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형(論衡)》평론사연구 2 제

        소의평 영남중국어문학회 1993 중국어문학 Vol.21 No.1

        중국사상사에 있어서 경전으로 여겨지는 《論衡》은 편찬된 이래 2000년 동안 줄곧 사람들의 관심과 비평을 받아왔는데 그 관심의 촛점과 비평의 시각은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경전저작에 대한 평론의 역사는 경전 그 자체의 가치를 반영할 뿐 아니라 각 시대 의식의 변천을 반영한다. 따라서, 경전저작 비평사에 관한 연구는 더욱 깊이 있게 경전저작 그 자체와 각 시대의 사상의식을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 의의다. 이 논문은 문장관과 사상사의 양측면을 분별하여 2000년에 걸친 《論衡》을 둘러싼 평론의 변천을 고찰하고 이러한 평론의 변천과 각 시대의 문장관, 사상사의 변화 사이에 밀접한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선진문학대어상인적표현(先秦文學對於商人的表現)

        소의평 영남중국어문학회 1997 중국어문학 Vol.29 No.1

        본 논문은 선진 문학에서의 상인에 대한 표현양상과 특징을 논술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논지는, 선진 문학은 중국문학상의 상인 묘사에 대한 역사상 단지 맹아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 시기의 상인은 아직 문학상 드러나지 않는 존재에 지나지 않았으며, 그들에게 주의를 기울이는 문인 또한 매우 드물었다. 그러므로 상인을 묘사한 문학 작품의 수량 역시 대단히 적었으며, 상인에 대한 태도 또한 결코 그렇게 우호적이지 못하였다. 그러나 어쨌든 선진 시기의 문학 속에서는 상인에 대한 묘사가 이미 시작되었으며, 또 그중 몇몇 방면에 있어서는 후대문학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치기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 尤庵宋時烈與王充 : 功利主義文學觀的普遍性問題 功利主義文學觀의 普遍性問題

        邵毅平 충남대학교 송자학연구소 1996 宋子學論叢 Vol.3 No.-

        조선시대 도학과 우암 송시열(1607~1689)의 문학관에 관하여는 한국에 이미 전문연구를 한 논문이 두 편이 있는데 중국에서는 아직 어떤 사람도 주의를 하지 않았다. 한국의 이 두 편 논문 중 한 편은 김학주의《우암적 시학과 시》이고 한 편은 이향배의《우암송시열의 문학론연구》이다. 그 중 이향배의 논문은 우암의 문학관 자료를 대량으로 발굴하고 우암의 문학관에 대하여 자세한 분석을 하였으니 지금에 있어서 우암에 대한 가장 전면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두 편의 논문은 우암의 문학관 자료를 대량으로 발굴하고 우암의 문학관에 대하여 자세한 분석을 하였으니 지금에 있어서 우암에 대한 가장 전면적인 연구하고 할 수 있다. 두 편의 논문은 연구 시각에 있어서 하나의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데 즉 모두 “도학”의 각도로 우암 문학관의 기본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것은 확실히 변할 수 없는 지론이며 나도 또한 이에 대하여 완전히 찬성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나는 과거에 일찍이 한대 사상가 왕충(27~약97)에 접하여 본 적이 있어 왕충의 문학관에 대하여는 조금 이해가 있다. 현재 우암의 문학관을 보면 왕충과 서로 부합되는 부분이 많음을 느낀다. 그러나 우암은 순수한 도학가이자 유가사상의 철저한 신도이며 왕충은 오히려 “이단”사상가이고 사상적(유가사상을 포함하여) 회의자와 비판자이니 그들은 전통사상의 양극에 따로 서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뚜렷이 다른 두 사람의 문학관이 어떻게 그렇게 비슷한 점이 있게 되었는가? 우리는 이에 대하서 흥취가 솟아오름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이와 동시에 우리는 다른 하나의 일이 연상되는 것을 금할 수 없다. 즉 현대 중국의 문인들은 일찍이 공개적으로 전통사상―대개 주로 유가사상을 가르친다―과의 결렬을 선언하였다. 이를 위해 과거 정통의 지위를 점유하고 있던 유가문학관에 대하여 특히 우암과 같은 도학가의 문학관에 대하여 계속하여 충격을 일으켰다. 그러나 그들이 주장한 소위 혁명성의 문학관은 장기적으로 정통의 지위를 점유하고 있던 현실주의 문학관과 비슷하고 그 중에는 오히려 상당한 부분이 전통의 유가문학관과 일치한다. 게다가 재미있는 것은 전통적 유가문학관이 수난과 동시에 현대 중국의 각종 문학사 혹 비평가 논저에서 전통의 유가문학관과 서로 비슷한 곳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왕충의 문학관은 오히려 여전히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는 점이다.

      • KCI등재

        특집. 동아시아 문학 속 상인형상 : 상인과 여인 그리고 선비 -중국 전통시기의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상인을 예로 들어-

        소의평 ( Yi Ping Sha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8 No.-

        The triangle relationship among businessman, woman and literati is often represented i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The representation is modeled on the failure of businessmen in winning women’s heart in competition with the literati, whose literary talents are often adored by the female with bias against the wealth of businessmen. In fact, this triangle relationship is imagined by the literati in compensation for their defeat by businessmen in real life. In literary imagination, the literati gain the upper hand over businessmen and retaliate upon them whom they can hardly overpower in reality. From Tang poetry to Yuan drama, to Ming novels in vernacular, and to Qing novels in classical Chinese, literati’s literary imagination turns from hidden to overt, and gradually exhibits realistic and even comical features. This thesis gives a detailed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evolution of the everlasting imagination of the literati.

      • KCI등재

        《 두붕한화 》 : 중국고전소설중적광가결구

        소의평(Yi Ping Shao) 영남중국어문학회 1997 중국어문학 Vol.30 No.1

        세계문학사상 $quot;액자구조$quot;는 이전에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던 서술구조이다. 이 $quot;액자구조$quot;의 유래는 고인도에서 시작되며, 작품으로는 ≪Pa¨ncatatra≫ 등이 있다. 이것이 이후에 페르시아에 전래되어 ≪천일야화≫가 나왔으며, 그 뒤에 이탈리아에 전해져 ≪데카메론≫이 만들어졌으며, 또 다시 영국에 전해져 ≪Canterbury Tales≫가 나왔으며, 이후에 프랑스 등 여러 유럽국가들에 전해졌다. 그러나 이 $quot;액자구조$quot;는 중국에 전해진 적이 없다. 17세기 중엽까지 중국 단편소설집에서 이 $quot;액자구조$quot;를 사용한 것을 볼 수 없다. 17세기 중엽이 되어서야 $quot;액자구조$quot;를 사용한 화본소설집이 $quot;우담화(優曇花)$quot;처럼 잠깐 나타났다가 바로 사라졌다. 이것이 바로 ≪豆棚閑話≫이다. 그런데 ≪豆棚閑話≫이후 이 $quot;액자구조$quot;를 모방한 작품이 결코 나타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이 $quot;우담화(優曇花)$quot;처럼 잠깐 나타났다가 바로 사라진 $quot;액자구조$quot;를 사용한 ≪豆棚閑話≫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 소설이 세계문학 중 기타 $quot;액자구조$quot;를 사용한 소설집과 어떤 특징이 있는지, 이러한 특징이 어떻게 중국 문화배경을 반영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 작품의 $quot;액자구조$quot;사용이 중국 고전소설사에 어떤 의의를 담고 있는 지를 연구·검토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