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법상 가족법과 거래법과의 관계

        소재선(So, Jae-Seon) 경희법학연구소 2004 경희법학 Vol.39 No.1

        In Frankreich war die Beziehung vom Familienrecht und Börsengesetz eine lange Zeit durch eine Zumutung. Dieses war anfänglich mehr dem Handelsrecht gemessen als dem Zivilrecht, welches die freie Benutzung des Zivilrecht behindern das Ehepaar oder deren Kinder. Bei Behinderung der Handelstätigkeit war nach dem code Civile eines der Prinzipien die rechtliche Unfähigkeit der Verheirateten. Damals war zwar das Junfernleben ungezwungen, aber die einseitige Unfähigkeit der Verheirateten wurde 1804 um französischem code Civil angewendet. Natürlich war diese Verfassung der Unfähigen kein absolutes Hindernis für die Handelstätigkeit der Ehefrau, aber in dem französischem Handelsgesetzbuch von 1807 in Übereinstimmung mit Artikel 5 der Verordnung steht, daß für die Handelstätigkeit der Ehefrau ein Einverständnis des Ehemannes erforderlich ist. Seit dem erhält die französiche Präzendens die Einwilligung des Ehemannes als gesetzliche Voraussetzung und um diese Bestimmung zu mäßigen und zu interpretieren ist es noch zu früh. D.h., daß die Präzendenz, im Falle Schweigen das die Einwilligung des Ehemannes genügt und die Tatsache, daß die Ehefrau allein eine persönliche Handelstätigkeit vor Augen des Ehemannes ausführt, kann diese Einwilligung anerkannt werden. Danach wurde die Voraussetzung, die Einwilligung des Ehemannes, am 2.09.1942 laut Gesetz verfallen. Demzufolge bleibt dem Ehemann nur noch das patriarchalische Einspruchsrecht gegen die In Frankreich war die Beziehung vom Familienrecht und Börsengesetz eine lange Zeit durch eine Zumutung. Dieses war anfänglich mehr dem Handelsrecht gemessen als dem Zivilrecht, welches die freie Benutzung des Zivilrecht behindern das Ehepaar oder deren Kinder. Bei Behinderung der Handelstätigkeit war nach dem code Civile eines der Prinzipien die rechtliche Unfähigkeit der Verheirateten. Damals war zwar das Junfernleben ungezwungen, aber die einseitige Unfähigkeit der Verheirateten wurde 1804 um französischem code Civil angewendet. Natürlich war diese Verfassung der Unfähigen kein absolutes Hindernis für die Handelstätigkeit der Ehefrau, aber in dem französischem Handelsgesetzbuch von 1807 in Übereinstimmung mit Artikel 5 der Verordnung steht, daß für die Handelstätigkeit der Ehefrau ein Einverständnis des Ehemannes erforderlich ist. Seit dem erhält die französiche Präzendens die Einwilligung des Ehemannes als gesetzliche Voraussetzung und um diese Bestimmung zu mäßigen und zu interpretieren ist es noch zu früh. D.h., daß die Präzendenz, im Falle Schweigen das die Einwilligung des Ehemannes genügt und die Tatsache, daß die Ehefrau allein eine persönliche Handelstätigkeit vor Augen des Ehemannes ausführt, kann diese Einwilligung anerkannt werden. Danach wurde die Voraussetzung, die Einwilligung des Ehemannes, am 2.09.1942 laut Gesetz verfallen. Demzufolge bleibt dem Ehemann nur noch das patriarchalische Einspruchsrecht gegen die

      • KCI등재

        漁業權의 物權的 效果와 特性에 관한 小考

        소재선(So, Jae-Seon),임종선(Yim, Jong-Sun) 韓國土地公法學會 2011 土地公法硏究 Vol.54 No.-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환경상 어업은 사회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우리 수산업법상의 어업은 면허어업, 허가어업, 신고어업의 세 가지의 어업제도를 두고 있다. 그중에서 어업권은 행정관청에 의해 부여되는 면허를 받아 일정한 수면에서 배타적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권리이다. 우리의 수산업법 제16조 제2항에서 어업권은 물권으로 하며, 수산업법에서 정한 것 외에는 민법 중 토지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연안 어장에 대한 제도인 어업권에 대해 알아보아야 하며 어업권으로 인해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에 분쟁해결을 위해서는 어업권이 가지는 물권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어업권은 연안 어장의 이용관계를 규율하는 제도로서 어업권이 토지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고 하고 있지만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구체적,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어업권이 가지는 물권적 성질은 어업권에 따른 물권적 특질인 재산권성, 지배권성, 절대권성, 권리성 등이 있다. 어업권의 행사에 방해를 받게 되는 경우 우선적 효력과 물권적 청구권을 가지게 된다. 또한 제3자에게 전전된 어업권이 있다고 하더라도 어업권을 행사하기 어려운 자격을 가진 자에게 이전은 허용되지 않으며 추급권을 행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어업권의 객체인 어장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어장이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업권의 물권성에 대해 알아 볼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수산업법상 어업권이 물권이며 토지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고 하고 있지만 개별적인 어업권에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불필요한 법적 소모를 줄이기 위해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Korea is a peninsula, and because o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 it holds a key position in the field of social and economical area. There are chartered fishery, permissive fishery and free fishery under the present Fisheries Law. Among them, the administrative office grants fishery rights which allow people to exercise exclusive rights on certain surfaces. Under the clause 2, Article 16 of Fisheries Law, it is a real rights that Landing Law of the Civil Code shall apply in the case for the rest of the parts of fishery rights. So profound studies of coastal fisheries and research through the real rights within fishery rights are necessary for the settlement of a dispute. Fishery rights, which is applied by the Landing Law, shall administrate the neritic fishing ground, but it should be ruled case by case under the specific or individual situ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real rights within the fishery rights are those of property rights, management rights, absolute authority rights and legal rights. In case where they obstruct the exercising of the rights, preferential validity and claim of real right remains. Also, even though the third party has fishery rights, he could not exercise the transfer of right or right of resale when he is unqualified. Thus this study covers characteristics of fishing ground, the object of fishery rights and nature of real rights inside that are followed. Real rights include fishery rights to which Landing Law shall be applied under the Fisheries Law, but for individual cases of dispute, systematic researches are needed to avoid unnecessary expenses or time consuming related to legal dispute.

      • KCI등재

        漁業權의 特徵과 法的 性質에 관한 小考

        소재선(SO, Jae-Seon),임종선(Yim, Jong-S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2 土地公法硏究 Vol.57 No.-

        21세기에 들어서서 세계 각국은 해양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의 증가는 연근해 어업에 해당하는 어업권 중 양식어업에 대한 것이다. 우리 수산업법상의 어업권이란 일정한 수면에서 특정한 어업을 배타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권리를 행정관청의 면허에 의해 부여되어 행하는 어업을 말한다. 어업권의 법적성질에 대해 우선 사권인가 공권으로 볼 것인가의 견해에 있다. 그러나 어업권의 본질이 일정수역에 있어서 제3자를 배제하여 독점적으로 수산동식물을 채취•포획할 수 있는 권리이고, 면허를 받은 특정인이 투자한 수면에 대하여 사적인 경제이익을 법적으로 보호하자는데 있으며, 그 법적 보호는 침해자에 대해서 물권적 청구권의 행사 혹은 손해배상청구권 등의 행사에 의해 사법적 관계에 의해 완성된다. 따라서 어업권은 공권이 아닌 사권인 것이다. 그리고 사권으로 보는 통설적인 견해에 있어서도 재산권으로 볼것인가 물권으로 볼 것인지 견해가 나누어져 있지만, 양도성과 담보성에 제한이 있으며 또한 수산업법에서 물권으로 규정하고 있어서 법적 성질을 물권으로 보아야 한다. 그리고 물권인 어업권에 대해서 단순물권부정설, 물권취득권설, 어업행위절대설, 어장지배설의 견해가 대립하고 있지만, 어업권은 물권이며 그 객체는 어장과 수산동식물로 보아지므로 어장지배설의 견해가 다른 견해에 비해 타당하다. 따라서 우리 수산업법 제16조 제2항에서 어업권은 물권으로 하며, 이 법에서 정한 것 이외에는 민법 중 토지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interest in the ocean and its resources from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have been increasing and the reason for such increased interest is due to sea farming which is considered to be a fishery right that is a common part of coastal fishing. Under the Fisheries Act, the term “fishery right” means a right to exclusively operate a certain fishery business within certain ocean surfaces by obtaining a license from the relevant administrative office. There are competing views as to whether the legal characteristic of a fishery right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private right or a public right. However, the nature of fishery rights grants the exclusive right to catch and gather marine animals and plants in specific waters and excluding third parties from enjoying such right, and is intended to legally protect the private economic interest derived from the specific water surface invested in by the particular person having such license. Such legal protection is afforded when a legal relationship is created between the licensee and a trespasser when the licensee enforces its claim of real right or claim for damages against such trespasser. Therefore, fishery righ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private right rather than a public right. Within the popular view that fishery rights should be treated as a private right, there are divides as to whether it should be viewed as a property right or a real right. However, as the transferability of fishery rights and provision thereof as security are limited and the Fisheries Act treats it as a real right, the legal characteristic of a fishery right should be viewed as a real right. Also, with respect to the view of the fishery right as a real right, although the theory of denial of a simple real right, the theory of real right ownership, absolute theory of acts of fishery business and the fishing ground dominance theory are at odds with each other, fishery right is a real right and, as the object of a fishery right is the fishing grounds and the marine animals and plants, the fishing ground dominance theory is relatively more reasonable than the other theories. Thus, Article 16(2) of the Fisheries Act states that a fishery right is a real right, to which provisions of the Civil Act governing land will apply mutatis mutandis, except as provided otherwise in the Fisheries Act. The Fisheries Act, as a special law, considers the fishery right as a real right.

      • KCI등재

        지적재조사사업에 대한 사법적 검토

        소재선(So Jae-Se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05 土地公法硏究 Vol.27 No.-

        Modern society is the information-oriented one laying emphasis on capitals and resources. Accordingly, the demand of information which man need require enormous volume, quickness and accuracy also in the field of Cadastre. To fit actively this environmental changes toward the information - oriented society, new modern Cadastre must be settled without delay because in Korea have been using the old Cadastral Record up to this day investigated in 1912. The present korean Cadastre system doesn't meet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social needs of information - oriented society. Therefore, to promote the Renovation of Cadastre giving various land information to nations and demand organization to make the Cadastre system fitted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in this study, we searched for choice method of area which Renovation of Cadastre plan can execute, surveying method of Cadastral renovation, the limitation of the present Cadastre system, the limitation of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official automation of Cadastre, the problem of Cadastre management system, the related special law, insufficiency of the public relations, a plan to secure funds as improvable part of the government's Cadastral Renovation project. In the case of cities we must introduce an aerial photograph surveying along with a ground photograph measurement in the choice of surveying method. An aerial photograph surveying usually can be used in interpretation of position, figure, characteristic of subject appearing on the image by using of photographic image. An aerial photograph surveyimg usually can be used and introduced in cartography, topographical map and giving information needed to GIS. Land records and a blueprint of land register and a building ledger must be automatized officially in o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official automation of Cadastre. The affairs of Cadastre is closely connected with a national property right as basic datas of registration, land value, tax related land and is the basis as national own affairs giving much affect to land use policy, land distribution plan and city plan which is the most basic policy in establishing a national basic policy. The first things we must solve is enacting a special law of Renovation of Cadastre to perform the Renovation of Cadastre steadily and without a snag. The nation must prepare systematic and legal support so that register system can have public confidence and legal support so that register system can have public confidence and achieve effective goal, a special law must include the subject of project, security plan of the working expenses, surveying registration commission and it's also important matter to prevent land owner's disturbance on the confusion and change caused the reorganization of the Cadastre after making a special law. For the purpose of successful execution of Cadastral Renovation Project taking effected in the future, pan-national one, we must study deeply with many people's concern.

      • KCI등재

        유류분제도의 새로운 방향성 모색과 북한의 유류분

        소재선(So Jae-Seon),양승욱(Yang Seung-Uk)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연구 Vol.53 No.2

        유류분을 둘러싼 고령화와 생전증여와 사인처분에 대한 인식변화 등의 환경 변화는, 기존의 유류분제도에 대한 많은 비판이 나오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 있어서 유언의 남용으로 인한 부양가족의 생활 곤란의 방지책이라는 유류분의 취지 및 의의는 퇴색되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유류분의 취지인 부양과 관련해 문제되는 것은 고령화의 이면인 저출산이다. 이러한 저출산의 경향은 가정의 범위를 좁혔으며, 또한 개인주의의 강화로 인하여 가족 간의 연대를 약화시켰다. 이러한 점에서 유류분은 오늘날에 있어 어떠하여야 하는지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유언의 자유와 상속인의 상속받을 권리 사이의 충돌문제는 헌법적으로 유류분이 어떠한 근거를 가지는가 하는 문제로도 이어지게 된다. 결론만을 이야기 한다면, 한국민법상 유류분제도는 제도적 보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류분제도를 폐지하는 것과 같은 일은 헌법상 허용되지 않는다고 본다. 따라서 유류분 제도의 존재 필요성에 대해서는 수긍할 수 있다. 그러나 유류분 규정은 현재화된, 그리고 앞으로 더욱 일어나게 될 환경 변화에 적응하여야 하며, 입법자에 의하여 재량형성이 가능한 만큼 지금은 새로운 환경에 맞는 유류분 제도의 모습에 대한 연구들이 모색되고, 모색되어져 가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방법들은 각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섣불리 어떠한 방향으로 이를 규정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 변화를 보이고 있는 북한의 가족법과 상속법이 규정하고 있는 유류분은 우리에게 좋은 아이디어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첫째 북한의 유류분 제도는 '부양을 받던자의 리익'을 침해하는 유언을 무효로 하고 있다. 즉, 남한 민법과 같이 일률적인 비율로서 정하여 피상속인을 보호하는 방식을 취하지 않고, 부양을 고려하지 않은 유언에 대하여 무효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규정형태는 현재 유류분의 가장 비판 받고 있는 부양의 필요성과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유류분을 주는 것에 대하여, 유류분을 부양과 연관시키고, 부양이 필요성이 있는 자에게도 일률적 비율이 아니라 유언 자체를 '무효'로 함으로써 부양이 실제적으로 필요한 자를 보호하고, 유언자의 입장에서는 사전에 무효가 되지 않도록 보다 신중히 유언할 것을 지시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는 유류분의 청구형태를 법정상속인들간의 문제와 법정상속인 외에서의 두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처리되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家'내로 상속재산을 유지시키고자 하는 전통적인 상속관행과도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유류분의 기능으로서 유류분의 옹호입장에서 드는 가족연대유지와 공평성유지라는 측면에서도 유류분이 법정상속인들간의 유류분에 관한 다툼에서와 법정상속인들 이외의 자들 간의 다툼을 나누어 각각의 논리를 적용하면 더욱 그 근거가 명확해진다. 북한의 유류분 규정은 그 실제적 적용은 논외로 하고 그 규정에 있어서는 가족의 유대를 강조하는 한국적 전통도 포함하며 상당히 합리적인 부분을 가지고 있다고 볼수 있다. 이러한 북한의 규율 방식은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유류분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실마리를 분명 가지고 있다고 본다. 북한은 경제개혁과 개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북한이 경제개혁에 많은 참고를 하고 있는 중국의 움직임으로 볼 때에도 앞으로 남북한의 법은 접근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남한과 북한의 통일 후에 상속과 관련된 문제가 가장 중요한 사회적 문제가 될 것이며, 이를 위한 해결책의 모색을 위하여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항공법,정책 : 항공안전관리에 관한 법적 고찰

        소재선 ( Jae Seon So ),이창규 ( Chang Kyu Lee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구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9 No.1

        항공안전관리는 항공운용 등에 있어서 승무원, 항공기 및 기타 자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항공산업 전반에 대한 관리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는 안전한 항공기술의 발전을 위하여 국제 기술표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제민간항공협약에서 19개 부속서(Annex 19)를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각 회원국도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정책에 맞춰 항공법령에 국제표준 및 권고사항을 수용하게 되었으며 2013년 11월 14일부터 적용되는 부속서 19에서는 그간 항공안전에 관한 각국의 의견을 반영하여 항공안전관리체계가 제시되었다. 이 같은 국제적 흐름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2012년 1차 항공정책 기본계획으로 사전예방적 안전관리 전략을 추진할 것이라고 공표하였으며 부속서 19의 안전관리에 대한 핵심인 항공안전프로그램(SSP) 및 안전관리시스템(SMS) 등을 통합하여 기술·인적자원 정보공유와 투자우선순위 결정, 항공안전관련 주체들의 협력강화를 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부속서 19는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SSP), 항공안전관리시스템(SMS), 항공안전감독시스템, 안전정보수집, 공유 및 보호정책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며 예방적인 안전관리의 체제로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항공안전프로그램은 안전 증진을 목표로 정부의 규정과 활동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일련의 활동체계를 의미한다.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항공운송사업자, 항행서비스 공급자, 공항운영자, 훈련 및 정비 기관에서 제공하는 항공 서비스의 허용 가능한 안전 수준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항공안전관리시스템은 위험정보 통계에 근거하여 예측적인 위험관리가 핵심인바 항공안전관리시스템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풍부한 위험정보의 수집이 필수적이다. 수집되는 정보 중 대형사고는 의무보고제도에 의해 보고를 받게 되지만(「항공법」 제49조의3), 소규모 사고는 자체보고하지 않는다면 진지한 조사가 행해지지 않고서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위험사고 수집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내 항공교통의 안전확보는 정부의 주요 임무이다. 정부는 국제민간항공기구의 기준과 국내항공법규 요건을 준수하고 안전한 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략과 프로세스를 수립·시행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민간항공사는 안전관리의 향상과 안전문화 조성을 위하여 전자적인 안전관리기법을 적용하여 안전제반기능이 구현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항공안전은 항공실무를 토대로 규칙을 제정하여야 하는바 항공안전 규제 사항에 대하여 항공산업계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야 한다. 또한 항공안전 보고제도와 자유로운 정보교환 여건을 조성하여 효율적인 안전관리 실현을 지원해야 하며, 안전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민간항공사와 공조해야 한다. 항공안전 활동을 위하여 적절한 자원을 배정하고 직원의 교육·훈련을 통해 안전관리에 관한 기량을 유지시켜야 하며, 안전목표의 달성도 평가 및 위험도 평가와 같은 성과기반의 점검과 안전기준·절차이행점검 방식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Safety Management System is the aviation industry policy for while operating the aircraft, to ensure the safety crew, aircraft and passengers. For operating a safe aircraft, in order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 technical standards,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has established the Annex 19 of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As a result, member country was supposed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of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to accept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domestic air law.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at it would promote active safety management strategy in primary aviation policy master plan of 2012. And, by integrating and state safety programmes(ssp)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ms) for the safe management of Annex 19 is to enforce the policy on aviation safety standards. State safety programmes(ssp) is a system of activities for the aim of strengthening the safety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activities of government. State safety programmes(ssp) is important on the basis of the data of the risk information. Collecting aviation hazard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state safety programmes(ssp) Korean government must implement the strategy required to comply with aviation methods and standards of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Airlines, must strive to safety features for safety culture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is realized. It is necessary to make regulations on the basis of the aviation practice, for aviation safety regulatory requirements, aviation safety should reflect the opinion of the aviation industry.

      • KCI등재후보

        中國內地와 홍콩간의 二重法體制에 관한 小考

        蘇在先(SO, Jae-Seon),?欣(Tong Xin) 한국국제사법학회 2012 國際私法硏究 Vol.- No.18

        홍콩은 19세기 중엽 청국말기에 영국정부에 할양되었는 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84년 12월 중ㆍ영 양국은 「中英關與香港問題的聯合聲明」의 조인에 따라 1997년 7월 1일부터 중국령으로 반환되었다. 반환 이후 홍콩에서는 “一國兩體制”의 방침에 따라 특별행정구를 설립하여 향후 50년 동안 자본주의제도를 그대로 유지하며 국방ㆍ외교를 제외한 사무에 대하여는 행정관리권ㆍ입법권ㆍ독립적인 사법권과 종심권을 포함한 고도의 자치권을 향유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중국내지와 홍콩은 하나의 국가 안에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개의 법역이 되었다. 즉 중국내지에서는 사회주의법제를 시행하고 전국인민대표 대회와 그 상무위원회가 제정하는 법률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에 반하여 홍콩은 영국법상의 보통법(Common Law)을 기초로 하는 자본주의법제를 시행하고 있다. 결국 두 법역은 법률체계에 있어서 확연히 큰 차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계약법분야에 있어서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홍콩반환 이후에 중국내지와 홍콩간의 경제ㆍ문화ㆍ인적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양 지역에 관련되어 있는 법률관계도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계약은 오늘날 섭외적 교류에 있어서 가장 중심을 이루는 기본적 수단으로써 양 지역에 관련된 계약관계에 둘러싸고 사적 분쟁이 생길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중국내지와 홍콩의 계약법규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당해 계약관계를 규율함에 있어서 양 지역의 계약법은 법률저촉이 생길 것은 자명하다. 즉 당해 계약관계에 어느 법역의 법이 적용되느냐는 사정에 따라 재판결과가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야기되어 결국 법적 안정성이 크게 저해된다. 따라서 중국내지와 홍콩에 관련되어 있는 계약의 사적 분쟁에 가장 적절한 법역의 법을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계약관계의 분쟁에 대하여 동일한 준거법에 따라 동일한 재판결과를 가져오게 하여 양 지역간 계약관계의 법적 안정성과 예견가능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중국내지와 홍콩이 불통일법국의 이법지역으로써 양 지역에 관련된 법률관계에 있어서의 법적 정의를 실현하고 법률관계 규율의 구체적 타당성을 확보하며, 나아가 재판결과의 법적 안정성 및 국가내 사법의 통일성을 추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우리나라와 홍콩, 중국내지 와의 물류교류가 엄청난 속도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법체계의 이해는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Hong Kong, which had been ceded to the Great Britain at the middle of nineteenth century, was returned to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ince June 1st 1997 based on the ‘Sino-british Joint Declaration’ signed by the two states, the People’s Repulic of China and the United Kingdom. However, Hong Kong was, since its return, entitled to the right of autonomy including administrative power, legislative power and independent judicial power to examine the final trial under the regime of ‘two systems in one country’, which resulted in maintaining its traditional capitalistic system performed for the last 50 years, by establishing it as special administrative district. Accordingly, it is apparently acknowledged that both of districts have differences in the legal system. And there’s no exception in the field of the contractual law based on the universal validity. Generally, it is the most ideal solution to apply the unified private law for the settlement of those sorts of conflicts of law, which is however, practically, impossible on the grounds that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as declared to guarantee Hong Kong its judicial independence, autonomy, and traditional system. Eventually, there is no option but depending on method used in International Private Law which designates and applies the most appropriate one as governing law to settle the conflicts of law in the inter-regional privity of contract.

      • KCI등재

        일본가족법상 유류분제도의 재조명

        소재선 ( So Jae-seon ),양승욱 ( Yang Seung-uk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외법논집 Vol.35 No.2

        This study is about the change of the point of view on the Reserve in Japan and Korea. In 1977, Korean Civil Law adopt reserve system. The main reason of the adoption is to help the legal heir(s) to keep its livelihood after the death of the inheritee. And and to secure the equality between coheirs as the persons entitled to legally secured portions. Janpanese Civil Law adopt this system earlier than Korean Civil Law for the similar reason. Although the background of the adoption in Japan is different from Korean, the main reason of the adoption is very similar. Japan started modernization of legal system earlier than Korea. Besides Japan has experienced economic development and change of social consciousness earlier than Korea. Korea experience the same or similar experience in Japan little bit later. So it is very important and useful to observation of the change of the view and article in japanese civil law for prospecting korean civil law. Through observation of the change of the view on the reserve in Japan, we can discover new approach to solve problem related reserve and to suggest new way of application. The theories in Korean is mostly focusing mutual relation between the liberty of legator and the equality of right of a legal heir's to inherited property. but the theories in Japan may be focusing on even consultation to stop infringement in advance. Therefore the some legislations was available to stop dispersing of property. Despite risk of infringement of reserve, these legislations opened a way to deal with in new problem of reserve case by new social and economic needs. These facts are very suggestive to theories in Korea and It can help resolve surrounding reserve by changing point of view on reserve in Korea.

      • KCI등재

        개정한국중재법의 특징과 오스트리아법상 임대차중재에 관한 고찰

        소재선(So, Jae-Se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48 No.-

        오스트리아중재제도는 이미 1895년 8월 1일 민사소송법이 제정되면서 제4장 중재절차(제577조~제599조)에서 중재에 관하여 일괄하여 규정을 두고 있었다. 그후 1983년 2월 1일 현대적 특성을 지닌 중재제도로 발전하였고 동년 5월 1일부터 시행되도 있다. 오스트리아는 중재(국내중재)가 통산 주법원이 상사분쟁의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못하다가 최근 중재에 의한 호소가 늘어나고 있는 경향이다. 반면에 오스트리아는 국제상사중재는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오스트리아인과 외국인간의 분쟁뿐만 아니고 외국인간의 분쟁에도 적용된다. 한국의 중재법은 1999년 12월 31일 개정이 되었는데, 개정전의 중재법은 제2조에서 중재계약(arbitration agreement)은 사법상의 법률관계에 관하여 당사자간에 발생하고 있거나 장래에 발생할 분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중재에 의하여 해결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합의를 말한다. 그리고 중재합의가 중재계약의 효력발생요건인 것도 명시하였고 있다. 그러나 개정 중재법에서는 중재합의가 중재절차 개시의 요건임을 규정하고 있을 뿐이고(한국중재법 제22조제2항), 중재계약이란 용어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중재합의는 중재를 하기로 하는 당사자간의 의사표시의 합치를 말한다. 합의는 각 당사자가 서로 상대방의 의사표시와 합하여 일정한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계약이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따라서 중재계약은 중재합의와 같은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건설장비, 호텔 등 영업용 건물의 임대차관련 중재는 간혹 있으나 주택의 임대차중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상사중재와 관련하여 상가임대차에 대하여 특히 독일법은 비교적 자유로운 태도를 취하고 있으나, 이에 비하여 오스트리아는 최근에 비교적 엄격하면서도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1999년의 오스트리아연방대법원의 판결은 임의재판관할로 배속된 모든 임대차관련 사건에 대하여 중재사안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동 판결은 당해 사안이 임대차계약의 성립, 지급되어야 할 임대료, 주택임대차 이든 또는 상가임대차에 관한 것이든 불문하고 동일하게 그 중재권을 부정하고 있으며, 더구나 당해 사건이 임의재판 관할권 또는 법적인 사회구호의 영역에 속하는지에 따른 구별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 Die deutschen Rechtsordnungen stehen der Frage der Schieksfähigkeit von Mietangelegenheiten allerdings unterschiedlich gegenüber. Während das deutsche Recht, allem für gewervliche Mietsache, eine liberale Haftung einnimmt werden in Österreich in jüngster Zeit wieder restriktive Stimmen laut. So hat der OGH in einer Entscheidung aus dem Jahr 1999 alle freiwilligen (außerstreitigen) Gerichtsbarkeit zugewiesenen Mietangelegenheiten für nicht schiedsfähigkeit erklärt, und zwar unabhängig davon, ob es sich um Stritigkeiten über den Bestand eines Mietverags oder die Höhe des zu einrichtenden Mietzinses, um Wohnraummiete oder die Anmietung von Geschäftsräumlichkeiten handelt. Keiten Unterschied soll es auch machen, ob die Angelegenheit dem Streit- oder dem Rechtsfürsorgebereich der freiwilligen Ferichtbarkeit Zugehört. Die pauschale Verneinung der Schiedsrähigkeit außerstreitiger Mietrechtssachen durch den Obersten Gerichtshof stellt demegenüber einen Rückschritt hin zu einer die Schiedsgerichtsbarkeit ist indes nicht geeignet, das Vertrauen in die österreichisches Schiedsgerichtsbarkeit zu födern. Hält das Höchstgericht an seiner restriktiven Auffassung fest, so kann das durchahus negative Auswirkungen auf die Wahl Österreichs als Austragungsort internationaler Schiedsverfahren haben. Denn im Wettbewerb um die Anziehung lukrativer Schiedsverfahren werden nur solche Staaten an den ersten Rängen rangieren, deren Schiedsverfahrensrecht größtmögliche Parteiautonmie bei minimaler staatlicher Intervention gewährt.

      • KCI등재

        이탈리아 도시부동산임대차특별법의 구조와 특성

        소재선(So, Jae Se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09 土地公法硏究 Vol.43 No.3

        이탈리아의 주택임대차법을 본고에서 다루지고자 하는 것은 이탈리아 부동산임대차제도를 연구한 내용이 한국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오늘날 한국임대차법제의 상황에서 살펴보면, 이탈리아 임대차제도는 단순한 제도의 소개만으로도 그만한 충분한 가치를 얻은 연구라고 말할 수 있다. 보다 적극적인 의의는 이탈리아에서는 법제도적으로는 前代의 성과와 경험을 승계하면서 거주권보호(존속보호)에 대해서는 일관된 형태를 견지하고 있는 것이 유럽의 다른 국가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또한 한국과 같이 반도국 이면서도 한국과는 달리 무모하고 대담한 제도개정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것이 우리와 다름점으로 크게 주목이 되기 때문이다. 한국의 입법자들이 행해온 종래의 임대차법제의 성과를 옳게 평가할 수는 없지만 현행법의 효력까지는 부정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입법적인 미비를 해석론에서 얼마나 보완해 갈지가 문제인바, 이 당면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이탈리아법의 일관된 자세에서 우리가 배울 점이 많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비교적 최근의 이탈리아주택임대차개정법(98년법)은 임대차계약의 유형으로서 자유계약 그 밖에, 소위 정형계약방식을 도입했지만, 이 정형계약은 국가 혹은 지자체의 이니시아티브로 당사자 쌍방의 다수이익을 대표하는 임대인조합과 임차인조합이 협약에서 책정하는 표준계약에 의하고, 이러한 집단적 합의에 계약의 구속력의 근거를 요구하는 방법은 강제적인 개입으로부터 일정한 공정한 절차를 거쳐 자치적으로 분쟁을 조정 해결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방향을 목표로 하고 있는 장래의 법시스템 방법을 상징하고 있는 면도 있다. 일반적으로 현대에 있어서의 법시스템의 기능적 변화를 생각함에 있어서도 이태리임대차법은 지극히 주목이 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탈리아임대차법의 동향에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이탈리아에서는 법제도적으로 오히려 주택정책으로부터 분리하려하고 있는 경향도 있다. 그러한 의미를 포함해서 제도의 내적인 전개절차와 현상(그 구조적 특징) 만의 분석(임대차법체계론)도 그만한 의의가 있을 것이다. Das neulich geänderte italienlische Mietrecht(1998) ist zwar als Mietvertragssystem nicht nur mit der Vertragsfreiheit, sondern auch mit dem vorherigen bestimmten Vertragssystem eingeführt, aber ist das vor allem durch Standardvertrag entstanden, das von Vermieters- bzw. Mietersgenossenschaft bestimmt ist. Die für die von der gemeinschaftlichen Vereinbarung entstandene Begründung der vertraglichen Verbindung benötigte Methode ist darauf hinzuweisen, dass dies durch den Schutz gegen das zwingende Eingreifen eine Methode zur autonomen Konfliktlösung bzw. zum zukünftig zu erwartenden Rechtssystem bedeutet. Bezüglich der funktionalen Veränderung im heutigen Rechtssystem ist das italienische Mietrecht beachtenswert. Deswegen haben wir die Tendenz des italienischen Mietrechts zu beachten. Insbesondere gibt es in Italien einige Tendenz, das Mietrecht von der Immobilienpolitik streng zu trennen. Unter Berücksichtigung der Aktivität im Immobilienmarkt hat das zwischenzeitliche italienische Mietrecht die strengende Kontrolle über die Miete im Immobilienmietvertrag erleitert. Aber das erleichterte Mietrecht ist ein Ergebnis, das durch das Reform des Mietrecht im Jahre 1978 entstanden ist, so war das als ein freilicher Vertrag ins Gesetzbuch nicht integriert. Hinsichtlich der Regelungstechnik ist das eine Pfropfung und bezüglich dessen Methode ist das auch fraglich, ob das mit dem Verfassungsrecht übereinstimmt, aber durch das geänderte Mietrecht ist der Immobilienmarkt wieder balanciert. Wegen der Fortdauer des Mietersrechts ist die Festigkeit zwischen der Fortdauer und der Begrenzung der Miete gemildert. Nach einigen Auffassungen in italienischen Lehren ist das als eine Rückkehr zum Zivilgesetzbuch angesehen, aber ist das richtig bzw. in sich widerspruchfrei formuliert? In der Mietekontrolle gibt es grundsätzlich eine Beschränkung, so ist das auch ein Ergebnis, das vom tatsächlichen Bedarf im Markt nachgebend entstanden ist. Durch das Recht im Jahre 1992, das zwar aus dem Recht im Jahre 1978 stammt, hat das Recht im Jahre 1998 einige Besonderheiten. Aus diesem Gesichtspunkt soll das Recht im Jahre 1978 eine rechtsgeschichtliche Bedeutung haben. Die Fortdauer des Mietersrechts bzw. die Rückkehr des Immobilien- mietvertrags zum Zivilgesetzbuch bedeutet nicht die Rückkehr zur Besitz- od. Vertragsfreiheit. Daher ist die Geleichstellung der Vollziehung über die Übergabeentscheidung gesetzgeberisch zu berücksichtigen. Zwischen beiden Mietrechten im Jahre 1978 bzw. 1998 gibt es einen großen Unterschied. Wie oben genannt ist, wollte das Recht im Jahre 1978 durch das unmittelbare Eingreifen in den individuellen Vertrag die Mietekontrolle bzw. Fortdauer des Mieterrechts ausführen. Das war die Absicht des Gesetzgebers, dass der Mieter leicht die Mietobjekte erhalten konnte, auch dadurch das Mietverhältnis mehr stabilisiert wurde. Aber durch das gesetzliche Eingreifen war die Gelegenheit zum Erhalten der Mietobjekte weggenommen und schließlich waren die nicht gemieteten Immobilien drastisch zugenommen. Daher ist das Mietrecht im Jahre 1998 ein Ergebnis, das nicht die alte Fassung nachfolgte und systemmatisch sich umgewandelt. Nach dem Mietrecht im Jahre 1998 ist die Miete von den Vertragsbeteiligten selbst entschieden und ist das bestimmte Vertragssystem durch den steuerpolitischen Vorteil gefördert und durch die staatliche Förderung zur Miete konnten die niedrigen Einkommende viel leicht die Mietobjekte erhalten. Zusätzlich kann das Mietrecht auch die Privatautonomie noch beschränken, um die Stabilisierung des Mietverhältnisses zu sichern. Das Vorkaufsrecht ist auch dem Mieter eingeräumt. Die oben genannten Inhälte sind Ansichte des italienischen Gesetzgebers, um die Zusammenhang zwischen dem Mieter und der Mietobjekte stabil und fortdauerlich zu sich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