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료피드백에서의 면대면 논의 과정 분석: 교육계획안 작성 활동을 중심으로

        성지훈(Sung, JiHoon),정영숙(Jung, Young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계획안에 대한 동료피드백 활동에서 서면 피드백과 함께 면대면 논의가 실시된 경우에 초점을 맞추어, 면대면 논의 과정 및 결과를 분석하고, 동료피드백에서의 효과적인 면대면 논의 활동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A 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19명을 대상으로 교육계획안 작성 과정 가운데 면대면 논의를 포함한 동료피드백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로는 이들이 작성한 교육계획안 초안 및 수정안, 동료피드백 활용 보고서, 설문지를 수집·분석하 였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필요한 질문 사항을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동료피드백에서 이루어진 면대면 논의의 효과를 높게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대면 논의가 포함된 동료피드백 활동의 주요 특징으로 동료학습자간 피드백 내용에 대한 상호이해 향상, 배움의 기회 증대, 학습자들의 정 서적 부담감 가중, 많은 시간 소요, 심도있는 논의 진행 부족 등이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시간 효율적인 논의 과정 운영, 동료 평가자로서 느끼는 정서적 부담 감소, 배움의 기회 확장, 교수자의 적절한 개입 등이 동료피드백에서의 효과적인 면대면 논의를 위한 전략으로 제시되었으며, 관련된 세부적인 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예비체육교사의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경험 분석

        성지훈(Sung, Jihoon),장경원(Chang, Kyun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예비체육교사들이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생각하고 경험하며, 어떠한 어려움을 겪는지 분석하여 이들에게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지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A 대학 체육교육과 3학년 학생 4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 2인이 2차에 걸쳐 분석, 정리하였다. 정리된 내용 중 심층적 이해가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연구참여자 4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구성원 검토 과정을 거쳤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체육교사들은 교육과정, 교과서, 인터넷 자료 등을 참조하여 단원학습 목표작성, 차시별 전개 계획 수립,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학습자분석과 환경 분석 단계에서는 자신과 타인의 과거 및 현재의 경험을 토대로 간접적으로 학습자와 환경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파악하였다. 셋째, 해당 차시의 학습목표는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등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작성하고자 하였으며, 목표의 달성가능성과 심동, 인지, 정의적 목표를 고려하였다. 넷째, 교수학습활동 계획 단계에서는 정형화된 수업 전개틀을 따르고 있었으며, 주요 교수학습활동(설명, 피드백 등)을 추상적으로 기술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작성과정에서 차시별 적정 분량 배정, 학습자의 구체적 특성 파악, 평가의 필요성 및 객관성, 구체적 교수전략 모색, 효율적 시간 배분, 교수설계이론 적용 등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교육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교수학습과정안 및 실제 수업 사례를 제공하여 다양한 수업전략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수학습과정안 작성을 위한 구체적 맥락을 제공하여 학습자 분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설명과 피드백 방법에 대한 심화 교육을 수행해야 한다. 넷째, 내용 연구 및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다섯째, 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과정안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s and their thought and reflection during writing lesson plans and to suggest effective strategies for teaching pre-service teacher lesson plan. The lesson plans and reflections of 41 pre-service teachers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in a university were analyzed twice by two researchers. After analysis for more information 4 pre-service teachers were interviewed. For member checking the results were checked with fiv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wrote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chapter and the chapter teaching plan and did the content analysis with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online materials. Second they did learner analysis and context analysis recalling their past experience or asking acquainted teachers or students teachers in practicum about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ir students. Third learning objectives of the unit were written specifically referencing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a guidebook for teacher. Fourth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ey have their own standardized sequence of teaching but the content of this part were written not specifically like ‘provide feedback’ and ‘explain the how to do’ without concrete content. Writing lesson plans they experienced some difficulties in chunking the materials for the unit planning necessary and objective assessment develop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llocating time etc. Based on the results some effective strategies for teaching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 were provided like following. Various samples of lesson plans and video of the class should be presented. Real context should be provided for writing lesson plan. How to explain and feedback should be taught specifically. Content analysis phase should be emphasized. The features of each subject should be considered in teaching lesson plans.

      • KCI등재

        대학 수업에서의 발표 녹화 영상에 대한 자기 피드백 활동지 분석

        성지훈(Sung, Ji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는 대학생의 발표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권장되고 있는 자기 피드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9-2학기 경기도 소재 A 대학교 교직실무 강좌를 수강한 3학년 학생 52명이 집단탐구에 대한 결과를 발표한 후, 녹화된 자신의 발표 영상을 보고 작성한 자기 피드백 내용과 이 활동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피드백은 해당 수업에서 사용한 발표 평가 준거를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내용적으로는 영상을 보면서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수월한 표현력에 대한 피드백이 가장 많았고, 장점보다는 부족하거나 개선이 필요한 점에 대한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일부 학생들은 장점에 대한 자기 피드백에서 자신의 노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를 하였고, 부족한 점에 대한 피드백에서는 이유나 상황에 대한 설명을 기술하였다. 이는 교수자나 동료 등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 대한 피드백이기에 가질 수 있는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발표 녹화 영상을 활용한 자기 피드백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상당히 긍정적이었다. 새로운 자기 보기, 직관적 자기 분석과 개선 의지를 강화하는 활동으로 비록 심적 부담이 있더라도 할 만한 가치가 있는 유용한 활동으로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elf-feedback on oral presentations in undergraduate courses. In the 2019-2 semester, 52 juniors who took teachers’ practice courses at a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gave oral presentations on their group investigations. Their presentations were video-recorded and were provided to them for self-feedback. The written self-feedback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ontent and perception of the self-feedback.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feedback reflected the oral presentation criteria used in the courses. In terms of content, the feedback on expression which can be seen intuitively from the video were more than the others, and the negative feedback were more than the positive feedback. Some students gave positive feedback on their effort. Others explained the reasons or situations in the feedback on their shortcomings. These kinds of features appeared because it is not feedback from others such as professors and peers but from themselves.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self-feedback with recorded video were quite positive. It made them look at themselves from a new point of view, analyze themselves intuitively, and enhanced their willingness to improve. Even if there was mental burden, it was a useful activity to improve their oral presentation competence.

      • KCI등재

        대학 CTL의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 적용 수업 개발 프로그램 참여 교수의 경험 분석

        성지훈(Jihoon 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대학 CTL에서 진행하는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수업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자의 참여 동기, 참여 과정, 참여 결과 인식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CTL의 효과적인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A대학교 CTL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자 6명을 대상으로 개별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녹음 후 전사한 자료에 대해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 과정을 통한 질적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신뢰로움을 위해 CTL 담당연구원과의 면담, 프로그램 관련 공문, 결과 보고서를 수집하여 연구 참여자의 면담 결과와 비교 분석하면서 삼각검증법을 적용하였고, 구성원 검토와 동료검토법을 실시하였다. 결과 참여 동기, 참여 과정, 참여 결과 인식 측면에서 총 2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학교 정책, 개발비 지원과 수업 개선 의지에 따라 참여하였다.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위해 자기주도적 학습과 더불어 많은 생각과 고민을 하였다. 수업 운영 중 여러 문제에 직면하면서 해결해 나가는 경험을 하였고, 좋은 성과 및 보고서 작성을 염두에 두고 많은 신경을 썼다. 수업 설계 및 운영을 지원하는 CTL 프로그램은 효과와 함께 개선해야 할 사항들이 지적되었다. 이들은 이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교수자로서 발전할 수 있었고, 전문적 교수-학습 방법을 체계적으로 경험하였으며, CTL의 지원은 보다 책임감있게 참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결론 선행연구에 비추어 연구 결과 도출된 교수자의 경험과 인식을 논의하고, CTL의 프로그램 운영 시 반영해야 하는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otivation,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and the perceptions of participation results of the professors who design and develop, implement the learner-centered method in their undergraduate classes with the support of CTL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it also purposed to draw effective strategy for the CTL program. Method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rofessors, the study participant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with constant comparison method doing open coding, categorizing, reviewing categories. For trustworthiness of the study, triangulation using interview data with a CTL researcher and program related documents and reports, member checking, and peer review were applied. Results A total of 27 categories were derived in the areas of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the participation process and result.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accordance with the school policy, incentive, and willingness to improve classes. In order to understand and apply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s, they thought and agonized a lot along with self-directed learning. They faced various problems and solved them, and paid a lot of attention to classes for the good results and reports in mind. They experienced the effects and problems of the CTL services. They felt development of as a professor, experienced sophisticate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participated responsibly thanks to CTL support. Conclusions In light of the previous studies,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participants were discusse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or CTL to support the professors’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learner-centered method effectively.

      • KCI등재

        3차원 주파수 재사용 패턴의 성능 및 반송파 결합을 사용하는 시스템으로의 적용 방안

        성지훈(Jihoon Sung),성원진(Wonjin Sung) 한국전자파학회 2012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3 No.11

        셀룰러 이동통신의 주요 성능 열화 요인으로 작용하는 셀 간 간섭을 제어하기 위하여, 인접한 셀 간에 주파수 자원을 선택적으로 할당하는 주파수 재사용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기존의 주파수 재사용 패턴에 대한 연구는 주로 2차원 공간에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도심 지역의 사무용 빌딩과 같이 사용자가 밀집된 지역에 설치된 펨토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3차원 공간에서의 주파수 재사용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패턴들을 제안하고, 각 패턴별 성능을 채널 용량 측면에서 분석한다. 특히, LTEAdvanced 시스템의 요소 반송파 결합 기술을 고려시 제안 방식의 적용을 통해 보다 유연한 3차원 주파수 재사용 패턴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이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 방식의 성능을 평가한다. Assigning different frequency resources among adjacent cells, namely the frequency reuse technique can be utilized to mitigate intercell interference, which is a major cause of performance degradation in cellular systems. Since most of conventional frequency reuse patterns are limited to the two-dimensional environment, the research for the three-dimensional frequency reuse would be beneficial especially for the implementation of femto cells in downtown office buildings. We propose frequency reuse patterns in three-dimensional space and evaluate their performance of each pattern in terms of channel capacity. In particular, we show that the proposed three-dimensional frequency reuse patterns can be applied for carrier-aggregated transmission of LTE-Advanced system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atterns is evaluated using computer simulation.

      • KCI등재

        원격대학원 성인학습자의 위키 기반 협력학습 참여 행태 및 효과에 대한 인식 분석

        성지훈(Sung, Jihoon),정영숙(Jung, Youngso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원격대학원 성인학습자가 참여한 위키 기반 협력학습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로서, 학습자들의 협력학습 참여 행태와 학습자들이 인식한 협력학습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격대학 원생들이 소그룹별로 위키를 활용하여 ‘교원원격연수에서의 CSCL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과제를 수행하는 활동을 관찰하였으며, 학습자들이 위키 사이트에 올린 메시지와 학습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ㆍ분석하였다. 원격성인학습자들의 활동 참여는 대체적으로 저조하였고, 협력학습 방식은 주로 자신이 조사한 내용이나 의견을 올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피드백이나 논의, 상호 수정과 보완작업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미흡으로 협력적 지식구성 효과는 미미하였으나, 학습자들은 위키라는 신기술에 대한 경험, 의견 교환, 학습자간 유대의식 강화 등을 높이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원격성인학습자 대상 위키 기반 협력학습 활동의 저조했던 이유와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perceived by adult learners of distance graduate education and their patterns of participation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learners carried out a group project under the title “Activation Plan for CSCL in Online In-Service Teacher Training” using Wiki.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observation on the learners’ activities, the learners’ messages on the Wiki websites, and a survey. The results showed overall low participation among the adult learners and their model of collaborative learning was limited to posting their findings and views without enough interactions for modifications such as feedback, discussion, and revision. In spite of limitations on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from the lack of interactions among learners, the learners valued their experiences with the new technology, for example Wiki, appreciated sharing opinions, and an acknowledged an increased sense of belonging to the group. Lastly, based on the results, the causes of low participation among adult learners of distance education and future strategies to enhance their particip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일반대학에서의 실시간 화상 수업과 비실시간 녹화 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비교 : 수업 집중도, 이해도, 만족도를 중심으로

        성지훈 ( Sung Jihoon ),권순형 ( Kwon Soonh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일반대학에서 갑자기 전면 도입된 온라인 수업의 대표적 방식인 실시간 화상 수업과 비실시간 녹화 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A대학교 전체 학부생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말 2주간 교내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학습자 학년, 학업능력, 학업지연행동 수준과 각 수업 방식에서의 집중도, 이해도, 만족도 및 자유 의견을 질문하였다. 총 응답자는 498명이었고, 이 중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을 모두 수강한 398명의 자료를 선정, 분석하였다. 응답자 전체, 학년별, 학업능력별, 학업지연행동별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에서의 집중도, 이해도, 만족도를 비교하였고, 자유 의견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업 집중도는 실시간 수업에서 높고, 이해도와 만족도는 비실시간 수업에서 높게 나타났다. 실시간 수업에서는 화면에 교수자도 보이고, 끊김, 울림 등으로 소통이 안 되면 향후 보완이 어렵기에 보다 집중하기는 했으나 이해도와 만족도는 다시보기 기능이 가능한 비실시간이 높았던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외에 학년별, 학업능력수준별, 학업지연행동수준별로 나누어 두 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한 결과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자유 의견 분석에서는 두 수업 방식 모두에서 화질 및 음질 개선, 바람직한 온라인 수업 태도 지도, 소통을 강화한 수업, 다시보기 기능의 효과적 활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Due to COVID-19, most universities in South Korea had to abruptly convert Face-to-Face classroom courses to fully online courses in 2020. This study explor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two most commonly used types of lectures, namely synchronous video conferencing lectures and asynchronous video-recorded lectur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undergraduates at a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for over two weeks in late July 2020. The survey questions examined the students’ grade level; last semester GPA;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heir levels of concentration,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in the two types of lectures. There was also room for stating other opinions. Out of a total of 498 students who completed the survey, the responses of 398 students who took both synchronous lectures and asynchronous lectur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Paired t-tes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students’ concentration,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with synchronous lectures and asynchronous lectures; the students’ opinions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overall, the students’ concentration in synchronous lectures was higher than in asynchronous lectures. However,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in asynchronous lectures were higher than in synchronous lectures. The students in synchronous lectures concentrated more because they could see instructors via the monitor and because it was harder to catch up later if they missed parts of the lectures due to sound problems.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were higher in asynchronous lectures with the replay function.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grade level, last semester GPA, and level of academic procrastination. Their perceptions were compared, and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e students pointed out that the improvement of video and audio quality, facilitation of a desirable online learning attitude, enhanced communication during lectures, and effective use of the replay function were necessary for both lecture types.

      • KCI등재

        대학 강의 중심 수업에서의 학습자 질문 활성화를 위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

        성지훈(Sung JiHoon),정영숙(Jung Young-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에서 가장 보편적인 수업 형태인 강의 중심 수업에 적합한 학습자 질문 활성화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일방적 강의에 학습자 질문을 활성화하여 학습자의 심도있는 학습을 유도하고,교수자가 학습자의 상황을 파악하여 소통을 통해 수업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여 2017년 1학기에 교수설계 모형 초안을 개발하고, 2017년 2학기에 대학에서 강의 중심 수업으로 운영되는 4개 강좌에 실제 적용하여 현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후 현장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된 모형의 타당화를 위해 2018년 1월과 6월에 두 차례의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ADDIE 모형을 참조하여 6단계(준비-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 로 구성하였으며, 학습자 질문 활성화 전략은 학습자 질문 생성 과정을 반영하여 각 과정을 촉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 모형에서는 각 수업이 갖는 맥락을 고려하여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전략을 개발하도록 안내하는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주 사용 대상자인 대학 교수자의 사용 편이성을 위해 설명과 예시를 곁들인 워크시트 형태로 개발하였다. 향후 모형 개선을 위해 다양한 학문 영역의 강의에 적용하여 학문 영역 특성에 적합한 효과적인 전략을 추가적으로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assists instru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learner-generated questions in lecture-oriented classes. We chose lecture-oriented classes because they are the most common form of teaching in Korean universities. By facilitating the use of learner-generated questions in one-way lectures, our goal was to strengthen learner s understanding of content, promote deep thinking, and improve students’ questioning ability. This strategy was anticipated to help instructors grasp learners’ understanding, opinions, and questions, improve their lectures, and enhance communication. We developed a draft of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d consulting with experts. To field test the model in the fall semester 2017, we applied it to four lecture-oriented university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eld test, we conducted two expert reviews to validate the modified mode in January and June, 2018. The model was composed of 6 steps (preparation - analysis - design - development -implementation - evaluation) with reference to the ADDIE model. The strategies to enhance learner-generated questions were designed to facilitate each step of question generation. The model focused on developing practically applicable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each lectured-oriented class. We provided target users, who were university instructors, with a worksheet with descriptions and examples for ease of use. In order to improve the model, its application can be tested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so that effective discipline-specific strategies can be developed.

      • 버스의 특성을 고려한 경로 계획 및 횡방향 제어 시스템 개발

        성지훈(Jihoon Sung),한상원(Sangwon Han),윤성환(Sunghwan Yoon),허건수(Kunsoo Huh) 한국자동차공학회 2020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0 No.7

        Recent requirements for safety and convenience have resulted in the application of many ADAS technologies, including Adaptive Cruise Control (ACC), Lane Keeping System (LKS), etc. These technologies are expanding beyond passenger cars to commercial cars. Commercial vehicles have different behavior characteristics from passenger cars due to their long overall width, overall length and overhang (distance between axle and edge of the car).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elf-driving technology of large buses. In this paper, a method proposed to plan safe trajecto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 and a lateral control system following the planned trajectory. The lane information and the safe distance from the surrounding vehicle or obstacle are set as constraints considering both the front and rear overhang of the bus. The optimal trajectory is planned by considering the safety and the constraints. Based on the behavior model of the bus, the controller is designed to meet the constraints and follow the planned trajectory. The proposed trajectory planning and lateral control algorithm is verified by simulation using commercial software, TruckMaker and MATLAB/Simulin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