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 페임랩(FameLab)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백성희(Baek, Seongheui),김찬종(Kim, Chan-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국어, 사회, 수학 과목을 융합한 총 23차시의 기후변화 페임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의사소통능력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를 사전·사후 측정하였고, 학생 소감문과 발표 내용도 함께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후변화 페임랩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의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활동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발적인 지식에 대한 이해 및 학습,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들어볼 수 있는 다양한 학습 경험을 하였고, 활동 후 학생들은 지적 호기심과 흥미와 태도, 자신감 등의 정의적인 부분에도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더불어 개발된 페임랩 프로그램은 기후변화를 소재로 한 융합교육(STEAM)의 효과적인 사례를 제공하였다. I designed, implemented and observed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FameLab program on enhanc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behavioral intention on climate change. Twenty-seven 6th grade students in a public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administering a questionnaire to examine the skill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by conducting students observations. In addition, I analyzed the responses of students to activity and student’s speech.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y improved significantly in communication skills and behavioral intention on climate change. They experienced the expansion of their thoughts by actively sharing information and ideas during activities. And they positively perceived the values that collaboration with friends could produce. They also reported that the FameLab experience increased confidence in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and expanding their interest in science. This study shows a good example of a climate change STEAM program using FameLab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고등학생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백성희 ( Seongheui Baek ),신현정 ( Hyeonjeong Shin ),김찬종 ( Chan-j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을 진단하는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내용타당도 검증과 두 차례의 조사를 바탕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였고, 본조사는 전국의 고등학생 1∼2학년 5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문항 분석(평균, 왜도, 첨도, 문항-전체 상관),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활용하였다. 기후 변화 대응 실천역량 검사도구는 7가지 영역의 총 3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15분 내외이다. 이 검사도구의 영역별 구성은 기후변화 관련 지식, 기후변화 감수성, 성찰능력, 통합적 사고, 의사소통능력, 의사결정능력, 실천 의지이다. 이 검사도구는 자기보고식의 5점 리커트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되어있으며, Cronbach-α 값은 전체 0.953, 하위요소의 경우 0.786∼0.862의 범위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action competence on climate change (ACoCC). The instrument is defined as the construct comprised of seven factors and thirty-five items and takes approximately 15 minutes to fill out. A panel of experts and students’ content validation were undertaken to modify the items. Five hundred and twenty-eight first and second graders in Korean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instrument survey.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CoCC instrument, item analysis (mean, skewness, kurtosis, item-total correlation), internal consistency estimate,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It was appropriate to use the 7-dimensional ACoCC instrument (knowledge about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sensibility, reflection, communication, integrated thinking, willingness, decision making), with 35 items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instrument was self-report given in the 5-point Likert scale (1=strongly disagree, 2=disagree, 3=neutral, 4=agree, 5=strongly agree).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as shown as a whole was shown as 0.953, and the subscale’s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ranged from 0.786 to 0.862.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 대응행동과 관련 변인의 인과적 관계

        백성희(Seongheui Baek),김찬종(Chan-Jong Kim),주은정(Eunjeong Ju)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행동을 가치, 신념, 개인규범과 관련하여 설명한 VBN 이론을 바탕으로 초등예비교사들의 기후변화 대응행동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교 재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 대응행동에서 직접적 영향력의 관계는 초기 VBN 모형을 따른다. 즉, 가치와 신념, 개인규범 및 기후변화 대응행동 간에는 선형적 관계가 있다. 또한,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 대응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개인규범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lue, belief, personal norm, and climate change behavior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 total of 31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The structural analysis in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conducted to perform a path analysis among the variables and assess the model’s suitabi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lue, belief, personal norm, and climate change behavior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upport the original VBN (value-belief-norm) theory. There i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values and beliefs, personal norms, and climate change behavior. Personal norm has a direct effect on climate change behavior positively.

      • KCI등재

        환경실천역량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백성희(Seongheui Baek),신현정(Hyeonjeong Shin),김찬종(Chan-Jong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2

        이 연구는 국외의 환경교육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 중인 환경실천역량을 소개하고, 문헌고찰을 통해 정의와 구성요소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환경실천역량 정의는 소양적 접근, 실천적 접근, 역량적 접근, 종합적 접근의 네 가지로 구분되었다. 소양적 접근은 환경실천역량의 정의에서 환경소양의 일반적인 구성요소인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개념을 강조한 유형이다. 실천적 접근은 행동의 변화나 실천에 중점을 둔 유형이다. 역량적 접근은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와 같은 역량요소를 강조한 유형이다. 그리고 종합적 유형은 위의 세 가지 접근 중 일부 또는 전체를 고르게 강조한 유형이다. 환경실천역량 구성요소의 특징은 소양적 접근과 종합적 접근의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소양적 접근의 대표적인 환경실천역량 구성요소는 “지식, 의지, 자기효능감”이고, 종합적 접근의 대표적인 환경실천역량 구성요소는 “지식, 통찰, 헌신, 비전, 실천경험”이었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nd analyze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Action Competence,” which is actively studi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abroa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lso, the definitions and components of environmental action competence are divided by typ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action competence is divided into four types: Literacy, action, competence, and comprehensive approaches. First, a literacy approach type emphasize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omponents of environmental literacy. Second, an action approach is a type that focuses on behavior change or action. Third, the competence approach emphasizes competence factors such as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Lastly, the comprehensive approach highlights two to three of the three types mentioned above in the definition of environmental action competence.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environmental action competence are divided into two types: Literacy and comprehensive approaches. The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action competence of the literacy approach is “knowledge, willingness, and self-efficacy,” and the environmental competence components of the comprehensive approach are “knowledge, insight, commitment, vision, and action experience.”

      • KCI등재

        초등학생 환경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정희라(Hee-Ra Jeong),최지선(Ji-Seon Choi),백성희(Seongheui Baek)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환경역량을 진단하는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두 차례의 예비조사와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바탕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였고, 전국의 891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환경역량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문항 분석(평균, 왜도, 첨도, 문항-전체 상관),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t/F 검증을 활용하였다. 환경역량 검사도구는 6개 영역의 총 3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10분 정도이다. 이 검사도구의 영역별 구성은 성찰·통찰 역량, 환경정보 활용 역량,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환경 감성 역량, 의사소통 및 갈등해결 역량, 환경 공동체 역량이다. 이 검사도구는 자기보고식의 5점 리커트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Cronbach-α값은 전체 0.958, 하위요소의 경우 0.791∼0.889의 범위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ventory for measuring the environmental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wo pilot tests and content validation were undertaken to modify the items. Eight hundred and ninety-one fifth and sixth grader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strument.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nvironmental competency inventory, item analysis (mean, skewness, kurtosis, item-total correlation), internal consistency estimat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F-test were used. The inventory was defined as the construct comprised of six factors and thirty items and consumes approximately 10 minutes to fill out. It was appropriate to use the 6-dimensional environmental competency inventory (ability to reflect and discern, ability to use environmental information, ability to solve problems creatively, environmental sensitivity, ability to communicate and resolve conflicts, sense of environmental community) with 30 items for elementary students. The following instrument was of self-report given in the 5-point Likert scale (1=strongly disagree, 2=disagree, 3=neutral, 4=agree, 5=strongly agree).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as shown as a whole was shown as 0.958, and the subscale’s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ranged from 0.791 to 0.889.

      • KCI등재

        목공예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기술에 대한 태도와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백성희,금지헌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reative activities through woodcraft on attitudes toward technology and STEAM literac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d 85 sixth graders in four sixth-grade classes in K Elementary School. Over eight weeks, they participated in 16 hours of creative activities through woodcraft under the topic, ‘making a cajon’. The content of the creative activities through woodcraft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orientation and learning how to manipulate tools; making an everyday object in a box shape (cutting); assembling (learning to how to use a hand drill); completing (sanding, coloring, and oil finishing); learning about the cajon, sanding, and frame assembly; and presentation. The changes to attitudes toward technology and STEAM literacy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creative activities through woodcraft. The study also analyzed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sample t-tests for a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ion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creative activities through woodcraft positively affected attitudes toward technolog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with respect to improving their attitudes toward the influence of technology and the areas of the school curriculum related to technology. Second, the creative activities through woodcraft we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TEAM literac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in the areas of convergence and creativity. Finally, woodcraft is a topic appropriate for creativ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Such laborious works as woodcraft can be activated by expanding the autonomy of curriculum operation, and promoting same-grade conferences and school steering committees. 이 연구의 목적은 목공예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 활동이 초등학생의기술에 대한 태도와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K초등학교 6학년 전체 4학급 85명으로 ‘카혼(악기) 만들기’ 주제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8주간(16시간) 운영하였다. 목공예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은 ‘오리엔테이션 및 공구조작법 익히기, 박스형태의 생활용품 만들기(재단하 기),조립하기(핸드드릴사용법익히기), 완성하기(샌딩,채색,오일마감), 카혼에 대해 알아보기, 샌딩, 프레임 조립 및 발표하기’로 구성된다. 목공예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기위하여 기술에 대한 태도와 융합인재소양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사전·사후 검사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t 검증을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목공예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은 초등학생의 기술에 대한 태도의 함양에 효과적이었다. 특히 기술의 영향과 기술 관련 학교교육과정 영역의 함양에 효과적이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큰효과가 있었다. 둘째, 목공예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은 초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함양에 효과적이었다. 특히 융합과 창의성 영역의 함양에 효과적이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큰효과가 있었다. 셋째, 목공예는 초등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에 적합한 주제였다.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권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동학년 협의회와 학교운영위원회를 거쳐 학교교육과정 내에서 목공예와 같은 노작활동이 창의적체험활동을 통하여 활성화 될수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