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낙태에 관한 헌법해석론 : 미국의 논의를 중심으로 Focusing on legal debates in the United States

        석인선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01 法學論集 Vol.6 No.1

        This article will explore the legal bases in which the constitutional question of abortion rights must be decided. Whether abortion is thought to involve sexual morality or reproductive responsibility and whether it is analyzed as a question of a woman's right to privacy, of sex equality, or of state protection of potential life, issues of gender inequality and of the devaluation of woman pervade the entire field in ways that have not been adequately examined. Most works on constitutional theory offer interpretative strategies designed to elucidate the meaning of various constitutional provisions. Abortion policy implicates women's privacy and equality. Typical analyses of Roe v. Wade conclude that, properly interpreted, the Fourteenth Amendment does or does not protect Abortion rights. Some Scholars focus on the equal protection clause in analyzing restrictions on abortion and emphasizing that the restrictions on abortion are one kind of state action forbidden by the equal protection rather than privacy doctrine. Chapter Ⅱ examines the traditional analysis that a degree of freedom to choose abortion is a right protected by the privacy guarantees implicit in the due process clause of the fourteenth amendment. this analysis is both appealing to and problematic for those concerned with improving the role and status of women. Chapter Ⅲ considers the main alternative analysis, which would ground women's rights regarding abortion in the equal protection clause of the fourteenth amendment. A sex equality analysis raises the issue whether equal protection necessarily requires comparing women to men or whether sex equality should mandate an end to the subordination of women to men. ChapterⅣ examines several debates about whether abortion rights may imply the confluence of privacy and equality concerns by arguing for gender equality under the banner of privacy doctrine and equality arguments with the goal of increasing women's privacy-related liberty. This article analyzes that for several decades abortion policy has been a focus of legal debates over regulating human reproduction. The right to privacy dominates discussions of constitutional abortion law, but connections between abortion rights and ideals of gender equality have not gone unnoticed. Despite the problems with and the debate surrounding privacy doctrine on general, it would be problematic to exclude from the right to privacy a woman's interest in choosing to have an abortion. Finally, I seek to suggest a possibility of that abortion rights may imply the confluence of privacy and equality concerns by arguing for openness to privacy under the banner of the equal protection.

      • KCI등재

        지구화 시대 환경정책과 여성

        석인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2 여성학논집 Vol.19 No.-

        The development process has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poverty, to an increase in economic and gender-based inequalities, and to the degradation of the environment, further diminishing the livelihood of impoverished people, particularly women. The impact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on the health and livelihood of populations in the capitalist North as well as in the countries which have abandoned the state socialist system is a serious problem. The recognition of the limits of nature to absorb to the development agenda has fuelled the search for sustainable solutions to the crisis. Among the attempts by women to conceptualize sustainable forms of development, the recogni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domination of both nature and women has provided important insights. In the South this recognition has stimulated the debate on women, the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ED) within the development context, while in the North it has given rise to nature feminism and ecofeminism. In the evolution of the debates on WED since the mid-1980s, there has been a shift in positions and political priorities. In earlier discussions the emphasis was on women as victims of the environmental crisis, it later shifted to their roles as efficient environmental managers within the development process in the South. Many women have recognized that such a consensus among women globally is most urgent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environmental crisis threatens the survival of us all. I think that these questions need to be raised if we, as women, are to influence the future direction of the dominant development model.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the subjects of women, environmental policy,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on a theoretical level. As to the structure of the article, in Chapter Ⅰ, I give a brief description of the character of the crisis experienced in development, and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the subjects of feminism, environmental policy and globalization. In Chapter Ⅱ, I explore the different positions within the critiques of environmental issues and policy and suggest some important proposals concerning the role of women. In Chapter Ⅲ, I discuss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as well as the interrelating aspects among the environment, development and women. In Chapter Ⅳ, I analyze social ecology, ecofeminism and bio-regionalism as proposals for epistemological changes and a re-evaluation of the human/nature relationship. I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e utility of the concept of bio-regionalism. By way of a conclusion, I suggest a role for women and offer a new evaluation of the globalization/glocalization relationship in the approach of woman to environmental issues.

      • KCI등재
      • The Global/Local Environmental Legal Order viewed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석인선 이화여자대학교 2005 法學論集 Vol.9 No.2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먼저 여성주의의 실천적 적용에 관한 고찰이 필요하다. 여성주의가 관철된,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여성의 정책방향과 운동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하는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환경문제대응공간에서 여성의 입장과 역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행동의 인식론상의 토대 정립이 진행되어야 한다. 여성의 사회화가 선행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여성주의적 의식개혁이 필요하다. 종국적으로 환경문제접근에서 지역성과 행위성에 대한 여성주의관점의 실천적 논의들은 지구적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여성주의자들의 제안인 생태여성주의의 논의가 어떠한 지구적 보편성과 지역적 특수성을 포괄하고 있는지 그 가능성과 방향과 한계를 탐구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지구화 흐름 속에서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성인지적 관점을 정립하는 데 있어서 생태여성주의에 집중하지 않을 수 없다. 생태여성주의적 분석은 여성의 억압과 자연의 착취 사이에 존재하는 부인할 수 없는 유사점을 밝히는데 유익하며 동시에 억압의 맞물린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생태여성주의의 이론적 논쟁들은 이제 새롭게 등장하는 이론들에 의해 모순과 단점들이 부각되는 단계에 와 있는데 그 한계를 지적 극복하는 이론적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론적 작업이 전제되고, 생태여성주의적 관점 확립에서 지구화의 구조와 조건변화가 인식되어야 여성행위자의 행위방침이 올바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환경문제에 대응하여 지역성을 반영한 생태여성주의의 가능성논의는 우리의 상황에서 생태여성주의에 대한 비판과 대안에 대한 논의 그리고 지역현장과 세계를 연결하는 여성환경연대에 관한 이론을 정립 구축함과 동시에 그것이 국내·국제환경법질서에 어떻게 수용될수 있는가를 탐구하는 논의가 주축이 된다. 지구화시대의 세계환경정치 속에서 환경문제해결의 국제규범틀이 남북갈등에서 시장경제의 논리를 통해 북부에 의해 부당하게 정당화 확대되고 있으며, 개발문제·인구문제에 대한 접근법, 국내환경법의 국제환경규범의 종속성 등이 국제환경법질서에서 환경착취를 암묵적으로 진행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먼저 이러한 문제들을 노정하고 있는 국제환경법에 대해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비판한다. 이어서 국내환경법상 쟁점들 중에서 두 가지, 토지이용과 환경보호구분에 내재된 이분론의 문제와 리스크관리체계법이란 측면에서 환경기준 설정 등을 포함한 환경법이 전제하고 있는 위험평가의 문제를 검토한다. 국토이용과 환경보호를 구분된 개념으로 보아 합법적으로 환경보호를 배제한 국토이용이 가능토록 하는 현행환경관련법제를 여성주의적 관점에 근거하여 분석 비판한다. 또한 환경관련법제의 기본원리 중의 하나인 사전배려원칙의 현실적 허구성과 위험평가제의 구조의 문제성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비판하고 환경법제의 접근에 있어서 생태여성주의적 접근이 전제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요컨대, 본 연구는 법학적 측면에서 생태여성주의적 관점이 관통하는, 지역성이 반영된 국내환경법질서와 초국가적 세계환경법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이론적 시도이다.

      • KCI등재

        헌법상 성평등에 관한 사법부 해석론 : 미국의 연방대법원판례를 중심으로

        석인선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1 法學論集 Vol.15 No.3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roversy over the meaning of equal rights theory in gender discrimination decisions of the U.S. Supreme Court. In Korea, the matter of gender equality and gender classification-based discrimination has not been systematically discussed by the judicial branch. On the contrary, U.S. Supreme Court has started to review the gender equality concerns since 1970, striking down a number of women-discriminative laws and acts in marriage and family, army,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field. These earnest efforts of the Cour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dvancing gender equality in U.S.. The U.S. Supreme Court’s decisions about gender classification will give us a lot of lessons as they are important measure for essential access to substantial equality. Therefore,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U.S. Supreme Court’s decisions about gender classification-based discrimination so that we obtain some implications for realizing gender equality in our country.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meaning of right gender equality and gender classification-based discrimination. For this purpose, I discuss the basic framework of analyzing the U.S. Supreme Court’s decisions on gender classification-based discrimination in Part II. After briefly summarizing pre-1970 judicial doctrine, Part Ⅲ presents an analysis and critique of the two major approaches to these questions and to the underlying problem of gender discrimination that emerge from the Supreme Court’s gender discrimination decisions. One approach is articulated primarily by Justices Rehnquist and Stewart, the other by Justices Brennan and Marshall. In Part Ⅳ, I deal with the limitedness of judicial interpretation in the Supreme Court’s gender-based discrimination decisions. Finally, I would like to close by proposing that we should analyze the U.S. Supreme Court’s decisions on the gender classification-based discrimination through the view of feminism to surmount the limitation of judicial doctrine. 우리나라의 경우 각 분야에서 여성을 차별하는 법률이나 처분이 문제되어 성평등 개념과 젠더구분에 근거한 차별을 둘러싼 논의가 법원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왔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미국의 경우 1970년대 이래로 여성평등문제가 연방대법원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심리되었으며, 혼인 및 가족관계, 군복무, 경제관계, 사회보장관계, 형사관계, 교육 분야 등에서의 성차별사건에서 대부분 여성을 차별하는 법률이나 처분에 대해 연방대법원은 위헌판결을 내렸다. 이러한 문제들을 다양한 판례를 통해 분석하고 발전시켜 온 미국연방대법원의 법리논의를 고찰하는 작업은 우리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접근방법상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특히 미국은 성평등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을 사법부의 장에서 격렬하게 논의하였는바 미연방대법원 판례를 분석하는 작업은 우리 사회의 성평등 개념과 평등권 법리 정립에 유용한 자료를 줄 수 있는 전제 작업이라 생각된다. 역사적으로 여성과 남성의 관계 그리고 법과 여성의 억압에 대한 이론적 구조는 ‘같음’과 ‘다름’의 이분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 법 앞의 형식적 평등은 남성과 여성을 비슷하게 하고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축소하는 작업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중립적인 평등만으로는 남성과 여성간의 실질적 평등을 가져올 수 없었다. 지금까지의 가부장적 법체계에서는 법이 차별적 구조와 관계를 인정하는 사회적 가치를 허용할 수도 있고 정치적 권력, 경제·사회적 자원으로의 여성의 접근을 통제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었으므로, 여성의 관점으로 모든 법 영역에서 그간 간과되어 온 편파성을 발견해내어 이를 성차별로 규명하는 작업이 여성주의적 법학의 관점에서 형성되었다. 이러한 관점은 성차별에 대한 사법부 해석론의 전개논의의 추이를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우선 이러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성차별 문제들을 다양한 판례를 통해 분석하고 발전시켜 온 미국연방대법원의 법리논의를 고찰하는 작업이 우리 사회의 성평등 개념과 평등권 법리 정립에 유용한 자료를 줄 수 있다는 논의를 전제로 하여, 제2장에서 미연방대법원 성평등관련 판례 분석 틀을 구상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성차별판결의 근저에 있었던 분리영역이론과 성 정형화가 성차별 사건에서 어떤 논리로 구성되어 왔는지 그 연혁적 내용을 살펴보고, 미연방대법원 구성원인 대법관구성의 변화에 따라 어떤 해석론이 전개되어 왔는지를 개관하며, 특히 대표되는 두 가지 접근법 즉, 브레넌판사와 마샬판사가 주축이 된 브레넌-마샬 접근법과 렌퀴스트판사와 스튜어트판사가 주축이 된 렌퀴스트-스튜어트 접근법을 중심으로 사법부해석론의 내용을 분석할 것을 제시한다. 성차별사건에 대한 미연방대법원의 판결 논리가 1970년을 기점으로 해서 달라지기 때문에 이어 제3장에서는 미연방대법원 성평등관련 판례에서의 사법부해석론을 분석함에 있어서 1970년 이전 판례해석 논의와 1971년 이후 판례해석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특히 1971년 이후 판례해석에서의 대표적인 두 가지 접근법의 논의와 이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제4장에서는 성차별 사건을 판단함에 있어서 인종차별과는 구별되어야 하는 성차별이 가지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성차별판례 분석을 통해 고찰한 사법부 해석론이 가지는 한계성을 지적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사법부해석론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성차별 사건을 결정함에 있어서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해야 할 필요성과 당위성을 제시한다.

      • 헌법상 환경권규정의 의미와 효과에 관한 소고

        석인선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03 法學論集 Vol.7 No.2

        The major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of environmental right and to intensify its meaning and effectiveness and to review the effects of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right upon the current legal system. In sh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the legal and constitutional meaning of environmental right as being already approved a fundamental right. Chapter Ⅰ points out that although the idea of environmental right is not the product of systematical consideration by the legal scholar, it becomes to be one of the best concept to solve the massive and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from the legal viewpoint. To overcome the limit of a private legal approach to solv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ases, there is the only way to verify the inevitability of accepting the fundamental right to environment in the constitution. The current Korean Constitution has incorporated environmental right in article 35, which reads "all citizens shall be entitled to live in a healthy and decent environment. The state and all citizens shall have the duty to protect the environment". Chapter Ⅱ compares and considers how the legal doctrine of environmental right as based on the constitution of each nation is formed, and is operated through the provisions and cases concerning environmental pollution. Chapter Ⅲ examines the concept of environment in relation to incorporation of environmental right into the constitution. In addition, it explores the category of the environment as an object of environmental right and the subject enjoying environmental right in the constitution. Chapter Ⅳ analyzes the legal character of environmental right. Efforts to establish environmental right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must face a strong resistance and criticism based on the conventional legal principles. There are such other factors as a lack of environmental legislations and a lack of environmental perception of the people. I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ocial right character of the environmental right. Chapter Ⅴ suggests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right in the current legal system. Legal approval of environmental right into the current legal system vests gross effects upon the areas of public and private laws in connection with the government’s attitude toward environmental control legislations and policies. Finally, it is emphasized that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right clears the character of individual right to enjoy a decent environment, which requires remarkable changes in operating administrative proceedings system and advancing positively for judicial remedy in the area of environment.

      • KCI등재

        국회 법률안 심의 과정에서의 민주성 확보에 관한 소고 : 위원회제도를 중심으로

        석인선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法學論集 Vol.12 No.2

        의회주의란 국민에 의해 민주적으로 선거된 합의기관인 의회에 의해 다수결원리로써 국가의사를 결정하는 정치방식을 말한다. 오늘날의 대중적 민주정치는 필연적으로 의회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국민대표기관인 국회의 입법 기능이 대의민주주의가 추구하는 이상을 충실히 구현하도록 수행되기 위해서는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는 법률이 적시에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는 법률이 제정되기 위해서는 우선 그러한 입법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국민들 사이에 자유롭게 형성되고표현되며 교환될 수 있어야 한다. 법률안이 발의된 후에는 국회 내에서 의원들 간에입법안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이 자유롭게 표출되고 교환된 후 입법안에 대한 의원들상호간의 타협과 설득의 과정을 거쳐 최대 다수의 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법안이 모색된 후 최종적으로 입법안이 다수결의 형식으로 국회 본회의에서 채택되어야 한다. 이러한 입법과정을 통하여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는 내용의 법률이 제정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입법과정의 민주적 정당성 확보이다. 이러한 민주적 정당성은 우선 심의민주주의(deliberative democracy)라는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한편으로는 입법과정에서 다수의 횡포와 소수의 횡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 제도가 구축되어야 한다. 입법과정에서 민주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 단계별로 다음과 같은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첫째, 법률안의 입안단계에서 민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민의사를 수렴하기 위한 법제기구의 보강, 입법과정에 국민 참여의 제도적 보장, 입법과정의 공개가 필요하다. 둘째, 법률안심의과정에서 민주성의 확보가 요구된다. 국회는 회의체이므로 회의형식으로 법률안을 심의하며, 이 과정에서 공개성이 필수적이다. 셋째, 법률안 공포단계에서는 법률안의 내용이 일반국민에게 주지될 수 있는 방안의 강구가 요망된다. 특히 입법과정의 핵심과정인 법률안의 심의와 의결은 상임위원회중심주의와 본회의결정주의에 따라 행해진다. 오늘날 정당국가경향에 의하여 의회는 공개토론의 장소라는 본질적 요소로서 제시되는 의사의 공개성, 토론 장소로서의 본회의 중심과는 달리 위원회 또는 소위원회에서 의사가 결정되고 있다. 따라서 입법과정에서의 민주성 실현에 있어서는 법률안심의와 의결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위원회제도의 민주성 확보가 매우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국회 입법 기능의 민주성과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한 전제 논의로서 위원회제도를 중심으로 국회 법률안 심의과정에서의 민주성 확보를 위한 논의를 모색하고 있다. 제1장은 입법과정의 민주성 확보 문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어제2장에서는 법률안심의와 의결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위원회제도의 민주성의 확보논의를 위한 전제로서 위원회제도의 의의, 위원회제도의 목적과 기능, 위원회의 종류와 직무에 관해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법률안의 위원회 회부제도의 개요와 그 개선방안에 관해 논의한다. 제4장에서는 위원회 법률안심사에서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에 관해 고찰한다. 제5장에서는 4장까지의 논의를 통해 종국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상임위원회 중심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 국회의 현실에서 위원회중심주의의 한계를 인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위원회중심주의는 법률안의 주요 내용이 소관위원회 소속의 소수의 의원들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익집단의 로비에 약한 등 민주성면에서 취약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위원회심의 과정에서 소위원회 심사의 운영은 전문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역할을 하나 민주성면에서 취약할 수 있으므로 민주적 운영과 공개를 통해 민주성을 확보해야 한다. 단일소관위원회제도는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이 입법과정에 투영될 가능성이 제한됨으로써 심의민주주의의 요청에 반할 수 있다는 점과 소수 이익집단의 횡포가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관련위원회제도와 연석회의 제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으며, 법률안을 단일 위원회가 아닌 관련된 복수의 위원회에 회부하는 제도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전원위원회제도를 활성화하고 본회의의 심의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위원회 법률안 회부단계에서 위원회 회의의 공개와 더 나아가 소위원회 회의의 공개의 원칙과 의사기록의 원칙이 확립되어야 한다. 또한 위원회 단위의 입법과정상의 투명성확보를 위한 방안은 위원 개인의 이해관계의 갈등적 현실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므로 대립되는 가치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에 대해 보다 경험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Contemporary popular democracy has adopted parliamentarism, which means that the parliament composed by the democratic election decides the national opinions under the majority rule. The parliament should make laws satisfying most people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of the popular democracy. In the first place, the opinions of various classes have to be reflect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common interests in legislation should be collected and delivered to the members of the parliament. Then, assemblymen should have time in discussing and persuading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people's need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nsure democracy in the legislative process. The parliament is characterized by the emphasis on the committee system. Therefore, the democracy in the committee system should be secured in order to ensure democracy in the legislative process. In the referral stage, bills are referred only to Primary Committee under the existing law. However, this system has some problems in that the decision is made by small number of assemblymen and is easily affected by the interest groups' lobbying. For improving these problems and ensuring democracy, the committee system should be operated in a democratic way such as the related committee system, multiple referral and joint meeting. In the deliberation stage, the committee has to open the proceedings as well as those of subcommittees and establishes the rule of recording. In conclusion, more empirical and practical plans should be made to balance the competing interests between the interested parties for clarifying the legislative process and securing democracy in the committees. For this purpose, in Part I, I explain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the ensuring democracy in the legislative process. I make a general survey on the Parliamentary Committee system in Part II. Part III deals with the referral system of the Parliament, mainly the limits of the sole committee system and the alternatives to the existing problems. In Part IV, I review the plans to guarantee the fairness and clearness in the deliberation of the bills.

      • KCI등재후보

        신채호의 역사관과 민족운동

        석인선 한국민족사상학회 2017 민족사상 Vol.11 No.2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Danjae Shin Chae-ho's view of hist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national movement. His historical perception involves the source of patriotism and a significant means to restore the national sovereignty. He proposed a new history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national identity to overcome traditional Confucian views of history and colonialist historiography. This new perception of history is correlated with his shift in the national movement and thus systematized. This period saw his presentation of Doksasillon through the new history for cultivating patriotism among people. That is, he provided the nation with the history text as a means to restore the national sovereignty in the period of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And then, as a shift of direction in the national movement, he presented a view of history as struggles between 'true self' and 'false self' in Joseon Sanggosa (Ancient history of Korea)(1924). The national movement and historiography reveal highly correlative aspects. Shin Chae-ho's national movement reflects the circumstances of the age in which Korea was situated through Doksasillon for the cultivation of patriotism and Joseon Sanggosa for the struggles of the 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단재 신채호의 역사관과 민족운동의 성격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에 있어 역사인식은 애국심의 원천이며, 민족의 국권회복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그가 제시한 역사는 전통적 유교사관과 식민지사관을 극복한 민족의 주체성 회복을 위한 새로운 역사라 할 수 있다. 새로운 역사인식은 그의 민족운동의 변천과 연계되어 체계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기는 먼저, 민족 애국심 배양을 위한 신역사를 독사신론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애국계몽기 민족의 국권회복을 위한 수단으로 역사서를 민족에게 제공한 것이다. 다음으로 민족운동의 방향성 전환으로 역사를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의 역사로 투쟁적 사관을 ‘조선상고사(1924)’에서 제시하고 있다. 민족운동과 역사기술은 상호 연계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신채호의 민족운동은 애국심 배양을 위한 독사신론과 투쟁적 민족을 위한 조선상고자를 통해 민족이 처한 시대적 환경을 반영하여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