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자문화권 ‘행정(行政)’용어의 탄생과 초기 확산

        박흥식 ( Park¸ Heungsik ),毛桂榮 ( Mao¸ Guirong ),刘伟 ( Liu¸ Wei ) 한국행정학회 2021 韓國行政學報 Vol.55 No.3

        이 연구는 한자문화권 3국(한국, 일본, 중국)에서 ‘행정(行政)’용어의 탄생부터 확산, 정착에 이르는 역사적 과정의 추적과 비교이다. 行政 용어가 어떠한 역사적 배경 하에서, 어떻게 태어났는가는 행정학에서 원초적 의문이다. 크게 다음 세 가지 질문을 다루었다. 첫째, 行政 용어의 등장 시기는 언제인가? 어떻게 태어났는가? 배경이 무엇인가? 무엇의 번역인가? 둘째, 확산과 공식적 채택 과정에서 누가,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 셋째, 3국간의 차이는 무엇인가? 문헌기반 고증(考證) 방법을 사용하였고, 분석기간은 3국에서 용어의 등장부터 마지막 정착에 이르는 1911년까지이다. 연구결과, public administration의 첫 번역은 行法으로, 1838년 미국 선교사가 처음 싱가포르에서, 이후 중국에서 번역, 소개하였고, 일본은 메이지 원년 1868년 行政으로 개역(改譯)하였다. 이후 行政이 行法을 대체하였다. 용어 확산에는 일본이 중심적 역할을 하였고, 전파의 방향은 ‘일본→중국과 한국’이다. 조선은 중국이나 일본과 달리 行法의 시기가 없고, 制字에 참여도 없었다. 정착 기준을 정부의 용어 채택으로 보면 일본이 메이지 원년으로 가장 빨랐고, 조선은 1895년 갑오개혁, 중국은 1911년 「중화민국 임시정부 조직대강(中華民國臨時政府組織大綱)」이었다. 행정용어 수용은 근대 입헌국가 체제의 도입, 군주주권에서 국민주권적 사고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 확인에 기초하여 행정학과 行政 용어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rigin and trace the early spread of the term ‘行政’ i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evolution of the term 行政, which translates to “public administration” in English, is a fundamental ques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studies. Three major questions were addressed: First, when did the term 行政 appear, and how was 行政 translated? Second, who played a part in the process of its creation and diffusion? Third,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countries? A historical approach was used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period analyzed was until 1911, which is the year in which the last of the three countries officially adopted the ter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行法 first appeared in 1838 in Singapore, then in China, and the Meiji government in Japan retranslated “public administration” as 行政 in 1868; 行政 replaced 行法 over time. Japan played a central role in spreading the term 行政 to China and Korea. Unlike China and Japan, South Korea did not have a period of using 行法, nor was it involved in the process to create the term 行政. The term was accepted in 1868 during the Meiji Restoration period in Japan, by the Gabo Reform (甲午改革) in South Korea in 1895, and throug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Act (臨時政府組織大綱) in China in 1911. The use of the term 行政 delineates the moment that each of the three countries began to move toward the adoption of a constitutional system, a separation of power, and a shift from a monarchical sovereignty to a people’s sovereignty.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term 行政 and the early days of public administration.

      • KCI등재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 해석과 국제결혼중개업의 공익화 방안에 대한 연구

        박흥식(Heungsik Park)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4 No.2

        다문화정책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결혼이민자의 문제는 국가의 현재와 미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그것이 사적인 영역에 속하는 문제이기는 하지만 이를 장려할 것인가 아니면 제한할 것인가에 대한 국가의 기본적인 정책방향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결혼이민자의 유입원인과 경과 및 이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결혼이민자의 문제는 소극적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를 밝히고, 이러한 논거 아래 매매혼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국제결혼중개업자의 국제결혼중개행위가 사실상 현행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위반하는 것으로서 허용되어서는 아니 된다는 점을 밝혔다. 다만 모든 국제결혼중개행위 자체를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결혼중개를 비영리 사단법인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국제결혼중개업을 공익화하고 이들 공익화된 단체로 하여금 국제결혼을 중개하도록 함으로써 국제결혼의 건전화와 더 나아가 다문화 정책의 정상화를 실현하여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한편 이러한 국제결혼중개의 공익화 방안은 이미 우리나와 유사한 결혼이민자 유입문제를 경험한 대만에서 먼저 시행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대만의 사례에 대하여 살펴본 후, 우리나라에의 적용방안에 대하여도 제안을 하였다. The problems that immigrants by marriage bring to multicultural policies are critical in determining Korea’s past and present. Thus, although scrutinizing the issue may be considered as invasion of privacy, the fact that whether immigrants by marriage should be encouraged or restricted needs to be established in basic direction of nation policy. This study points out the causes and progressions of importation of immigrant by marriage and the evaluation of each cause and progression. Under these main analysis, the study concludes in that the issue over immigration by marriage should be continuously treated passively, and that international marriage for-profit businesses brokerage should not be permitted, because it violates the Marriage Brokerage Business Manage Act. However, the prohibi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business should be only limited to for-profit businesses. In addition, the study emphasizes that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must be controlled by non-profit organizations, in which the non-profit organizations should be putting forth to promote public interests for international marriage and normalizing the multicultural policies. Meanwhile, as the study cites that Taiwan has already put the policy of garnering public interests in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issue into practice, the study supports the need to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marriage system in Taiwan and find ways to apply the policy to Korea.

      • KCI등재후보

        서양 장기에 비친 중세 사회

        박흥식(Heungsik Park) 한국서양사연구회 2012 서양사연구 Vol.0 No.47

        This paper aims to analyse medieval literature and commentary on chess, tracing important changes since its introduction to Europe. The main focus is threefold. First, it investigates the reason for the quick adoption of chess by the European ruling class and aristocracy in the wake of the 11th century. This is followed by an explication of the ways in which the medieval social order had been projected to the features of chess. Then, it attempts to illuminate the impact of social changes in the 13th century upon the reconfiguration of chess rules as well as its political implications. Chess, a war game introduced to Europe via Muslims, contained features that resembled the European feudal society. It was this affinity that enabled a swift adoption of chess in medieval Europe and the eventual perception of the game as a microcosm of feudal power relations. This was most evident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chess pieces into the figures of king, queen, bishop, knight and rook. In this regard, Chess was not just another pastime for those who sought amusement but a moral game that reasserted the medieval hierarchy. It was a useful tool for medieval lords and nobles to remind their subjects of the established order. Moreover, chess, with its implication of the feudal hierarchy, had served as a model upon which political discourse was discussed. The medieval obsession with chess culminated in the 13th century. This period witnessed an expansion of diverse classes enjoying chess and publications of chess player’s compendia which highlighted allegorical meanings and moral lessons. These books emphasized that each class of a society identify its respective social standing in terms of chess rules. Such notion was epitomized in a book written by Jacobus de Cessoli at the end of the 13th century. Acknowledging the development of urban society, Jacobus presented a new model of society and made an explicit link to new chess rules. Particularly, he differentiated pawns, hitherto treated as a unified group, into diverse entities having distinct relationships with superior authorities. The significance of the book was that it did not merely reflect feudal authorities’ awareness of social changes but imply the way in which they had attempted to incorporate new social groups into the established order. In this light, medieval chess can be seen as a product of a world view that envisioned what the world should be as much as what it was.

      • KCI등재

        미국 형사절차상 문화항변과 우리 형사절차에 있어서의 적용여부

        박흥식(Heungsik Park)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32 No.1

        우리 사회가 다문화사회인가 하는 문제는 단언하기 어렵다 하더라도 이미 많은 결혼이민자와 외국인노동자들이 국내에 체류하고 있고 이들과 관련된 다수의 범죄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죄명도 다양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이민자들이나 외국인들의 범죄는 자라온 문화환경이나 교육과정 등이 우리나라의 그것과 동일하다고 할 수 없고 따라서 이들의 범죄를 다룸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화적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할 것인가의 문제가 제기되는데 그것이 바로 문화항변(Cultural Defense)의 인정여부에 대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이나 캐나다와 같은 문화적 다양성이 활발한 다문화국가의 경우 오래전부터 이러한 문제에 대한 검토가 있어 왔으나, 아직 우리 형법은 이와 관련된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할 뿐 아니라, 이러한 사건에 대한 판례도 축적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문화항변과 관련된 판례에 대하여 그 사실관계 및 판결이유 등에 대하여 세밀히 살펴보고, 우리나라 형법체계상 이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 적용한다면 어떤 범위에서 할 것인지에 대하여 보기로 한다. 형법이 지향하는 형사절차는 피고인의 책임에 부합하는 처벌인 개별책임의 원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회 구성원들이 자신의 법이 도덕적으로 올바른 가치를 구현한다고 믿을 수 있을 때 사회는 그 구성원들을 쉽게 법에 복종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른 문화환경에서 자라고 교육 받은 사람들은 그들의 문화규범에 따른 법규범에 익숙할 뿐 아니라, 그러한 자신들의 도덕적 의무감을 가지게 된다고 할 수 있으므로 주류사회의 법규범이 그들의 문화나 도덕규범에 반하는 경우 자신들의 문화규범과 상충되는 법규범에 대한 순응이 더욱 어렵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주류 문화규범에 기초하여 입법화된 법률규범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경우 오히려 사회적 갈등과 법제도의 경시현상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이민자나 외국인 개인의 문화적 배경이 형사절차에 고려되어야 더 공정하고 정당한 사법체계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우리 형사절차에 있어서도 문화항변의 제도적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While it is uncertain whether Korea is a multicultural society perse, it is undeniable that Korea today is home to many migrant laborers and transnational spouses and that varying types of crimes and criminal statutes related to multiculturalism have arisen as a result. Precisely in this context, in which immigrants cannot be assumed to share the cultural and/or educational backgrounds of the majority in Korea, I raise the issue of cultural defense.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have dealt with the cultural defense question since long ago. In contrast, the Korean criminal legal system has yet to have any regulation or precedents on this matter. Therefore, in this paper, I examine (1) the cultural defense cas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ir surrounding discourses,(2) the appropriateness of importing the jurisprudence of cultural defense to the Korean criminal legal system, and (3) the scop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defense.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is premised upon retribution, under which the guilty is punished pursuant to his culpability so that the society can affirm its moral values as reflected in its laws. Naturally, individuals who grew up in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may face additional challenges when their internalized societal moral values are indirect contradiction to the majority’s (here, Korea’s). Given this context, I argue that disregarding immigrants’ fundamentally different moral values and indiscriminately applying the majority’s laws on them may result in majority’s under valuing of the law. Thus, I aver that cultural and educational backgrounds of immigrants must be considered in their cases in order for a fairer and more just criminal justice system. Finally, I conclude that the cultural defense doctrine must be implemented in Korea.

      • KCI우수등재

        [중세] 교류사와 관계사의 확대 및 학제적 연구 노력: 2019~2020년 서양 중세사 연구동향

        박흥식(Park, Heungsik) 역사학회 2021 역사학보 Vol.- No.251

        This article is intended to review the major trends and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Western medieval history in South-Korea for the years of 2019-2020. The papers and books written in this session were classified by period, country, and topic, and the gist of individual work was reviewed. By period, early Middle Ages studies were very scarce and there were many writings in later periods. By country, there were many articles about France and Italy. Recently, interest in exchange history and relationship history has been increasing, and transnational research has been increasing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urope and Islam in the Crusades. By topic, the proportion was large in order of culture, religion, politics and society. In particular, cultural-themed writings were not only large in quantity but also deep and rich in content. The expansion of interdisciplinary exchanges within medieval studies also emerged. Recently, medieval researchers in theology, literature, and ar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esentation and contribution of the Western Middle Ages Society, and medieval research has been interacting beyond academic boundaries. It is interesting to see whether such interdisciplinary research can develop into a supplement to existing Western medieval history research activities.

      • KCI등재

        최고감사기구 감사 투명성의 개선: 전략 및 방법을 중심으로

        박흥식(Park Heungsik),나현(Na Hyun),김성준(Kim SeongJun) 한국부패학회 2014 한국부패학회보 Vol.19 No.4

        이 연구에서는 감사 투명성 개념적 요소의 식별과 평가 모형의 구축, 그리고 최고감사기구를 대상으로 투명성의 현황 및 문제점을 검토한 후, 개선 전략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감사 투명성을 감사인과 이해관계자 간 정보의 충분한 공유로 정의한 후, 감사 정보를 공개 정보인가 비공개 정보인가, 감사기구가 공개에 호의적인 정보인가 공개를 꺼리는 정보인가, 두 가지 차원을 결합,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투명성 개선 정책의 대상은 공개 정보이고, 이것은 감사기구가 공개를 거부하거나 꺼리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 연구는 감사 투명성을 ‘정보’ 및 ‘공개’, ‘감사기구의 정당성’ 조건의 함수로 보고, 최고감사기구의 정보 공개 및 정당성 조건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감사원의 최고감사기구로서의 낮은 투명성은 감사인으로서의 독립성 미흡, 정보공개법 상 비공개 정보 규정에 기초한 것이기는 하나 비공개 정보 영역의 과도하게 넓은 설정 등에 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기여는 감사 투명성을 분석, 평가하는 개념적 틀의 제시와 더불어, 투명성 개선을 위한 관심과 노력 의 촉진이다. The aim in this study was to suggest strategies and tactics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the suprem e audit institu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e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agency’s audit trans parency. After critically reviewing the existing literature on transparency, we defined audit transparency an d created a conceptual model of audit transparency while examining its characteristics. Subsequently, we id entified the main area on which transparency policy should focus by classifying information based on two questions, whether information should be legally protected and whether an audit agency is favorable to dis closing certain types of information. In addition, we suggested a classification of explicit and tacit informati on as a significant dimension in evaluating the level of audit transparency. Applying the conceptual model, our case study explored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AI)’s potential problems and limitations by dr awing on a review of laws and system reforms relevant to audit transparency and authors’ insights. The s tudy findings reveal that to increase audit transparency, the BAI’s independence should be strengthened, an d a reform of laws and systems is necessary to disclose more audit information. Strategies and tactics we re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웹 기반 정책도구 효과의 준실험 서베이에 의한 추정

        박흥식(Heungsik Park)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5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5 No.3

        A quasi-experimental design is a research method that allows causal inferences in assessing the impacts of policy interventions through treatment-control comparisons while some survey participants but not others are naturally exposed to the intervention. In this study, we traced both the policy impacts of the OK system developed by the Yeongdeungpo-Gu office and some limitations of the evaluation based on a simple survey design that did not have an experimental or a comparison group, applying a quasi-experimental survey design. The OK system survey data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ystem; they included questionnaire items that naturally assigned respondents either to a treatment or to a comparison group. We assigned 348 respondents to three groups: “don’t know the system,” “know but didn’t use the system,” and “used the system.”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s both between the treatment group (“used the system”) and the comparison group (“don’t know the system” and “know but didn’t use the system”) and between the treatment group (“know but didn’t use the system”) and the comparison group (“don’t know the system”) were significant. These results may be evidence that policy effects obtained from a survey with no comparison group could bedetermined not by the survey participants’ actual experiences but by public awareness of the system, which may mislead researchers into making the wrong decision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how inferences from a survey can be biased in estimating the effects of a policy tool.

      • KCI등재

        재정절차의 성격 및 관련 쟁점

        박흥식(Heungsik Park)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4 No.1

        2007년 개정된 형사소송법은 재정신청제도에 대하여 전면적인 수정을 하였다. 재정신청대상을 모든 고소사건으로 확대하고, 공소제기와 유지를 검사로 하여금 담당하도록 하였으며 고등법원으로 하여금 재정절차를 진행하도록 한 것 등이 그것이다. 그런데 개정 형사소송법상 또 하나 유의하여야 할 규정중의 하나가 재정법원에 대하여 필요한 경우에 증거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조사의 범위와 관련하여 여러가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재정법원의 증거조사 범위는 재정절차의 성격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재정절차를 검사와 피고인을 당사자로 하고 법원은 주로 당사자의 소송수행에 대한 판단자로서의 지위를 부여하는 소송절차에 준하는 절차로 이해하는 한 법원의 증거조사 범위는 제한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재정절차가 공소제기 이전의 절차이며 공소제기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라는 점에서 이를 수사와 유사한 절차로 이해한다면 그 증거조사의 범위는 수사절차에 준하여 확대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수사절차로 보는 경우에도 강제수사법정주의의 한계로 인하여 형사소송법이 예정하고 있지 아니하다고 보여지는 피의자에 대한 구속이나 강제수사로서의 압수수색 등은 일정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또한 증거를 조사하는 경우 그 증거조사 방법은 어떠할 것인지, 그리고 재정신청사건에 대하여 공소제기 결정되고 피고인에 대한 공판절차가 열릴 경우 재정법원이 조사한 증거에 대하여 공판과정에서 어떠한 증거능력을 인정할 것인지, 재정법원에서 증거조사에 관여한 법관이 공판절차에서 제척사유에 해당하는 것인지 등도 문제로 된다. 그리고 형사소송법이 재정법원이 직접 증거조사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재정신청사건에 대하여 검사의 조사가 부족할 경우 검사에게 수사개시 또는 보강수사를 하도록 하는 결정을 할 수 있는지도 문제로 된다. 법원에서 직접 증거를 조사할 수 있다면 검사로 하여금 수사를 개시하거나 보강수사를 하도록 하지 않더라도 재정법원이 직접 조사하여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형사소송법은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증거를 조사할 수 있다는 형사소송법의 규정과 관련된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The amendment Criminal Procedure Code has made a major modification to an Application for a Ruling in 2007. The code has expanded target of Application for a Ruling to all accusation case, and assigned public prosecutors to be in charge of public prosecution and sustainment, and made high court to progress the procedure. However, one of the prescriptions stipulates that the Court for Application for a Ruling has authority to investigate evidence if necessary, but its range remains in dispute. Range for such investigation may vary upon how to see the nature of procedure of Application for a Ruling. In the context of criminal proceedings, which considers public prosecutors and defendant as the parties to a suit and judge as an umpire, Application for a Ruling"s range has to be restricted. However, Given that Application for a Ruling is understood as a process before prosecution and a step for judging whether or not to prosecute a case, the range of investigation can be expanded to a degree to procedure of investigation. Even so, the expansion will still have its limit on imprisonment or confiscation as compulsory investigation for suspect is under influence of the principle of regulating compulsory investigation as law Aslo, there exists underlying problems; such as how will investigation be navigated, what admissibility of evidence does an evidence of court for Application of a Ruling carry when trial proceeds, and Judge who participated in investigation of the evidence should be excluded from the trial. In addition, public prosecutor’s commencement or corroboration of insufficient investigation under command of court is disputable, because the code explicitly states that court for Application of a Ruling has an authority of commencing investigation of evidence. If it can directly investigate evidence, Court for Application of a Ruling is not required to corroborate investigation but rather judge from its own investigation. The Criminal Procedure Code has limited instructions on the issues aforementioned. Hence, this research paper reviews such issues that evidences can be investigated.

      • 한국 CSR 촉진 정책 발전의 평가

        박흥식(Heungsik Park)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08 창조와 혁신 Vol.1 No.1

        선진국들은 CSR 촉진을 21세기 주요 정책 아젠다의 하나로 꼽는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식에 기초해 한국의 CSR 촉진 정책 발전은 현재 어떤 단계에 있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제기하고, 2008년도 정부 성과관리시행계획 상의 업무 과제 총 3,777개 분석과 각 부처, 산하기관 CSR 업무 담당자, 지속성장가능성 보고서 발간 기업, 관련 연구소, 매스미디어, NGO 등의 책임자 인터뷰를 통해 발전단계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CSR 촉진 정책과제는 지식경제부, 보건복지가족부, 노동부, 환경부 등에 집중되고, CSR 표현은 부처 간에 불일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정부 차원의 CSR 책임 조직, 조정이나 연구, 통제 노력은 발견되지 않았다. 산업분야 정책은 국제적 CSR 지침개발에 대한 적극적 대응과 기업의 지속가능성장, 복지·노동분야는 사회복지서비스, 일자리 창출 등을 중심으로 하였고, 정부와 기업, 이해관계자 간에는 정책적 관점, 필요 인식 등에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해, 또 유럽 선진국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과 앞으로의 방향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 연구의 기여는 정부의 CSR 촉진 정책에 대한 체계적 평가의 시도이자 미래 정책 방향에 대한 정보 제공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growth of public policy for promoting CSR in South Korea and find some implications. For thi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What is the real progress of public policy to promote CSR? And who has an initiative of promoting CSR in South Korea? To assess the growth of CSR policy, the total 3,777 policy agendas in the year 2008 which the Committee of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administers were examined while the checklist of public policy for encouraging CSR was applied to analyze CSR policy from those agendas. To identify an initiative of promoting CSR, an interview method was employe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were reported from public policy for promoting CSR to the initiative. The major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was to deliver a systematic evaluation of CSR policy and its growth and shed light on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