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나무 색채팔레트를 활용한 아동 색채교육 프로그램 연구

        배윤희(Yunhee Bae),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5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같은 색을 반복해서 사용하는 고정화된 표현을 하는 도식기 아동을 대상으로 나무 색채 팔레트 교안을 제시하여 채색하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계절이 변화함에 따라 바뀌는 자연의 색을 알려주기 위해 가을의 나무 색채팔레트를 제안했을 경우 아동이 쓰는 색상과 톤이 풍부해질 것이며 색채 표현의 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연구 가설로 정하였다. 연구의 진행방법은 연구자가 직접 촬영한 나무 사진의 나뭇잎, 나무 기둥 등에서 색의 값을 추출한 후 나무 색채 팔레트를 제작하여 이를 제시하기 전과 후의 달라진 아동의 그림 색을 L*a*b*값으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로 자연이 주는 색채를 간접적으로 접해 보는 나무 색채 팔레트를 직접 보고 채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아동이 접하면서 색채 표현의 범위가 증가되었고 색상과 톤이 풍부해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언플러그드 활동의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배윤희 ( Yunhee Bae ),나청수 ( Chungsoo Na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1

        교육현장에서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학습자들의 동기와 수업에 대한 몰입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언플러그드 활동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이를 종합하려는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본 연구에서는 언플러그드 활동과 관련된 23편의 국내 논문에서 산출된 60개의 효과크기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무선효과모형 가정 하에 실시하였으며 전체효과크기는 g=.649로 Cohen(1988)의 기준으로 중간보다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정의적 영역(g=.783)이 인지적 영역(g=.673)에 비해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하위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급(Qb=45.67, p<.001), 협력학습 유무(Qb=6.85, p=.009), 교육과정 형태(Qb=15.57, p<.001), 평가도구 선정방식(Qb=18.31, p<.001)에서 조절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학교급과 관련해서 유치원이 다른 하위집단보다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교수-학습 관련 조절변수와 관련해서, 협력학습 포함이 협력학습 미포함보다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정규교육과정이 비정규교육과정보다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평가도구 선정방식과 관련하여 수정 후 사용이 기존 도구 활용과 자체개발보다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원수(b=-.023, p=.059)가 언플러그드 효과를 제한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언플러그드 활동의 설계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While an unplugged activity has emerged as one of the promising alternatives for educational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computer science courses, there has been few efforts to synthesize empirical studies to show their effectiveness.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23 individuals studies with 60 effect sizes that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unplugged activities in Korean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random-effect meta-analysis indicated that unplugged activities showed a consistently positive effect(g=.649) on overall learning achievements, specifically showing that the cognitive domain(g=.78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ffect size than the affective domain(g=.673). As for the results of moderating effect, the subgroup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the educational level (Qb=45.67, p<.001), student collaboration in an unplugged activity (Qb=6.85, p=.009), study context(Qb=15.57, p<.001) and the types of outcome measure(Qb=18.31, p<.001). Specifically, as for educational level, kindergarten level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among other subgroups. And in terms of instructional moderators, collaborative activity revealed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activity, curriculum based courses showed higher effect size than extra curriculum based courses, and the use of modified measures wa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subgroups. The results of meta-regression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unplugged activities was limitedly predicted by the number of participants(b=-.023, p=.059). Based on these findings, instructional design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n unplugged activ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분석학 국내 문헌 고찰: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안미리 ( Mi-lee Ahn ),최윤영 ( Younyoung Choi ),배윤희 ( Yunhee Bae ),고윤미 ( Yoonmi Ko ),김민하 ( Minha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2

        학습분석학(Learning Analytics)은 학습이 일어나는 전 과정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습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온라인 콘텐츠 활용과 이러닝이 보편화됨에 따라 학습분석학은 학습유형고찰, 학습평가, 맞춤 학습 등 교육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아직 국내연구에서는 학습분석학의 연구가 미비한 점을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학습분석학을 적용한 문헌 자료를 분석하였고, 향후 국내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6년 2월까지 발표된 국내 학습분석학 관련 문헌 중 실증적 연구 중심의 문헌으로 최종 61편을 선정하였으며, 선별 절차와 과정은 Papamitsiou와 Economides(2014)의 문헌연구 방법을 따랐다. 문헌분석 결과, 국내에서 집중된연구 동향은 (1) 연구 목적은 학생 행동 모델링, 학습성과 예측, (2) 학습환경은 VLEs/LMSs, 웹기반학습을 주로 연구하였으며, (3) 자료분석방법은 연구 목적에 따라 분석 방법을 다르게 사용하였으나 주로 Statistics, Regression, Text Mining이 많이 활용되었다. 본연구의 시사점은 우선, 학습분석학을 통한 새로운 교수전략 제안과 학습자의 학습성과 예측, 중도탈락 예방 등 학습자 이외에 지원 가능한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미했던 부분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MOOC, 인지적 튜터 시스템, 모바일과 같은 다양한 학습환경에서의 학생 및 학생 행동 모델링 연구가 필요하다. 나아가 데이터를 추출하고 마이닝하는 방법과 이에 따른 분석 모형화에대한 연구를 교육공학적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다양한 학습자의 개인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각화방법을 포함한 프로세스가 내재된 학습관리시스템 모델링 연구 또한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학습분석학의 활용에 관한 다양한 관점의 고찰은 교수설계, 교수전략의 새로운방향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데이터의 활용과 학습관리시스템의 모형을 제안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rning analytics is a research method used in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porting of learners`` progress, for purposes of understanding, predicting, and optimizing learners`` learning process. Along with the rapidly increasing use of online learning, data derived analytics methods are anticipa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However, research on learning analytics is relatively new in Korean academi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Korea on the (1) learning settings, (2) research objectives, and (3) research methods used in learning analytics literatures. Using Papamitsiou & Economides‘s(2014) review process as a guideline, we surveyed empirical studie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8 and 2016, and 61 were aggregated for in-depth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most research published in Korea is limited to applying learning analytics in the context of VLEs/LMSs and web-based learning platforms. For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methods also narrowly focused on objectives and research method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Korean academia needs to expand to different applications of learning analytics to include instructional strategies, prediction of student success, and prevention of dropouts. Furthermore, we need to expand to include the design of MOOC, cognitive tutor system, and mobile learning systems to offer automated data extraction and data mining, and capablities of visualized personalized data. These data-driven learning environment could foster learning analytics research and improv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