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통합경험이 있는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분석

        방명애(Myong-Ye Bang),김근아(Keun-A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3

        본 연구는 통합경험이 있는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을 밝히고,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통합교육의 개선방안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을 밝히기 위하여 가족의 총수입, 아동의 연령, 아동의 장애정도 및 통합기간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통합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의 총수입이 높고 아동의 나이가 어릴수록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었으며, 아동의 장애정도와 통합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통합경험이 있는 장애아동의 부모가 제시하는 통합교육의 개선방안의 상위 3순위는 (1)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와 비장애아동의 관심, (2) 부정적 태도의 개선, (3) 일반교사의 장애아동교육에 대한 전문성 신장이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parents’ perceptions of the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d been integrated into general education classes and (b) to investigate parents’ recommendations for inclusive education. One hundred and forty-nine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first research purpose, four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family income, age of the child with disability, the degree of child’s disability, and the duration of inclusion were selected. Par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were the dependent variable measured by ‘The Parental Attitudes Scale Toward Mainstreaming’ developed by Green and Stoneman(1989). The scale is composed of 32 items.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mily income and child’s ag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par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That is, as family income was higher, the more positive par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expressed. And, as a child was younger, the more positive par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expressed. But, the degree of child’s disability and the duration of inclusion experiences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par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Second, as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inclusive education, parents suggested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nondisabled children should be more concerned with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and that the attitude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nondisabled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 SCOPUS

        정신지체 고등학생을 위한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방명애(Bang, Myong-Ye),김수현(Kim, Soo-Hyu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6 No.2

        본 연구는 정신지체 고등학생에게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 고등부 정신지체 여학생 9명이었으며, 2001년 1학기에 41회기에 걸쳐 의사결정기술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는데, 담임교사와 부모가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후에 각각 아동의 의사결정기술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응표본 t- 검정과 상관계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로부터 수집된 사전ㆍ사후검사 자료를 대응표본 t- 검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전검사의 평균과 사후검사의 평균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사는 연구대상인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의사결정기술이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부모로부터 수집된 사전ㆍ사후검사 자료를 대응표본 t- 검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전검사의 평균과 사후검사의 평균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부모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따르면 사후검사의 평균이 사전검사의 평균에 비해 향 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추후연구를 통해 각 장애영역에 있어서의 의사결정기술에 대한 기초연구와 교수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elf- determination program on the self- determina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 s with mental retardation. One- group pre- test -post - test research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Nine high school girls with mental retardation participated in the self- determination program. Self- determination skills of subject s were measured by their teacher s and parents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using Self-Determination Teacher Perception Scale and Self-Determination Parent Perception Scale developed by Hoffman, Field, and Sawilosky (2000). Matched pair t- test was used for the analyse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teacher percep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self- determina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fter implementing the self- determination program. (2) According to the parent percep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self- determina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 s with mental retardation even after implementing the self- determination program.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우울장애 위험 중학생의 우울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김봉현 ( Bong Hyun Kim ),방명애 ( Myong Ye B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장애 위험 중학생의 우울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 우울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자동사고의 하위유형과 자기 효능감의 하위유형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와 전라북도에서 편의군집 표집한 중학교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301명 중 우울증상 위험군의 절단점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141명이었다. 우울척도는 조맹제와 김계희(1993)가 번안한 CES-D를 사용하였고, 불안척도는 최진숙과 조수철(1990)이 번안한 RCMAS를 사용하였다. 부정적 자동사고 척도는 오경자와 문혜신(2002)이 번안한 K-CATS를 사용하였고, 자기 효능감은 홍혜영(1995)이 번안한 SE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서와 부정적 자동사고가 우울장애 위험 중학생의 우울정서에 영향을 미치었다. 즉 불안정서와 부정적 자동사고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정서의 척도 점수가 높았다. 둘째, 부정적 사고의 하위 요인인 적대적 인지, 우울인지, 불안인지가 우울장애 위험 중학생의 우울정서에 영향을 미치었다. 즉 적대적 인지, 우울인지, 불안인지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정서의 척도점수가 높았다. 셋째, 자기 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일반적 효능감이 우울장애 위험 중학생의 우울정서에 영향을 미치었다. 즉 일반적 효능감의 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장애 위험 중학생의 우울정서의 척도점수가 낮았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교육현장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influencing depressive emotions of at-risk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141 at-risk middle school student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implement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scores of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cores of Korean-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RCMAS), Korean-Children`s Automatic Thoughts Scale(K-CATS), Self-Efficacy Scale(SES), gende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nxiety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had impact on the depressive emotions of at-risk middle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 scores of anxiety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 higher the scores of depressive emotions; (2) Three factor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 hostile cognition, depressive cognition, socially anxious cognition- had impact on the depressive emotions of at-risk middle school students. That is, the higher the score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 higher the scores of depressive emotions; (3) General self-efficacy had impact on the depressive emotions of at-risk middle school students. That is, the higher the scores of self-efficacy, the lower the scores of depressive emot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불안장애 위험 청소년의 사회불안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오언 ( Yan Wu ),방명애 ( Myong Ye B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불안장애 위험 청소년의 사회불안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구리시, 대전광역시,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편의군집표집한 중학교 2개교와 고등학교 3개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일반학급 학생 618명 중 사회불안 위험군의 절단점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254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사고, 우울정서 및 성별이 사회불안장애 위험 청소년의 사회불안정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부정적 자동사고와 우울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의 척도 점수가 높았다. 긍정적 자동사고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의 척도 점수가 낮았다.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많은 사회불안을 느꼈다. 둘째, 자동사고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 위협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의 척도 점수가 높았고, 긍정적 자동사고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의 척도 점수가 낮았다. 셋째, 우울의 하위요인 중 우울의 인지적 측면의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의 척도점수가 높았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교육현장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influencing social anxiety of at-risk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254 at-risk adolescent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implement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automatic thoughts, depressive emotions and gender had impact on the social anxiety of at-risk adolescents. The higher the score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 higher the scores of social anxiety. The higher the scores of positive automatic thoughts, the lower the scores of social anxiety. The boys had higher social anxiety than the girls. (b) Two factors of automatic thoughts - physical threat and positive automatic thoughts - had impact on the social anxiety of at-risk adolescents. That is, the higher the scores of physical threat, the higher the scores of social anxiety. However, the higher the scores of positive automatic thoughts, the lower the scores of social anxiety. (c) The cognitive aspects of depressive emotions had impact on the social anxiety of at-risk adolescents. That is, the higher the scores of cognitive aspects of depressive emotions, the higher the scores of social anxiet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연구 분석

        조수현 ( Jo Su Hyun ),방명애 ( Bang Myong Ye ),홍점숙 ( Hong Jeom Suk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연구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2008년 1월부터 2017년 9월까지 발표된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연구 논문을 검색하고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14편을 선정하여 일반적 특성, 독립변인과 긍정적 행동지원의 주요 요소 및 중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중재를 적용한 장소가 가정인 연구가 가장 많았고 자폐성 장애학생의 부모가 연구 중재자로 참여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외 실험 연구는 개별차원의 중재를 시행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독립변인에 배경/선행사건 중심의 중재, 기술습득 중심의 중재, 후속결과 중심의 중재 및 삶의 질/생활양식 중심의 중재가 모두 포함된 연구는 5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행동지원의 주요 요소 중 예방 및 교육 중심 접근과 대상 존중접근은 분석 대상 논문 14편 모두 충족하였으나 삶의 질/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접근은 7편만 충족하였다. 넷째, 분석대상 연구가 보고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재효과는 자폐성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과제완수율과 상호작용이 증가하였으며, 부모의 행동지원이 향상된 것이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자폐성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experimental studies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from 2008 to 2017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s, major factor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intervention effec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student’s home was most widely used as a place for an intervention.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ere parent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econd, the most widely used interventions were the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Third, only five out of 14 studies included all four interventions: antecedent-based intervention, skill acquisition-based intervention, consequence-based intervention, and lifestyle-based intervention. Fourth, in most studies, the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for decreasing problem behaviors, and improving task completion and social interaction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ddition, parents’ behavior supports for their children were improved.

      • KCI등재

        자아존중감 집단중재 프로그램이 품행장애 위험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효선 ( Hyo Sun Lee ),방명애 ( Myong Ye B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존중감 집단중재 프로그램이 품행장애 위험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설계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이며, 연구대상은 학력인증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K-YSR의 외현화 척도 점수에 근거한 임상범위에 해당하여 품행장애 위험군에 속하는 학생들로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24명씩 선정하였다. 사전검사 대비 사후검사의 증가분에 대한 두 독립표본 t 검증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집단중재 프로그램이 품행장애 위험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었으며, 학교규칙 준수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둘째, 자아존중감 집단중재 프로그램이 품행장애 위험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교육현장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self-esteem group intervention program on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he self-esteem of at-risk high school students with conduct disorders. The subjects were 48 at-risk high school students with conduct disorders. The 24 students in school A were assign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24 students in school B were assigned into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 design was pre and post control group design and independent two sample t-tests were implement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group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osed of 20 sessions. Instructional materials such as books, multi-media materials, games, and song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The self-esteem group intervention program had positive impact on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at-risk high school students with conduct disorders; (b) The self-esteem group intervention program had positive impact on the self-esteem of at-risk high school students with conduct disorder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성폭력 지식과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정미 ( Jeung Mi Ryu ),방명애 ( Myong Ye Bang ),장역방 ( Yi Fang Zh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성폭력 지식과 성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B시에 위치한 일반 중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지적장애 남학생 6명과 여학생 4명을 편의목적표집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대응표본 t검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성폭력 지식을 향상시켰으며, ``피해자와 가해자의 유형,`` ``발생 원인과 장소,`` ``피해 예방과 대처`` 하위영역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성폭력 개념과 범위`` 하위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성 태도를 향상시켰으며, ``신체구조와 변화``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인간관계의 이해``와 ``성문화와 성윤리`` 하위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장애학생의 성폭력 예방을 위한 후속연구와 교육현장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ituation-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of sexual abuse and sexual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The research design was a pre and post test single group design. The subjects were 10 middle school students(6 boys and 4 gir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The interven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 situation-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knowledge of sexual abuse and sexual attitude.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wo dependent samples t-test were implement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interven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knowledge of sexual abuse t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Second, the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interven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sexual attitude t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