘요구, 명령’과 ‘비난’ 화행이 자주 발견됨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and structures of the conflict conversation by analyzing the TV dramas. The participants have 'speech act' and 'relationship' as an object in conversation situation, and they keep to the regular forms and principles in order to attain thess two objects of conversation. Conversation we used our daily life appears regular structures. But sometimes speaker and listener have opposite views, conversation appears the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s and structures in this cas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ignificant characters and structures of the conflict conversation. As a result, I examined that the interests of the conversers conflict and the difference of opinion is expressed during conversation. And I discussed that the participants violate the 'co-operative principle' and the 'politeness principle' in discord situation, and they disobey the 'rule of turn-taking', 'principle of preferred adjacency pairs'. In addition to, I argued that 'starting step' and 'ending step' is omitted, and conversation is interrupted without mutual agreement or one of the conversers get out of the place especially in the 'ending step'. Lastly, I discussed that 'demand', 'order, and 'blame' are used very well in conflict conver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