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배옥석,이태순,박성대,박종욱,진동석 대한대장항문학회 2004 Annals of Coloproctolgy Vol.20 No.2
Purpose:CEA Study on the Effect of the No-touch Isolation Technique for Preventing Tumor Metastasis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Division of Colorectal Surgery, Department of Surgery, 1Immunology and 2Clinical Patholog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Ok Suk Bae, M.D., Tae Soon Lee, M.D., Sung Dae Park, M.D., Jong Wook Park, M.D.1, Dong Suk Chun, M.D.2 Although the ‘No-touch’ isolation technique was introduced by Turnbull et al. in 1967, the controversy over whether or not it reduces the risk of metastasis during surgery exists even toda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No-touch’ isolation technique in primary colorectal cancer surgery. Methods: The evaluation was done by comparing the levels of CEA and CEA m-RNA expression from the same draining vein before and after tumor mobilization. Blood samples from 25 patients with primary colorectal cancer were collected for analysis. At the time of surgery, the main draining vein from the tumor was isolated and ligated at the proximal end. The 1st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just prior to tumor mobilization, and the 2nd samples right after. Both samples were analyzed for serum CEA level and CEA mRNA expression by using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The mean CEA value from draining veins after tumor mobilization (8.08±8.98 ng/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t was before mobilization (4.17±4.98 ng/ml). CEA mRNA was detected in 16% (4/25) of the blood specimens post-mobilization, whereas it was detected in only 4% (1/25) of the pre-mobilization sample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e validity of using the ‘No-touch’ isolation technique to reduce the risk of metastasis into the draining vein during mobilization. 목적: ‘No-touch’ isolation 술식은 아직까지도 술 중 전이의 위험도를 낮추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술식의 재발률을 분석하기 위해 가장 이상적인 연구방법은 단일기관의 단일 술자에 의해 기존의 술식과 비교하여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대장암에서 이 술식의 종양 조작 전 혈관결찰술이 암전이 위험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가를 실험적 방법으로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상 및 방법: 25예의 대장암 환자에서 술 중 종양 조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주 배액 정맥을 분리하여 결찰을 하였으며, 종양 조작 전 후에 주 배액 정맥을 통해 각각 정맥혈 채취를 하였다. 이들 정맥혈에서 혈청 CEA 수치 및 RT-PCR을 이용한 CEA m-RNA의 발현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종양 조작 후에 이루어진 배액 정맥혈에서의 평균 혈청 CEA 수치는 8.08±8.98 ng/ml로 종양 조작 전의 평균 혈청 CEA 수치인 4.17±4.98 n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35), CEA m-RNA의 발현은 종양 조작 후의 정맥혈에서 16% (4/25)로, 종양 조작 전의 정맥혈에서 4% (1/25)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 결론: ‘No-touch’ isolation 술식 중 종양 조작 전 혈관결찰술은 대장암 세포전이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생각이 되지만, 술 후 재발률, 사망률 등의 임상적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등학교 운동선수에서 최대하 Treadmill 운동시 심폐기능의 변화와 산소섭취량의 추산법
배옥석,김형진,박재식,주영은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0 慶北醫大誌 Vol.31 No.3
고등학교 운동선수에서 최대하 treadmill 운동시험시 심폐기능의 변화를 구명하고 운동부하, 운동시간 및 심박수로부터 산소섭취량을 추산할 수 있는 회귀방정식을 유도하고자 15∼18세의 남자 고등학생 운동선수 14명과 비운동선수 16명을 대상으로 하여 Bruce법에 따라 treadmill 상에서 최대 운동능력의 80%에 해당하는 최대하운동을 실시하고 운동전, 운동중 및 운동후에 심박수, 혈압, 분시환기량, 탄산가스생산량 및 산소섭취량을 측정하였으며 운동 전후에 폐환기역학 검사를 시행하였다. 심박수는 선수군에서 안정시의 71.9±1.3회로부터 운동중 178.0±2.0회까지 증가하여 최대심박수의 81.2±2.3%에 달하였고 비선수군에서는 안정시의 81.8±2.4회로부터 182.6±1.1회까지 증가하여 최대심박수의 79.6±2.0%에 달하였다. 선수군의 심박수는 비선수군에 비해 전 실험기간에 걸쳐 유의(P<0.01)하게 낮은 값을 유지하였다. 분시환기량은 선수군에서 안정시의 5.1±0.6 L/min로부터 운동중 63.0 L/min까지 증가하였고 비선수군에서는 안정시의 5.2±0.5 L/min로부터 51.2 L/min 까지 증가하였으며 양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산소섭취량은 선수군에서 안정시 1.0±0.4 ㎖/㎏/min로부터 운동중 32.6 ㎖/㎏/min까지 증가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의 72.9%에 달했으며 비선수군에서는 안정시 1.4±0.3 ㎖/㎏/min로부터 28.9 ㎖/㎏/min까지 증가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의 70.3%에 달하였다. 선수군의 산소섭취량은 비선수군에 비해 계속 낮은 경향을 보였다. Treadmill 속도 및 경사도와 산소섭취량 간의 중회귀분석 결과 중상관계수 0.9998로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Bruce법에 따른 운동시간과 산소섭취량 간의 회귀분석 결과 1차함수 회귀식에 대한 상관계수는 0.999였으나 3차함수 회귀식에 대한 상관계수는 0.99999로서 극히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심박수와 산소섭취량 간에는 상관계수 0.998 및 0.992로서 대체로 높은 직선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폐기능검사 결과 안정시 FVC, FEF_(0.2-1.2L), FEF_25% 및 MVV는 선수군에서 비선수군에 비해 유의(P<0.05)하게 높았다. 운동후 폐기능검사 성적은 비선수군에서는 안정시보다 저하된 경향을 보인데 비해 선수군에서는 향상된 경향을 보였다. The cardiorespiratory function was evaluated during and after a submaximal treadmill exercise and some regression equations were derived for estimation of oxygen uptake from exercise load, exercise time and the heart rate. A total of 30 high school boys, of whom 14 were athletic and 16 non-athletic, performed a submaximal treadmill exercise according to the Bruce protocol to the point when 80% of their maximum exercising capacity were reached. The heart rate, blood pressure, minute ventilation, CO_2 production and O_2 uptake were measured before, during and after exercise, and the pulmonary function tes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exercise. Heart rate was increased from 71.9±1.3 beats/min at rest to 178.0±2.0 during exercise which was 81.2±2.3% of the maximum heart rate in athletes, and from 81.8±2.4 beats/min at rest to 182.6±1.1 which was 79.6±2.0% of its maximum in non-athletes. Athletes showed significantly (P<0.01) lower heart rate than non-athlete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Minute ventilation was increased from 5.1±0.6 L/min at rest to 63.0 in athletes and from 5.2±0.5 L/min to 51.2 in non-athletes. Athletes and non-athlet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xygen uptake was increased from 1.0±0.4 ㎖/㎏/min at rest to 32.6 which was 72.9% of maximum oxygen uptake in athletes, and from 1.4±0.3 ㎖/㎏/min to 28.9 which was 70.3% of the maximum in non-athletes. Athletes showed consistently lower oxygen uptake than non-athlet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readmill speed and grade and the oxygen uptake showed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98. A first orde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xercise time and oxygen uptake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9, while a third order regression analysis showed an extrem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999. The heart rate and oxygen uptake showed a linear regression with a reasonab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8 and 0.992. The pulmonary function test revealed significantly(P<0.05) higher FVC, FEF_(0.2-1.2L), FEF_25% and MVV at rest in athletes than in non-athletes. After exercise, athletes showed enhanced pulmonary function compared with the resting state while non-athletes showed more or less 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