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일대일로(一帶一路) 정책의 국내 정치경제적 추동 요인 분석

        백우열(Paik Woo yeal)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7 동서연구 Vol.29 No.3

        중국 시진핑 정권의 가장 중요한 국내와 국제의 정치경제적-정치안보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일대일로’ 정책은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중동), 러시아를 거쳐 중국과 동-서유럽을 연결하는 ‘실크로드경제벨트(一帶)’와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중동)를 거쳐 중국과 동-서유럽을 연결하는 ‘21세기해상실크로드(一路)’를 일컫는다. 이미 이 일대일로 정책은 중국 국내적, 국제적으로 심대한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중국의 국가대전략인 ‘일대일로’ 정책 연구의 가장 기초적인 국내 정치경제적 추동 원인을 국가 전체와 각 해당 지역 및 산업의 상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추후의 국제적 요인과 국제-국내 요인들의 상호작용 연구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hina’s ’Xi Jinping leadership has initiated and enforced “One-Belt, One-Road” policy since 2013. This grand strategy aims at recreate the infrastructure and trade routes to connect China, Southeast Asia, South Asia, Russia the Middle East, and Europe via land and sea. This grand strategy of China has already made some significant impacts on economy, politics, and society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This paper analyze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to understand this strategy, its rationale and goals in the China’s contemporary political economic conditions across regions and industries, which will be the foundation for further studies on its international factors as well as some critical interactions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for the “One-Belt, One-Road” policy.

      • 최근 인도·중국 관계 변화와 전망

        백우열 ( Paik Woo-yeal ) 한국외교협회 2022 외교 Vol.140 No.0

        2020년대 인도와 중국 관계는 정치안보와 정치경제의 측면에서 모두 갈등이 증폭되어 인도의 경우 중국을 ‘적국’으로 간주할 정도에 다다랐다. 이로 인해 양자 관계, 그리고 이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남아시아 지역 내외의 소다자, 다자 관계는 현재 격렬하게 진행되고 있는 미국과 중국 간의 글로벌-지역 패권경쟁, 이에 따른 양극으로의 블록화, 끼인(stuck in-between) 국가들의 협력 등의 핵심 변수가 되었다. 이러한 변화하는 중인 관계를 남아시아 지역 수준과 글로벌 수준에서 분석하고 동북아시아를 넘어서는 선진국으로서의 한국 외교전략에 대한 함의를 모색한다. In the 2020s, the India-China relation is in flux, rapidly transforming toward more competitive struggle to the extent that India quietly regards China as an enemy. This bilateral relation, which is far more complicated than that of simple hostility, becomes one of the key variables to change many sets of bilateral, mini-lateral and multilateral relations in and out of South Asian Subcontinent, including that of the growing US-China competition. The other countries stuck between the China bloc and the US bloc such as Republic of Korea are also subject to the changing nature of this bilateral relations despite geographical distance. In this context, Republic of Korea, as an advanced democratic country, should immediately incorporate this diplomatic dynamics into its urgently needed global strategic architecture.

      • KCI등재

        한국의 대(對)중국 공공외교 전략과 실행 분석

        백우열 ( Woo Yeal Paik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5 한국과 국제정치 Vol.31 No.3

        21세기에 들어 동아시아 국가들의 공공외교를 통한 경쟁과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이처럼 동아시아 국제정치에서 증대되는 공공외교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급증하는 공공외교적 상호작용 연구의 일환으로 우선 한국의 대중국 공공외교 전략과 실행을 기초적\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한중간 공공외교 교류 합의와 발전의 핵심적 정책 모토인‘인문교류’의 분석을 기반으로, 실증연구로서 4가지 사례를 분석한다. 즉‘일반적’형태의 공공외교로, ① 한국의 대중국 공공외교의 핵심인 재중국 재외공관의 공공외교, ② 한중 간 양방향적 공공외교의 틀인 지방정부 간교류, ③ 중국 내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공공외교적 함의를, 그리고 구체적인‘전략적’ 대상을 설정한 ④ 대중국 통일공공외교를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대중국 공공외교는 아직 시작 단계이다. 특히 중앙정부가 주도 또는 조율하는 형태의 공공외교 전략은 그 유효성. 한국의 국익에 대한 중국 엘리트와 일반 시민들의 긍정적 관점 증진.을 확보할 수 있는 유형을 파악하고 시도하는 단계라고 평가한다. In recent years, the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hrough public diplomacy in East Asia has been enforced. To understand this political phenomenon in East Asia,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the Korea’s strategy and execution of public diplomacy toward China, which is a start of study on the increasing interac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via public diplomacy. After assessing the two countries’ mutual understanding of public diplomacy, this article analyzes the four primary cases of the public diplomacy: ① public diplomacy of Korean diplomatic establishments in China, ② public diplomacy between local governments, ③ social corporate responsibility of Korean enterprises in China, ④ public diplomacy for Korean unification. It finds that the Korea’s public diplomacy toward China is in an early stage and in particular, the government-led public diplomacy is still figuring out its diverse strategies to obtain more effectiveness to convince the Chinese elites and ordinary citizens to become more positive to the Korea’s national intere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