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교육이 고등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향점수매칭과 다층모형 적용

        방현주(Bang Hyunjoo),정혜원(Chung Hye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는 사교육 참여 여부와 학생 수준, 학교 수준의 요인이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초4패널, 7차년도 자료(고등학교 1학년, 2016년)를 활용하였다. 사교육 참여 효과의 보다 면밀한 연구를 위하여 사교육과 수학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기대되는 변인을 공변인으로 투입하고 경향점수매칭을 실시하여 사교육 참여집단과 미참여집단 간 동등성을 확보하였다. 수학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수준, 학교 수준의 변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생 수준의 변인 중 학습태도가 좋을수록, 가정 변인 중 부모의 월수입이 높을수록 수학학업성취도와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교육 참여 여부 효과를 통제한 후에 사교육 참여여부는 수학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방과후 학교와 EBS 참여여부는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학교 수준의 변인 중 학생이 재학한 학교가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할수록, 기초학력미달 수학 학생 비율이 높을수록 수학학업 성취도와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the student-level and school-level predictors a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For this study, the 7-wave(first grade of academic high school)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dataset was used. To eliminate selection biases, propensity scores matching between the participation(private tutoring, treated) group and non-participation(control) group was conducted. Variables which were expected to be influential factors on private tutoring and academic achivement on mathematics, were modeled as covariate variables.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th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was secured. As a result of the multilevel modeling using homogeneous data, the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on mathematics.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tion of after-school and EBS program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Among student-level variables, the learning attitude and household’s monthly income were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Among school-level predictors, the ability grouping o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the ratio of students who have below-basic academic proficiency level were nega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관계

        이정민(Lee Jungmin),방현주(Bang Hyunjoo),정혜원(Chung Hyew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중1패널 1~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하는 이차함수변화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치인 중1 시기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을수록 같은 시기의 진로성숙도를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1 시기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을 낮게 하였지만, 오히려 진로성숙도의 2차 변화율은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가 종단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maturity,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The 6-waves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datase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nconditional model analysis indicat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maturity’s change patterns were curvelinear (U-shaped). Second, the initial statu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initial status of the career maturity. However, the initial statu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growth rate of the career maturity, and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quadratic growth rate of the career matur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career maturity was longitudin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한글 자획의 방향특징을 이용한 문자인식

        방현주,김혜경,남시병 三陟大學校 産業科學技術硏究所 2004 産業科學技術硏究論文集 Vol.9 No.1

        In this paper proposed the algorithm for extraction feature using direction element from Korean character. The direction element features are horizons, verticals, virgules and circles in Korean character. The standard patterns made from feature that extracted characteristic of consonant and vowel used proposed algorithm. When we used this algorithm, the results of recognition rate was 98% about different fonts of the same Korean characters. And it shown 100% rate of separation about different consonants and vowels. So this algorithm that proposed direction element feature is very good for recogni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charac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