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국 실내비행체 경연대회를 통한 초소형 비행체 설계 분석

        석진영,남중설,구삼옥,정인재,정창화,김성남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4

        국내에서는 다양한 항공기 설계 경연대회가 각 기관에서 개최된다. 그중에 현재 개최되는 대회 중, 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회로는 올해로 14회를 맞는 경상대학교 전국대학생 자작모형 항공기대회, 4회를 맞이하는 국제 신비차 경연대회와 올해로 10회를 맞이하는 충남대학교 전국 실내비행체 경연대회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모형항공기 대회를 소개하는 한편, 그동안 개최되었던 전국 실내비행체 경연대회의 결과를 정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되어진 결과를 토대로 실내에서 비행하기에 적합한 항공기의 종류, 날개길이 및 가로세로비 등 설계변수의 최적값을 도출하였다. A variety of domestic airplane design competition is held in each institution. Among them, there are three competi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such as the national hand-made model airplane competition organized by th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he international flyingcar competition held in Gyeongsangnam-do, and the national indoor plane competition held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introduces such airplane design competitions in Korea. Especially, design analysis of the indoor plane competition held for 9 consecutive times is highlighted. Based on result of the analysis, optimal values of the design parameters such as aircraft type, wing span, and aspect ratio for indoor flight are derived.

      • KCI등재

        효명세자 대리청정시기 창경궁 연향공간의 건축변화 연구

        석진영 한국건축역사학회 2020 건축역사연구 Vol.29 No.4

        The planning acumen led by the crown prince stands out during the banquets that were held continuallyduring the reign of Crown Prince Hyomyung around the late Joseon period from 1827 to 1929. If we examine thechanges in banquet space during the period that Crown Prince Hyomyung ruled by proxy, the Jagyeongjeon(慈慶殿) in Changgyeonggung Palace, which was built during the time of King Jeongjo was repaired after the in1827 during the reign of the crown prince and appeared in its changed form in Muja Jinjakin 1828. It is believedthat the Jagyeongjeonwas expanded and repaired during the reign of Crown Prince Hyomyung to conductbanquets for important guests. Jagyeongjeon which was repaired during the crown prince's reign, is a spacewhere banquets were continuously held during the three years that he reigned, and we can see that it is animportant space for royalty where the authority of King Sunjo, Queen Sunwon, and Crown Prince Hyomyungwas reflected. Yeongyeongdan(演慶堂) was a structure built in 1828, which is after the period when theJagyeongjeonwas changed in 1827, and it is a space that emerged during the reign of the crown prince. Hwanchwijeong(環翠亭), which was constructed during the time of King Seongjong was changed after 1827during the reign of Crown Prince Hyomyung and appeared in its changed form in Muja Jinjakin 1828. Hwanchwijeongwas the place where the Crown Prince Hyomyung stayed and planned banquets and it wasrepaired along with Jagyeongjeonin 1827. During his reign, the political intent of the crown prince was reflectednot in superficial political spaces but in spaces where banquets were held and accordingly the main spaces forbanquets and their related royal palace locations were changed or newly established. You need to briefly explainwhat this and Muja Jinjak are. New information is not provided in this paragraph. You have already establishedwhy the crown prince renovated the banquets and its significance in the first two paragraphs. You could justadd “Jagyeongjeon(慈慶殿), Yeongyeongdan(演慶堂), and Hwanchwijeong(環翠亭) in Changgyeonggung Palaceduring his reign were changed and renovated during the time when the royal banquets of the 19th century weregetting established. It was spaces that reflected the royal family and royal authority” to the end of the secondparagraph and it would convey your intended meaning. 조선후기 효명세자의 집권기인 1827년부터 1829년에 연속적으로 열린 연향은 왕세자의 주도적인 기획력이 돋보인다. 효명세자 대리청정기의 연향 공간의 변화를 살펴보면 정조시기 건립된 창경궁의 慈慶殿은 효명세자 집권기인 1827년 자경전진작 이후에 수리되어 1828년 무자진작에 변화되어 나타난다. 효명세자 집권기 주빈을 위한 연향을 거행하기 위해 자경전을 확장하여 수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효명세자 집권기 수리된 자경전은 효명세자가 집권한 3년 동안 연향이 지속적으로 거행된 공간으로 순조, 순원왕후, 효명세자의 권위가 반영된 왕실의 주요한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演慶堂은 자경전이 변화되는 시기인 1827년 이후 1828년에 건립된 것으로 효명세자 집권기에 등장하는 공간이다. 성종시기 건립된 環翠亭은 효명세자 집권기인 1827년 이후 변화되어 1828년 戊子進爵에 변화된 형태로 나타난다. 환취정은 효명세자가 거처하며 연향을 기획하던 장소로 1827년 자경전과 함께 수리된다. 효명제자 집권 시기 표면적인 정치적 공간과 달리 연향이 거행되는 공간에서 왕세자의 정치적 의도가 반영되었으며 그에 따라서 연향의 주요 공간과 관련된 전각이 변화되었거나 새롭게 조성되었다. 효명세자 집권기 창경궁의 慈慶殿, 演慶堂, 環翠亭은 19세기 왕실의 연향이 자리 잡게 되는 시기에 변화되고 새롭게 구축된 공간으로 왕실과 왕권이 반영된 공간이었다. 그 실질적 표면에는 宴享이 있었다. 즉, 효명세자 집권시기에 연향 공간은 적극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왕권 연향이 거행되는 공간에 반영되어 변화된 것으로 1827년부터 1829년 자경전, 연경당, 환취정이 동일한 시기에 변화된다. 慈慶殿과 環翠亭은 효명세자 시기 연향의 주요한 공간으로 기존의 연향 공간이 효명세자 집권기에 집중적으로 수리되었으며, 演慶堂은 연향의 용이한 설행을 위해 새롭게 건립된다. 즉, 효명세자 집권 시기 창경궁의 자경전과 연경당, 환취정은 효명세자의 정치적 위상이 연향으로 반영된 공간으로 왕실의 위상을 연향 공간에서의 건축 변화로 알 수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궁중 연희무대 건축 장인(建築匠人)의 활동과 주요 목수(木手) 연구

        석진영,한동수 한국건축역사학회 2019 건축역사연구 Vol.28 No.3

        A major performance stage carpenter, Jang Insang led performance stages from the 1719 Sukjong Royal Banquet and was confirmed by historical records to be the first craftsman. Lee Wandeuk led the Hwaseong Fortress performance stages of the Jeongjo period and Gichuk Jinchan performance stages of the Sunjo period. The carpenter techniques he used during the Jeongjo period were succeeded to the Sunjo period. Ahn Sungil was the head craftsman who led the performance stages of Jagyeongjeon Jinjak, Muja Jinjak, and Gichuk Jinchan of the Sujo period, under which the foundation for court palace performances was laid. The progression of major carpenters includes Jang Insang of the Sukjong period, Jeon Yoochu of the Yeongjo period, Ahn Sugil of the Sunjo period, Yoon Seoksin of the Heonjong period, Kim Yoonsik of the Gojong period, Lee Jongyoon, Kim Soongil, Seo Sangmook, and Han Sujoon. In addition, the Major Repair of Injeongjeon Hall (1857) of the Cheoljong period was the most important palace construction project for transferring the carpenters’skills. Through this project, Ahn Sungil of the Sunjo period, Kim Myeonggap, Yoon Seoksin of the Heonjong period, Kwon Deuknyang, and Kim Sungil of the Gojong period were abl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is major repair project of Injeongjeon Hall reflected the major carpenters’best techniques through performance stage construction, showing the progression of Ahn Sungil, Yoon Seokshin, and Kim Sungil, who led the constructions of Gichuk Jinchan of the Sunjo period (1829), Mushin Jinchan of the Heonjong period (1848), and Jeonghae Jinchan of the Gojong period (1887), the most impressive performance stages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carpenters of the court performance stages participated in important construction projects of the royal palace, reflecting the superior technical skills of the carpenters in the construction of court palace performance stages. The carpenters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onstruction of performance stages were able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transfer their excellent technical skills, providing the driving force that allowed court performance stages to blossom into splendid and high-quality court sta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조선후기 궁중 연희무대를 구축한 건축 장인은 사료의 한계로 숙종 기해진연부터 알 수 있다. 궁중의 외연과 내연에 참여한 장인은 숙종, 영조 시기에는 외연의 장인 수가 많고 헌종시기를 기점으로 내연의 장인 수가 많아진다. 장인의 유형은 숙종, 영조 시기에는 외연에서 다양하며 순조 기축진찬부터 내연에서 다양해진다. 연희무대 장인은 왕실의 주요 의례에 주로 참여하였지만 순조시기를 기점으로 연희무대 제작의 참여가 많아진다. 이는 대비가 주빈인 내연의 설행이 증가된 것과 연관이 있다. 연희무대 건축의 주요 목수로 장인상은 숙종 기해진연을 이끌고 사료로 확인되는 연희무대 최초의 장인이다. 이완득은 정조시기 화성성역, 순조시기 기축진찬의 연희무대를 이끌며 이는 정조시기 목수의 기술이 순조시기로 이어진다. 안순길은 궁중무대의 기틀이 확립되던 순조시기 자경전진작, 무자진작, 기축진찬의 연희무대를 이끈 편수로 효명세자 집권기의 외연과 내연의 성대한 연희무대를 모두 건축한 장인이다. 또한, 중요한 왕실 영건공사에 참여하며 주요 목수들과 가장 많이 교류하며 도편수의 기술력을 헌종, 철종, 고종시기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종운은 계유진작, 정축진찬, 정해진찬, 임진진찬의 연희무대를 조성하며 고종시기 연희무대 확장에 기여한 도편수이다. 주요 목수 흐름을 살펴보면 숙종시기 장인상, 영조시기 전유추, 순조시기 안순길, 헌종시기 윤석신, 고종시기 김윤식, 이종운, 김순길, 서상묵, 한수준으로 이어진다. 또한, 가장 주요한 목수의 기술 전달의 왕실 영건은 철종시기 인정전중수공사(1857)로 순조시기의 안순길, 김명갑 헌종시기 윤석신, 권득량과 고종시기 김순길이 함께 교류하게 되는 계기를 만드는 공사이다. 즉, 인정전중수 공사는 도편수의 최고 기술력이 연희무대 건축으로 반영되어 조선후기 가장 화려한 연희무대인 순조기축진찬(1829), 헌종무신진찬(1848), 고종정해진찬(1887)을 이끈 안순길, 윤석신, 김순길의 흐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궁중 연희무대의 목수는 왕실의 중요한 전각의 영건공사에 참여하고 목수의 뛰어난 기술력은 궁중 연희무대 건축에 반영되었다. 또한, 연희무대 건축에 선두적 역할을 수행한 목수들은 서로 교류하며 뛰어난 기술력을 잘 전승하여 조선후기 가설시설의 궁중 연희무대를 화려하고 수준 높은 궁중무대로 꽃피우게 하는 원동력을 제공하여 주었다.

      • KCI우수등재

        궁중 연향 왕실 방석(方席)에 관한 연구

        석진영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7

        During the Joseon Dynasty, a banquet with sitting cushions was mainly held in the yard of the royal quarters in front of the royal palace. If a leopard sitting cushion was used in the architectural space of a banquet, it indicated the highest rank in the royal seat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ch continued until the Gojong period. The long leaning cushion did not appear in the banquet seats during the Jeongjo period, but was used during the Sunjo period. The dragon-patterned sitting mat was used only for the king’s seat after the Sunjo period. This was to establish the king’s political authority, subdividing the hierarchy based on the mat’s pattern. Banquets held during the Sunjo period used the dragon-patterned sitting mat for the king, the floral sitting mat for Queen Sunwon, Crown Prince Hyomyeong, and the crown princess. For the sitting cushion, Manhwa and leopard sitting cushions were placed. Eventually, the crown prince and princess’s sitting cushions were replaced with leopard sitting cushions. The king’s throne had five levels of mats and Pyeoncha had five levels. The royal throne including the crown prince consisted of five stages, and the Socha bowing seat, and Pyeoncha had three levels. The seat for alcohol offerings had two stages; the arrangement of the sitting cushions indicated the rank of the seat for alcohol offering, the lowest was the crown prince’s seat. The number of stages and mats were the highest during the Jeongjo period. A pattern of this complex stage appeared in the Sunjo period and settled down after the Heonjong period. In the King’s hierarchy, there was the most, odd number of sitting cushions, and the status was classified by the number of mats used. During a banquet, the sitting cushion was placed according to the seat status. An arrangement by type, pattern, and color was used to distinguish the hierarchy of participants. The sitting cushion established the king’s political hierarchy and more specifically stratified the level of its royal participants. Sitting cushions were used on the royal family seats and for participants in the architectural space of a banquet. It was lastly planned in the banquet architectural space division, defining the differences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status and subdividing the royal hierarchy for some increased. 궁궐 연향에서 방석은 다양한 위차에 배설되었으며 유형과 문양, 색상 등이 구분되어 배설된 것은 참여자와 왕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방석은 전하의 정치적 위계를 확립하고 왕실 참여자의 등급을 더욱 구체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방석은 연향의 건축공간에서 왕실과 참여자의 위차를 세분화하여 구분하였으며, 연향 왕실 공간 구획에서 마지막 위차를 규정하고 왕실 위계를 세분화하였다. 조선후기 왕권과 왕실의 정치적 질서·의례적 명분, 유교적 위계질서를 지키며 신분 체제를 견고히 하고자 상징적으로 방석을 이용하였다.

      • KCI등재

        순조 궁중연희 내연 무대의 朱簾, 甲帳에 관한 연구 -修理·排設 부분을 중심으로-

        석진영,한동수 한국건축역사학회 2017 건축역사연구 Vol.26 No.6

        Royal banquets under the reign of King Sunjo saw developments in the playacting stage, which exhibited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transitionary period between Jeongjo and Gojong this period established the framework of the Joseon Dynasty’s playacting stage construction. Starting with the Jagyeongjeon-Hall banquet and continuing into the Year of the Golden Rat banquet, the next-day banquet by the Crown Prince demonstrates a renewed format, with the stage also changing accordingly. This change was substantiated by more assertive use of the Red Blind and gabjang. Previously, the Red Blind has been installed in the palace hall and around the royal courtyard, to form three sides, but as next-day banquets became more frequent under Sunjo, the Red Blind developed and came to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hierarchy within the royal family. In the Year of the Golden Rat banquet, the Red Blind was lifted and the throne of the crown prince was situated in the palace hall. In the banquet of the following year, however, the Red Blind was let down and the crown prince’s throne was placed outside, in palace court yard. This seems to have been a gesture to reorient the crown prince’s political standing and restore Sunjo’s sovereignty the following year. Hence, the installation of the Red Blin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royal hierarchy and ranks under Sunjo’s reign. The gabjang provided the second layer of protection for the playacting stage. The hongjeongju gabjang surrounded the stage in multiple layers and served as a partition. The gabjang from the Year of the Golden Bull banquet, in particular, boasted a unique installation, where it dangled from both sides of the royal palace’s facade. Hongjeongju gabjang, lapis lazuli gabjang, red gabjang, and yellow curtains were installed in the stated order to reflect Sunjo’s 40th birthday as well as the 30-year anniversary of his coronation. The Red Blind and gabjang from Sunjo’s years were positioned in creative ways to reinstate the royal authority, and demonstrated many improvements from those of Jeongjo’s reign. 조선시대 왕실은 연희를 설행하였다. 궁중연희는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대비들을 위로하고 장수를 기원하는 목적으로 많이 설행되었다. 내연 무대는 補階 위에 朱簾과 甲帳의 가설시설을 배설하였다. 이는 차면 기능을 수반하며 왕실과 왕가의 권위를 나타냈다. 순조 시기 궁중연희는 조선후기 내연 무대가 발전하는 시기로, 정조 시기와 고종 시기의 과도기적 양상을 보이며, 내연 무대의 기틀을 확립하는 시기이다. 이는 효명세자의 대리청정기에 연속으로 설행된 연희를 통해 확인된다. 慈慶殿進爵을 기점으로 戊子進爵에서는 王世子翌日會酌의 새로운 양상이 출현하였고, 이에 따른 무대의 형식도 갖추게 된다. 가설시설 가운데 가벽 기능의 주렴과 갑장이 연희 무대에 적극적으로 배설되며 변화, 발전하는 단계이다. 朱簾은 일차적인 차면 기능을 하며 왕실의 여성을 상징한다. 이전 시기의 연희에는 주렴을 殿閣에 걸고, 殿庭에는 주렴을 삼면으로 둘러 배설하는 형식이었다. 순조 시기 주렴은 익일회작의 연희 설행일 증가로 왕실의 위계에 따라 발전하였다. 무자진작 익일회작에서 주렴은 捲簾되어 왕세자의 좌를 전내에 배설하지만, 己丑進饌의 익일회작은 전내의 주렴을 降簾하고 왕세자의 좌를 전정에 배설한다. 이는 무자진작으로 왕세자의 정치적 위치를 정립하고, 기축진찬으로 순조의 왕권 회복을 위한 기획으로 판단된다. 즉, 순조 시기 주렴은 궁중연희 내연 무대에서 위계와 위차를 구분하며 발전하였다. 甲帳은 이차적인 차면 기능을 갖는 가설구조이다. 특히, 연희 무대에 겹으로 둘러 가벽으로 설치되었던 紅鼎紬甲帳은 기축진찬에서는 전각의 전면에 兩開드리개 형식으로 배설되며, 설치 위치에서 독특한 형식으로 나타난다. 순조 시기 홍정주갑장은 순조의 사순과 어극 30주년인 왕의 위엄을 상징하며, 위계에 따라 홍정주갑장, 아청목갑장, 홍주갑장, 황목휘장, 백목장 순으로 위치에 따라 배설되었다. 순조 시기 궁중연희 내연 무대에서 주렴과 갑장은 왕실의 권한을 강화하고 기득권 세력에 대응하기 위해 창의적으로 배설되고, 진작의궤의 수리와 배설에 구체적으로 기록되며 정조 시기보다 발전된 양상을 보인다. 또한, 이후 설행되는 궁중연희에서 내연 무대의 규모 확대, 공간 확장에 따라 배설된 주렴과 갑장의 수리·배설에 영향을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