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Gender on Self-Efficacy, Enjoyment, and Competence in Elementary Students’ Robotic Music Activities

        백유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0 No.46

        This study examines gender differences in music related personal traits and music composition in robotics activities of students in grade two and three. As music related personal traits, Self-Efficacy for music learning, Enjoyment, and Competence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During the intervention, each student programmed music via a robotic platform. One hundred ninety-three students in second and third grades completed the robotics music project over the course of 10 weeks for one hour each week. Assembling a robot was done in a week. Robotics coding was performed for three weeks, music programming for three weeks, music programming with a song for two weeks, and music composition for the last three week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Self-Efficacy for music learning, Enjoyment and Music composition of elementary students. However,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Competence of participants in their robotics music activities. Gender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the participants coincides with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Competence was not different by gender after the intervention, which is contrary to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studies. Self-Efficacy and Enjoyment were the influential traits affecting Music composition in elementary students’ activities with robotics.

      • KCI등재

        유아・초등・중등 학생의 성교육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백유미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6

        Th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observe research trends of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elementary school students・middle school students, provide base material for research on sex education, and present research prospects and tasks for the future. For this, 30 theses from Korean journals related to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elementary school students・middle school students from years 2000 to 2019 were extracted and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eneral trends (by research period and by academic field) of sex education and they were categorized by research topic, by research subject, and by research method.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with research period, research increased in the mid-2000s and with journal trends by research subject, and was published in 24 journals. Second, with regard to research topic aspects, most studies looked into ‘sex education perceptions and conditions’ and research dealing with ‘gender concept development’ and ‘program development and teaching method strategies’ also increased. Third, in term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re were 9 papers for children, 6 papers for elementary students, 14 papers for middle school students, 2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9 papers for teachers and parents. Fourth, with trends according to research method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of ‘questionnaires’ was used most and following were ‘literary studies’ and ‘interviews’, in that order. Reflecting thes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were presented and proposals for future studies were mad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초・중등 학생의 성교육 연구 동향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성교육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연구 전망 및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9년 사이에 유・초・중등 학생 대상 성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 30편을 추출하여 성교육의 일반적 동향(연구시기별, 학술분야별), 연구주제별, 연구 대상별, 연구 방법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시기는 2000년 중반에 접어들면서 증가하였고, 24개 학술지에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성교육 인식 및 실태’를 파악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성개념 발달’ 및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방법 전략’을 주제도 증가하였다. 셋째,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유아 대상 논문은 9개, 초등 학생 대상 논문은 6개, 중학생 대상 논문은 14개, 고등학생은 2개, 교사 및 부모와 관련된 논문은 9개였다. 넷째,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인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은 ‘문헌연구’, ‘면담’ 순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논의를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따른 유아성폭력예방교육 필요성 인식 및 실행 수준의 특성

        백유미 육아정책연구소 2013 육아정책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child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vel of implementation according to congnitive and emotional maternal efficacy of mothers of children. For this research, 150 parents living in Chung Cheong-do were selected, and by using questions that ask mother’s maternal efficacy criterion,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child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data were collected. The core results based on statistical anlysis are as follows. First, group of high level of cognitive efficacy showed higher level of implementation of child sexual violence education in physical, emotional, and situational areas than group of lower level. Second, emotion efficacy level group showed high scores in physical and emotional areas in the awareness of child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the interpretations of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유아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인지적 및 정서적 양육효능감에 따른 집단별 성폭력예방교육의 필요성 인식 및 실행 수준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청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학부모 150명을 표집 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 유아성폭력예방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 및 실행 수준을 묻는 문항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에 따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효능감 상위집단은 유아성폭력예방교육 실행 수준의 신체영역, 감정영역, 상황 영역에서 인지효능감 하위집단보다 높은 점수로 나타나 하위집단에 비하여 성폭력 예방교육 실행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정서효능감 상위집단은 유아성폭력예방 교육 필요성 인식의 신체영역, 감정영역에서 정서효능감 하위집단보다 높은 점수로 나타나 하위집단에 비하여 성폭력 예방교육 필요성 인식 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논의를 통하여 연구결과가 갖는 의의 및 예방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노인기 여성의 성생활 증진을 위한 인간중심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백유미,김재철 한국노인복지학회 2012 노인복지연구 Vol.0 No.5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improving sexuality that has an influence on the lives of elderly people and to explore its effect by adapting this program to old wom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elderly women who were randomly selected and they were assigned randomly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Sexual knowledge, attitudes, behavior, depression, self-integration, stress for elderly people was used as pre, while and post test. In the pre test, coessentiality between the groups appeared. Group Counseling the Sexuality was used in experimental group and self-growth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applied to comparative group during experiment. To identify effect of the program, qualitative evaluation with quantitative research was mainly used on this study. There were meaningful changes in satisfaction for couple relationship and understanding of components of sexuality so that positive sexual recognition was improved. It was also found that couple relationship was improved through forgiving, empathizing with their spouse, expressing oneself. In addition, self-integration was increased by the improvement in self esteem and acceptive attitude for their life. This study acquires significance in developing program aims for sexuality of elderly people based on person-centered counselling principles. 본 연구에서는 노인기 여성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성생활을 증진시키는 인간중심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여성노인들 16명을 무선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각 8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는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우울, 자아통합감,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해 집단간 동질성을 확인하고, 실험 과정에서 실험집단은 성생활 증진을 위한 인간중심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노인기 여성의 성생활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기이해, 배우자와의 이해를 통해 부부관계 만족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고 성생활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여 긍정적인 성 인식의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또한 노인기 발달과정에 대응한 용서하기, 공감하기, 자기 표현하기 등을 통해 부부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었고, 무엇보다도 자존감의 증진과 삶에 대한 수용적 태도 증진을 통해 자아통합감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는 인간중심 상담 원리에 기초하여 노인기 여성의 성생활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기 여성의 성생활 증진을 위해 보다 효과적인 집단상담 프로그램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비인지적 핵심역량과 학교만족도간의 관계 분석

        백유미,가신현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leadership, morality, human relationship, responsibility 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satisfaction. This study employed a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using a survey and collected data from 559 college student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For the data analysis, we employed statistical techniques of descriptive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From the data analysis, we found that most of exogenous latent variables we set in this study have a positive effect on each endogenous latent variables. In particular, leadership and morality variables have indirect effect on school satisfaction only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responsibility.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and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college administrators and admission officers. 이 연구의 목적은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 가운데 대학생활을 통해 잘 길러지지 않는 정의적·비인지적 측면의 역량과 학교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대학생의 비인지적 측면의 핵심역량 범주로서 리더십, 도덕성, 대인관계능력, 책임감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핵심역량 변인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그 영향 수준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대전․충청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 학생들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559명이 최종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CFA), 구조방정식모형(SEM)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비인지적 영역에 속하는 리더십, 도덕성, 대인관계능력, 책임감이 학교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비인지적 핵심역량 요인들을 통해 대학생활 만족도를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리더십, 도덕성, 대인관계능력은 학교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책임감이 매개변인으로써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학생선발 과정에서 리더십과 도덕성뿐만 아니라 책임감을 중요한 핵심 요소로서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골프참여자의 지도자신뢰와 운동몰입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백유미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olf leader trust, exercise flow and psychological happiness for golf practice users. This study surveyed 256 golfers. The data were us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ing SPSS 18.0 and AMOS 18.0.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rust of Instru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flow. Second, exercise flow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Third, trust of Instru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happiness. Fourth, exercise flow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lf participant trust of Instructor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If golf participants have higher confidence in their leaders and more commitment to exercise, the quality of life will be higher.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연습장 참여자를 대상으로 골프 지도자신뢰와 운동몰입 및 심리적 행복감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 이용객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자료는 SPSS 18.0, AMOS 18.0을 이용하여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골프 참여자들의 지도자신뢰는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 참여자들의 운동몰입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참여자의 지도자신뢰는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 참여자의 지도자신뢰와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참여자들이 운동을 함에 있어 지도자신뢰가 높고 더 나아가 운동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면 삶의 질이 더욱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골프참여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관리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백유미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 이용객을 대상으로 골프 참여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관리 및 회복탄력성에는 어떠한 관계 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18.0, AMOS 18.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 식모형(SEM)을 통해 변인간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골프 참여자들 의 자아존중감은 자기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 참여자들의 자기관리는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 참여자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자기관리는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elf-esteem and self-management and resilience of driving range-using golf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using SPSS 18.0, AMOS 18.0. Results deduced from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model verificat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steem of golf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management. Second, the self-management of golf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resilience. Third, the self-esteem of golf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resilience. Fourth, self-management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golf participants.

      • KCI등재

        대학생의 성격 5요인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 몰입 및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백유미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 5요인이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몰입 및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도 탐색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성격 5요인은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 5요인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격 5요인과 매개변인인 자기효능감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력은 모두 유의미하였다. 또한 모든 모형에서 매개변인인 자기효능감이 성격 5요인과 기업가정신 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미래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undergraduates’ Big 5 personality on entrepreneurship. Particularly, this author has verified if immersion and self-efficacy have mediating effects in it.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undergraduates’ Big 5 personality are found to exert effects on entrepreneurship. Second, there is difference found in the influence of Big 5 personality on self-efficacy. Third, Big 5 personality and a parameter, self-efficacy, have all significant influence on entrepreneurship. Also, in all the models, the parameter of self-efficacy has partly mediating effects in correlation between Big 5 personality and entrepreneur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er here suggests implication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스마트폰중독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백유미,Baek, Yumi 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7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sense of self-efficacy and stress encountering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under the stress situation depending on the smart-phone user group (addiction group, general user group). For this purpose, the study issues a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it has analyzed what is the correl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sense of self-efficacy, and stress encountering strategy. Second, it has studied if there is any difference of sense of self-efficacy and stress encountering strategy for the smart-phone user group. In order to verify such study issues, For 1,670 university students in the Chungcheong area, smart-phone addiction scale, sense of self-efficacy scale, and stress encountering method scale were administered. Looking into the study result, first, as a result of the relativity analysis, it displayed the correlation of preference of test difficulty, self-control efficacy and important negative from the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e of self-efficacy. In addition, all sub-variable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avoidance orientation from the stress encountering strategy displayed the important positive correlation, and from the smart-phone addiction, the virtual world orientation and pursuit of social-support displayed the important negative correlations, and all sub-variables (interference with ordinary living, virtual world striving direction, withdrawal, resistanc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problem solving-orientation displayed the nega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for the difference of the smart-phone addiction group and general use group following the sense of self-efficacy, the general use group is shown to have higher self-control efficacy sense than the addiction group. And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of stress encountering following the smart-phone addiction group and general use group, the addiction group is shown to be lower than the general use group in terms of social support pursuit and problem solution orientation with the avoidance orientation shown to be higher. This type of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e data when developing the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by finding out in details for th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addiction group for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취업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백유미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2

        본 연구는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가정신이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취업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성별에 따라 취업가능성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도 탐색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은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기업가 정신이 구직기술, 취업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즉, 성별에 따라 구직기술과 취업가능성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업가정신 상위 및 하위집단 각각에서 조절변인에 따른 두 집단 간 취업가능성(직업의식, 직업탐색, 구직기술)의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니 남자 대학생보다 여자 대학생의 평균이 현저히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미래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entrepreneurship that can influence entrepreneurial intention affects job-getting possibility. Particularly, this author has questingly investigated if the entrepreneurship of undergraduates who are supposed to get a job influences job-getting possibility and if sex has regulating effects on job-getting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undergraduates’ entrepreneurship influences job-getting possibility. Second, according to sex, there is difference found in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job-seeking skills and job-getting possibility. In other words, sex has significant regulating effects on job-seeking skills and job-getting possibility.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mean values of two groups, upper and lower groups of entrepreneurship, regarding their job-getting possibility(work ethic, occupational exploration, & job-seeking skills) in accordance with moderating variables, female undergraduates gained significantly higher mean values than male undergraduates. Based on the results, this author suggests implications and presents proposals for follow-up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