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동차 시트백 테이블의 평형유지 메커니즘 설계

        창일(Chang-il Baek),전의식(Euy-sik 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자동차가 보편화되고 소비자의 요구가 점점 다양화 되면서 편의를 중시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로인해 자동차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제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시트백 부분에 부착되어 필요시 노트북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한 시트백 테이블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트백 테이블은 시트 등받이 회전 각도에 따라 테이블에 경사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승객의 공간을 침해하는 범위를 최소화하면서 테이블 등받이 회전 각도에 따라 시트백 테이블의 평형유지가 가능한 메커니즘을 링크구조를 통해 제안하였으며, 시제품 제작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후보
      • 폐기능 검사에 의한 소아 천식의 진행 및 기도 염증의 평가

        혜성 ( Hey Sung Baek ),정지영 ( Ji Young Cheong ),오재원 ( Jae Won Oh ),이하 ( Ha Baik Lee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3

        목적: 천식은 소아 청소년기에 흔한 만성 기도질환으로서 전 세계적인 보건사회 문제의 초래와 경제사회적인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현재 천식치료가 기도염증과 기관지 과민성(airway hyper-responsiveness)의 효과적인 완화와 증상 예방에 주안점을 두고 있기는 하지만, 일부 환자들은 어려서부터 폐기능의 점진적 감소가 있고 성인기까지 증상이 지속된다. 따라서 치료와 예방을 위하여 이러한 소아기 천식의 진행과 지속에 관여하는 위험인자들의 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영아기부터 청소년기에 걸쳐 천식의 진행과 지속에 관여하는 위험인자를 찾아내어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천식의 진행과 지속에 관여하는 위험 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증-중등증 천식을 앓는 환아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곧, 3세 미만 발병 28예를 조기 발병 군으로, 3세 이후 발병 39예를 후기 발병 군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아토피 병력과 가족력, 모유수유 기간, 부모 중 흡연 경력, 흡입용 코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사용 경력과 폐기능 검사, 체질량 지수, 피부단자시험, 혈청 총 IgE 및 알레르겐 특이 IgE치, 말초혈액 호산구 수와 혈청 ECP 측정 등 검사실 검사 그리고 모든 환자에서 메타콜린 흡입 흡입과 자유 운동에 의한 기관지유발 시험을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천식 발생의 위험인자로서 아토피피부염과 잦은 천명의 빈도가 후기 발병 군 보다 조기발병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그러나 기관지유발시험에 따른 기관지 과민성의 빈도와 PC20 및 운동유발시험 후 FEV1 감소치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P>0.05) 흡입용 코티코스테로이드 사용의 빈도는 후기 발병 군보다 조기 발병 군에서 유의하게 더 흔하였다.(P<0.0001) 한편, 천식의 지속 기간과 FEV1/FVC 사이에 역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376, P=0.004) 결론: 아토피피부염과 재발성 천명은 천식의 발생과 지속에 중요한 위험인자로서 평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asthma is remarkable worldwide. To date, there have been many unanswered questions about factors related to asthma progression and persistence. This study focused on possible risk factors for persistent asthma that had developed between infancy and late childhood. Methods: Sixty-seven children with persistent mild-to-moderate asthm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y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GINA) guideline 2006: early-onset (<3 years, n=28) and late-onset (>3 years, n=39) asthmatics. All patients were interviewed on the personal and familial history of atopy, breast feeding, parental smoking and the recent use of inhaled corticosteroids. We performed spirometry, and skin prick tests and measured body mass index, serum allergen-specific IgE, serum eosinophil counts and serum ECP in asthmatics. All asthmatics underwent the bronchial challenge by methacholine inhalation and outdoor free running. Results: Risk factors such as eczema and frequent wheezing were more common in early-onset asthmatics than in late-onset asthmatics (P<0.05).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the overall incidence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determined by the PC20 and postexercise decrease of FEV1 (P>0.05). Inhaled corticosteroids were more frequently used in early-onset asthmatics than in late-onset asthmatics (P<0.0001).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FEV1/FVC and the duration of asthma was also detected in persistent asthmatics (n=57, r=-0.398, P=0.002).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topic dermatitis and frequent wheezing may be important risk factors for the persistence of asthma and lung function decline from early to late childhood.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9;19:241-249]

      • 집중호우에 의한 임도 피해현황 및 복구공법

        승안 ( Seung An Baek ),이준 ( Jun Lee ),지병윤 ( Byeon Yun Ji ),여운식 ( Un Sik Yeo ),이준우 ( Joon Woo Lee ),차두송 ( Du Song Cha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2013년 7월에 발생한 집중호우의 피해지역인 강원도 홍천군을 대상으로 임도 피해 현황과 복구공법 분석하였다. 임도피해지는 총 192ha(187개소)로, 절토사면 90ha(88개소), 성토사면 102ha(99개소)로 구분되었으며, 임도피해면적은 평균 2,547m2 (11∼18,028m2)이다. 중요 피해요인으로서 절·성토 사면경사는 평균 27°이상, 도로 위치는 산복부, 방위는 남사면, 토성은 사양질토, 모암은 퇴적암 지역에서 임도피해가 대부분 발생하였다. 또한 임도피해 주요 복구공법으로는 절토사면에서 산돌쌓기, 7급줄떼 및 돌망태심줄박기, 성토사면에서 7급줄떼, 돌망태심줄박기 및 개비온 등이 적용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forest road damages and recovery measures occurred in Hongcheon, Gangwon Province by 2013 heavy rainfall event. Total damage area associated with forest road were 192ha(187sites), of which were cut slope 90ha(88sites), fill slope 102ha(99sites). Average area of forest road damage was 2,547m2(11 ∼ 18,028m2). Most forest road damages were occurred at average slope gradient over 27°, mid-slopes, south-facing slopes, moderately coarse texture, sedimentary rock. Stone masonry, grade 7 strip sods and stabilizing crib work with gabion were most commonly used recovery measures for cut slope and grade 7 strip sods, stabilizing crib work with gabion and gabion were common recovery measures for fill slope of forest road damage area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의 번식생태와 서로 다른 두 서식지에서의 번식성공률 차이

        충렬(Chung-Ryul Baek),이진희(Jin-Hee Yi),염광석(Kwang-Suk Yeom),노선호(Sun-Ho No),이상덕(Sang-Duk Lee),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2009년 3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공주대학교 교내·지역과 계룡산국립공원에서 번식하는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오목눈이의 둥지는 이끼류와 거미줄을 이용하여 길쭉한 타원형의 호리병 모양으로 만들며, 둥지의 크기는 장경이 223.49±16.52mm, 단경이 96.45±11.98mm, 깊이가 109.46±9.54mm였다. 오목눈이의 한배산란수는 8.63±1.21개이며, 부화율은 95.73%, 이소율은 75.79% 그리고 번식성공률은 72.56%로 나타났다(Mann-whitney Utest P<0.05). 알의 크기는 장경이 14.50±0.93mm, 단경이 11.20±0.37mm, 무게가 1.23±0.18g 이였으며, 알의 형태지수는 78.45±1.25%로 타원형에 가까웠다. 포란기간은 16.89±1.29일이며, 육추기간은 16.24±1.25일 이였다. 오목눈이 유조의 성장은 완만한 S자형 곡선을 이루었다. 부리와 부척에 관한 성장에서 비교적 고른 성장을 보였고, 깃털의 영향을 받는 전장, 꼬리, 날개는 초기 이후 급속한 성장을 보였다. 공주대학교 교내·지역과 계룡산국립공원에서의 번식성공률은 각각 80.80%와 60.00%(Mann-whitney U test P<0.05)로 나타났으며, 오목눈이의 번식성공률은 서식지의 조건(먹이자원 등)보다 천적의 밀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We surveyed about breeding ecology of Long-tailed Tit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Gye-ryong Mountain from March 2009 to October 2010. Long-tailed Tit Aegithalos caudatus spent about 59-66 days on nesting, laying, incubating and fledging. Its nest was made of the moss type and the spider web and its shape was like a longish elliptical calabash. It had 223.49±16.52mm in outside diameter of nest, 96.45±11.98mm in inner diameter and 109.46±9.54mm of thickness. The number of the clutch size was 8.25±1.14 and hatching success was 95.73%, fledging success was 75.79%, breeding success was 72.56% (Mann-whitney U test P<0.05). The eggs were 14.50 ±0.93mm of length, 11.20±0.37mm of width, 0.90±0.44g of mass and 78.45±1.25% of shape index. The mean incubation period was 16±1.23days and parental care period was 15.75±1.14 days. The growth of the chicks was gentle S curve drew. The growth of the bill and tarsus was relatively shown gentle growth, and the total length, the length of tails and wings which are influenced by feathers were grown rapidly. I guess that its breeding success rate was more affected by the habitat density of the natural enemy than the condition of the habitat density (food resource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