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채식의 정동 정치 -디엑스이서울의 ‘방해 시위’를 통한 새로운 동물권 운동 전략의 모색-

        백종륜(Jong-Ryun Baek) 한국문화연구학회 2020 문화연구 Vol.8 No.1

        이 글은 동물 해방 운동 단체인 디엑스이서울의 ‘방해 시위’가 정동적 아카이브로서의 인터넷 공간에서 불러일으킨 정동적 반향을 분석함으로써 동물권 운동의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해 시위를 비롯한 동물권 운동은 인간종과 비인간종을 구분하는 뿌리 깊은 인간중심주의 규범에 도전하면서 개인 및 사회의 쾌/불쾌 경계를 건드리는바, ‘불편한’ 대상으로 미학화되고 있다. 나는 들뢰즈의 행동학과 정동론을 경유해 이러한 미학화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면서, 지금-여기의 가장 문제적인 정동이라 할 만한 ‘불편함’에 잠재된 새로운 정치성을 현실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고민해 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나는 비인간 동물이 처한 현실을 둘러싼 정확한 인지적 정보의 전달이 동물 착취 현실을 종식시킬 수 있다는 입장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채식주의자로의 삶의 전환에 있어 이성보다 감정이 더욱 중요한 요소임을 주장할 것이다. 나아가 비인간 동물의 고통에 대한 감정이입을 요구하는 현재의 동물권 운동 전략이 가지는 한계들을 짚어 보면서, 신체 변용 능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윤리-정치적 기획으로서의 ‘좋은’ 관계 맺기에 초점을 맞춘 정동 교육 혹은 미학 교육의 우선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a new strategy for animal rights movements by analyzing an affective resonance of digital space as an affective archive, aroused by disruptive protests held by an animal liberation activist group, Direct Action Everywhere (DxE) Seoul. Challenging the deep-rooted anthropocentric norms that distinguish between human and non-human species, the animal rights movements, including the disruptive protest, disturb the individual or social boundaries between pleasure and displeasure, therefore being aestheticized as “uncomfortable” objects. By critically intervening in the aestheticization through Gilles Deleuze’s ethology and affect theory, I attempt to consider how to actualize a new politics latent in the “uncomfortableness,” which is one of the most problematic affects of here and now. In this process, I object to the arguments that an accurate delivery of cognitive information surrounding the non-human animals’ realities can bring the animal exploitation to an end, and instead argue that, in a transition to a vegetarian lifestyle, emotion should be considered a more crucial factor than reason. Furthermore, examining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rategy that demands empathy for non-human animals’ pain, I suggest placing priority to affective or aesthetic education, which focuses on building a “good” relationship as an ethical-political project to increase the body’s capacity for affection.

      • KCI등재

        트랜스젠더의 죽음과 반역: 장정일, 심산, 이순원의 소설을 중심으로

        백종륜(Baek, Jong-Ryun)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5

        이 글은 1990년을 전후해 발표된 장정일, 심산, 이순원의 장편소설을 통해 트랜스젠더에 대한 한국 문학의 상상력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탈)인간화의 근거이자 결과로서 애도가능성의 불평등한 분배는 인간 범주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인간 범주의 구성이란 재의미화의 가능성에 열려있으며, 권리가 박탈된 애도의 실천은 바로 이 범주를 재표명하기 위한 정치적 투쟁에 해당한다. 퀴어를 때 이른 죽음으로 몰고 가는 한국 사회의 시스규범성과 그 효과를 성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나는 트랜스젠더의 죽음에 대한 작가의 이성애규범적 재현 의도를 거슬러 읽는 퀴어한 오독을 제시한다. 이 의도적 오독은 트랜스젠더/퀴어를 끈질기게 탈인간화하려는 힘들의 실체를 계속해서 되물으면서, 한국 사회의 지배적 인간 범주를 뒤흔드는 반역의 수행이라고 할 수 있다. 트랜스여성의 정체성과 주체성을 여성혐오적이고 동성애혐오적인 코드에 기초해 소위 ‘동성 강간’과 같은 ‘비정상적인’ 성적 경험의 산물로 규정하거나, 유독한 남성성과의 탈동일시를 위한 ‘선택’으로 파악하거나, ‘남자의 몸에 갇힌 여성’이라는 식의 본질주의적 수사를 동원해 설명하는 마스터플롯들을 살펴보면서, 이 글은 새로운 대항서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대항서사를 ‘발견’하고 ‘발명’하는 한 방식으로서 퀴어한 오독과 그에 기반을 두는 한국 퀴어 문학사 서술은 퀴어를 ‘병적인 것’의 은유로 활용하는 특정한 경향에 맞서, 퀴어의 삶을 살 만한 것으로 재정의하는 변혁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imagination of Korean literature on transgender people through novels by Jang Jeong-il, Shim San, and Lee Soon-won published around 1990. As the basis and result of (de)humanization, the unequal distribution of grievability i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the category of the human. The construction of the category of the human, however, is open to the possibilities of resignification, and the practices of disenfranchised grief are the political struggles to rearticulate this very category. As a way to reflect on the cisnormativity and its effects in Korean society that produce premature death of queer people, I suggest a queer misreading that reads against the author’s heteronormative intention to represent the death of transgender people. This intentional misreading would be an act of rebellion that makes unstable the dominant category of the human in Korean society by continuously questioning which forces persistently dehumanize transgender/queer people. On the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transwomen, there are masterplots that define them as a product of “abnormal” sexual experiences such as so-called “same-sex rape” based on misogynistic and homophobic codes; understand them as a voluntary “choice” for disidentification with toxic masculinity; or explain them with the essentialist rhetoric of “being trapped in a wrong body.” In the course of examining them, this article emphasizes the need for new counter-narratives. Both the queer misreading as a way of “discovering” and “inventing” them and the describing Korean queer literary history based on it will be the transformational foundations for redefining queer lives liveable against the certain tendencies of using the queer as a metaphor for “the pathological.”

      • KCI등재

        1990년대 이남희 소설의 희망론: 생태주의와 퀴어/페미니즘의 교차점을 모색하기

        백종륜(Baek, Jong-Ryun)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2

        이 글은 1990년대 이남희 소설에 나타난 ‘희망’에 대한 사유를 지지대 삼아 생태주의와 퀴어/페미니즘의 교차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90년대 이후 발표된 많은 생태주의 담론은 되돌릴 수 없을 만큼 악화된 지구 환경을 떠안게 될 ‘다음 세대’의 ‘아이들’을, 행성적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상징으로 활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아이’라는 상징을 경유함으로써만 유지되는 이러한 생태주의 담론은 퀴어와 여성의 삶을 옥죄는 재생산적 미래주의로 귀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따라서 이 글은 더 나은 미래를 약속하는 희망의 상징인 ‘아이’를 소환하지 않으면서도, 모든 인간과 비인간 생명을 위협하는 환경 재난을 극복하는 데 기여할 대안적인 희망론을 구상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1990년대 이남희 소설 속 희망론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이 글은 군사주의, 국가주의, 자본주의, 이성애가족주의 등이 꽉 맞물려 형성하는 거대한 억압 체제가 인간신체와 자연환경을 공히 소진시킨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 억압 체제의 바깥을 상상하는 이남희의 희망론은 반-희망적 희망이라는 역설적인 개념을 대안으로 제시하며, 소설에서 이 반-희망적 희망을 활성화하는 것은 바로 이성애가족주의를 심문하고 그로부터 거대한 억압 체제 자체에 저항하는 퀴어 친족이라는 형상이다. 그러나 이남희가 제시하는 퀴어 친족은 여전히 인간중심주의에 사로잡혀 있는바, 나는 인간과 비인간을 하나의 친족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다시 말해 이남희 식 퀴어 친족을 퀴어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바로 이 “퀴어 친족을 퀴어링하기”라는 명제에서 생태주의와 퀴어/페미니즘의 교차점이 발견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locate the intersection between ecology and queer/feminism by drawing on the thoughts on “hope” of Lee Nam-hee’s novels in the 1990s. Many ecological discourses since the 1990s tend to use the “children” of “the next generation,” who will take on an irreversibl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of the Earth, as a symbol for resolving the planetary crisis. However, these ecological discourses, maintained only through the symbol of the Child, are problematic in that they can result in reproductive futurism that stifles the lives of queers and women. Therefore, without citing the Child, the emblem of hope that promises a better future, this article focuses on devising an alternative vision of hope that will contribute to overcoming environmental disasters that threaten all human and non-human lives. In the course of tracing the changes in the thoughts on hope of Lee Nam-hee’s novels in the 1990s,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a great system of oppression, formed by the interlock among militarism, nationalism, capitalism, and heterosexual familialism, exhausts both the human bod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Lee Nam-hee’s thoughts on hope that imagine the outside of this system of oppression present the paradoxical concept of unhopeful hope as an alternative, and in the novel, what invigorates this concept is the form of a queer kinship that interrogates heterosexual familialism, thereby resisting the great oppressive system itself. Lee Nam-hee’s notion of queer kinship, however, still appears to be preoccupied with anthropocentrism, and I insist that human and non-human beings should be brought together into one kinship, in other words, Lee Nam-hee’s queer kinship should be queered. The intersection between ecology and queer/feminism then can be located in this very thesis “queering the queer kinship.”

      • KCI등재

        한국 근대 퀴어 서사의 계보학

        백종륜 ( Baek Jong-ry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69 No.-

        본고는 기존의 한국문학사가 충분히 다루지 않았던 한국문학 속 퀴어한 존재의 감정과 욕망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한국문학(장)이 이성애중심적으로 재편되는 원초적 순간을 포착함으로써, 한국문학(장)의 이성애규범성이 결코 자연적인(natural)것이 아님을 증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1910∼1920년대 초를 ‘퀴어 서사 시대’로 재규정한다. 이 시기의 남성 청년들은 조선을 문명한 사회로 이끌 시대의 전위이자, 역사를 부단히 앞으로 밀고 나가기 위한 희망의 기호로 호명되었다. 이때 ‘퀴어 서사 시대’의 남성 청년들은 포옹이나 키스 등의 신체 접촉을 통해 서로를 향한 ‘동정=사랑’을 확인했고, 이를 기반으로 감정-공동체를 구축했다. 그런데 이 감정-공동체는 남성 간의 ‘사랑’을 요청하면서도, 동시에 퀴어한 감정으로서의 낭만적 사랑을 표현하는 것은 금지했다. 동성 간의 친밀성을 그린 ‘퀴어 서사 시대’의 작품들은 이러한 감정-공동체의 모순적인 명령을 적절히 수행하기도 했고, 또한 그 명령의 균열 양상을 현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1920년대 중반 이후 동성애 담론이 수용·정착되면서, 동성 간 친밀성에 대한 문학적 재현의 위상은 ‘문명’에서 ‘야만’으로 역전되었다. 그 결과 작가들은 동성애를 재현했다는 ‘오해’를 피하기 위해, 나아가 작가 자신이 동성애자로 ‘오인’되지 않기 위해, 동성 간 친밀성에 대한 묘사를 의식적으로 배제했다. 이는 지식의 전달자이자 사유의 전파자라는 지위를 점유·유지하려던 지식인-문인들의 갈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이처럼 동성애 담론이 수용·정착된 1920년대 중반부터 1940년대까지의 퀴어 서사는 ① 회고담, ② 데카당스의 징표, ③ 이성애 서사로의 은폐 등의 방식으로 억압·굴절·은폐되어 나타났다. 한편 동성애 담론의 수입 이후, 남성 간의 욕망을 재현한 서사가 점차 감소했던 반면, 여성간의 욕망을 재현한 서사는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때 본고는 ‘퀴어 서사 시대’부터 존재해 온 ‘여성의 이익을 증진하는 여성들’의 감정-공동체 속에서 ‘여성을 사랑하는 여성들’의 이야기가 다수 등장할 수 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tore the emotion and desire of queer existence within modern Korean literature which has not been fully treated by Korean literary history. By capturing the original moment when the Korean literary field was reorganized heterocentri-cally, this thesis focuses on proving that the heteronormativity of the Korean literary field is not natural. This thesis seeks to redefine the period from the 1910s to the early 1920s as “The Era of Queer Narrative.” The male youth of this period was represented as a pioneering spirit of the times, leading Joseon into a civilized society, as an emblem of hope pushing history constantly forward. Male youths from “The Era of Queer Narrative” confirmed their “sympathy=love” towards each other with physical contact such as hugging and kissing, on the basis of which they constructed an Emotional-Community. However, while the Emotional-Community required a male-oriented same-sex “love”, it also forbade male youth from expressing their romantic love, namely queer emotion, to another male. Literary works from “The Era of Queer Narrative”, which demonstrate a same-sex intimacy, performed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letter, while also revealing the cracks in its facade. However, the status of literary representation of same-sex intimacy was reversed from “civilization” to “barbarism” after the mid-1920s, when discourses on homosexuality were introduced and accepted. As a result, to avoid any “misunderstanding” that they represented homosexuality, and to avoid being “misconceived” as homosexuals themselves, writers con- sciously endeavored to exclude depictions of same-sex intimacy. This was closely related to a longing of the intelligentsia-literati to occupy and retain their status as transmitter of knowledge and disseminator of thought. From the mid-1920s to the 1940s, after the discourse against homosexuality was introduced and established, the queer narrative was repressed, refracted and concealed in three different ways : ① reminiscence, ② a token of decadence, and ③ concealment within a heterosexual narrative. Meanwhile, after the importation of the discourse against homosexuality, the number of narratives representing the desire between men decreased, while the number of narratives representing the desire between women increased. This thesis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fact that many stories about “women loving women” emerged from an Emotional-Community of “women promoting the interests of women”, which had existed since “The Era of Queer Narrative.”

      • KCI등재

        데리다의 채식주의 비판과 에코페미니즘의 맥락적 채식주의 윤리

        백종륜(Jong-Ryun Baek) 한국비평이론학회 2024 비평과이론 Vol.29 No.2

        이 글은 데리다의 동물 철학에서 채식주의 비판이 가지는 의미를 해석하고, 이를 에코페미니즘의 맥락적 채식주의/비거니즘 윤리와 함께 사유함으로써, 비판적 대화를 통해 끊임없이 갱신되는 새로운 채식주의 윤리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내외 인문사회과학의 포스트휴먼적 전회 혹은 동물적 전회의 흐름 속에서 후기 데리다의 동물 철학은 기존 서양 철학의 인간중심주의를 강력히 비판하고 인간과 동물 사이의 경계와 관계를 날카롭게 문제화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현대 도시 사회에서 인간과 동물의 가장 일상적인 관계 맺음의 양상이 육식임에도 이에 저항하는 채식 실천에 대한 데리다의 ‘모호한’ 입장은 국내에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글은 채식 실천에 대한 데리다의 입장과 이를 둘러싼 비판적 대화를 새롭게 소개함으로써, 국내의 학문적 논의를 지배하고 있는 규칙-기반적 윤리와 보편주의적 윤리로부터 벗어나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에코페미니즘 윤리와의 접속을 통해, 인간과 비인간 동물의 삶을 공히 소진시키는 전 지구적 자본주의 체제에 제동을 거는 실천으로서 채식주의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채식은 당위가 아니라는 익숙하고 타당한 주장을 반복하는 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적어도 지금-여기의 특정한 맥락에서는 가능한 한 채식을 실천하는 것이 ‘잘 먹는’ 일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interpret the implications of the critique of vegetarianism in Derrida’s animal philosophy and to consider it alongside the contextual vegetarian/vegan ethics of ecofeminism in order to propose a new vegetarian ethics that is constantly renewed through critical dialogues. In the current trend of the posthuman or animal tur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t home and abroad, Derrida’s late philosophy of the animal has attracted attention in that it strongly criticizes the anthropocentrism of existing Western philosophy and sharply problematizes the limit and relations between the human and the animal. However, Derrida’s “ambiguous” stance on vegetarianism, a practice that resists meat eating as the most common form of human-animal relationship in modern urban society, is little known in Korea. By introducing Derrida’s position on vegetarianism and the critical dialogues surrounding it, this article argues for a move away from the rule-based and universalist ethics that dominate academic discussions on the topic in Korea. It also seeks to provide a richer theoretical foundation for vegetarianism as a practice that puts the brakes on the global capitalist system that exhausts the lives of humans and nonhuman animals alike, through a connection to ecofeminist ethics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text. In doing so, this study would go a step further than repeating the familiar and valid argument that vegetarianism is not an obligation, and argue that, at least in the specific context of the here and now, practicing vegetarianism as much as possible is “eating well.”

      • KCI등재

        상완 삼두근-보존 후방 도달법에 의한 원위 상완골 관절 내 골절의 치료

        이석하 ( Suk Ha Lee ),이성태 ( Sung Tae Lee ),박진영 ( Jin Young Park ),금정섭 ( Jung Sup Keum ),백종륜 ( Jong Ryun Baek ),오광준 ( Kwang Jun Oh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1

        목적: 원위 상완골 관절내 골절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삼두근 보존 후방 도달법을 시행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상완 삼두근 보존 후방 도달법을 사용하여 관혈적 정복술 및 내 고정술을 시행한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총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명, 여자가 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31세 (17∼58세)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16.3개월 (12∼20개월)이었다. OTA골절 분류에 근거하여 골절형에 따라 상완 삼두근 보존 후방 도달법을 사용하였으며, 골절의 분류는 OTA type A가 2례, type C1 5예 그리고 2예가 C2였다. 수술은 주관절 후방 중앙 절개를 통해 상완 삼두근에 손상을 주지 않고 삼두근 좌측과 우측을 박리하여 상완 삼두근의 내외측 가용성을 확보하여 골절 부위에 접근하였다. 치료 결과는 최종 추시 시 골유합 여부, 골유합에 걸린 시간과 합병증 유무와 함께 Mayo elbow performance score를 사용하여 주관절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결과: 주관절 굴곡은 평균 135.5도, 굴곡 구축은 평균 5.2도를 나타내었고, Mayo elbow performance score를 사용한 임상 결과는 excellent 6예, good 3예로 만족스런 결과를 얻었다. 1예에서 전방 전위된 척골 신경에서 압박성 신경 병증의 합병증이 관찰되었다. 결론: 삼두근 보존 후방 도달법은 원위 상완골 관절 내 골절 중 OTA C2형까지 적용시킬 수 있는 상완 삼두근 손상없이 원위 상완골 외측 주와 내측 주에 대한 수술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수술 술기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therapeutic results of intra-articular fracture of distal humerus treated through triceps sparing posterior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01 to December 2003, we reviewed total 9 cases of intra-articular fracture of distal humerus, which were treated by surgical treatment and were followed more than for 12 months. According to the OTA classification, nine cases were classified as type A; two, as type C1; five, as type C2; two. Triceps sparing posterior approach was used in all nine patients. An extensile posterior incision was used over the olecranon without triceps muscle injury. Exposure of the fracture site was done by obtaining medial-lateral mobility through dissection of medial and lateral edge of triceps muscle. Therapeutic results were assessed by bone union, duration for fracture union, complication. and for functional estimation,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was checked and analysed. Results: The range of the elbow joint motion was flexion contracture 5.2 degree to further flexion 135.5 degree on average. Clinical results using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were as follows; six excellent, three good. Compressive neuropathy of ulnar nerve which has been done anterior transposition was observed in one patient. Conclusion: Triceps sparing posterior approach is useful surgical technique that provides sufficient exposure of medial and lateral condyle without injury of triceps muscle in intra-articular fracture of distal humerus to the extent of OTA type C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