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집합건물의 관리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전유부분을 중심으로

        박태신 弘益大學校 法學硏究所 2005 법학연구 Vol.7 No.-

        One of the hard issues in the civil law is how to reasonably regulate the condominium. So the Act on Possession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APMC) was enacted on April.10. 1984. and came into force on the 1st of Aprill,1985. But the Act still can't reasonably regulate the posesession and mangement of condominium. But because of the necessity and utility of APMC, I want to study and write about an unit of condominium to lay a foundation on the study of condominium. According to APMC, a unit is independent parts for ownership of the condominium. The unit is each part under regulation of APMC. Because a unit is a basis to regulate the legal relationships among many people associated with the condominium. Therefore, I wanted to address the unit which is fundamental in understanding the management of a condominium.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 변호사와 의뢰인 간의 법조윤리에 관한 고찰 : 미국의 Sarbanes-Oxley 법 등을 중심으로

        박태신 홍익대학교 2007 홍익법학 Vol.8 No.3

        이 글은 최근 한국 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법학전문대학원의 설치문제와 함께 법조인의 수준향상을 위한 노력의 한 방법으로 법조윤리교육의 중요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이다. 법조인은 타인을 대리하여 그의 법률업무를 취급하는 점에서 타인의 사생활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변호사는 고객관의 신뢰관계에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다. 한국에 있어서 그동안 변호사의업무는 비록 변호사법의 제한이 있다 할지라도 신뢰관계를 전제로 고객의 비밀보호에 충실하였는지 여부가 의문이다. 이는 타인의 업무를 처리하는 자로서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필요한 의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바,한국내 설치될 법학전문대학원의 모범인 미국에 있어서 변호사와 고객의 비밀보호의무에 관한 문제를 비교법적으로 관련법 등에 따라 다음 순서에 따라 검토하기로 하였다. 즉,I. 서론 II. 본론(1. 의뢰자 · 변호사간의 비밀준수와 관련한 미국규범 등, 2. 비밀준수에 관한 워싱턴D.C.의 전문직행동규칙에 대한 개정제안, 3. Gatekeeper행동계획, 4. 새로운 전문직활동규칙의 비밀준수의무에 관한 워싱턴D.C.변호사회의 심의내용 및 ABA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주요한 사항, 5. 미국법에서 변호사와 관련한 제반원칙), III. 결론의 순서에 따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앞으로 변호사와 고객간의 비밀보호의무에 관한 좋은 암시를 얻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attempted to study on the legal ethics. Because recently the discussion concerning to the legal ethics is plentifully developed. And the law school is opened in Korea and the main body is changed by the law, so the necessity of legal ethics is becoming higher than in the past. So I want to study the development direction in legal ethics and write about one part of it, namely the relations of the lawyer and client in American situation. By this study, I can find the various principle which relates with the lawyer and client from the American law. And I had a chance to observe the Sarbanes- Oxley law of the United States. It's providing the important thing relating with a an expert's confidentiality about the client and etc in the United States. And with the different relation laws, it give us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law, the work product doctrine and the lawyer's ethical duty of confidentiality. So I composed this thesis as follows. Chapter I. Introduction Chapter II. the main subject 1. The American's norm relating confidentiality between attorney and client. 2. The Rules of Professional Conduct Review of Washington D.C. relating confidentiality. 3. The Gatekeeper Initiative. 4. The Washington D.C.'s matter of importance of the new rules of Professional Conduct Review about confidentiality and the fact which becomes from the ABA. 5. The various principle which relates with the lawyer from the American law. Chapter III. Conclusion

      • KCI등재
      • KCI등재

        규범적 요건사실에 관한 연구

        박태신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4

        ‘법은 법원이 안다(iura novit curia)’라는 법언과 같이 재판의 대전제가 되는 적용법규는 법원이 직권으로 밝혀내고 이를 해석・적용하지만, 당사자는 법 적용의 전제가 되는 사실의 조사 등에 관하여는 자신의 책임으로 실체법에 따른 법률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법률요건을 충족하는 모든 요건사실을 만족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고 할 것이며 그 책임을 이행하지 못할 경우 주장 및 입증책임이 있는 자에게 패소라는 결론으로 귀착되는 결과를 얻게 될 수 밖에 없다(주장 및 입증책임). 따라서 당사자가 법원의 면전에 실체적 모습 그대로 드러내 보여야 하므로 요건사실론은 증명책임의 분배이론과도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고 공격방어방법에 대한 판단순서를 정하는 기능을 하며 논리성, 합리성, 기능성을 추구함으로써 매우 기교적 논리 전개를 그 특성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여기에서는 민사소송에서 원칙적으로 당사자가 하여야 할 쟁점 및 증거의 정리의 중요성에 비추어 그 실마리를 제공하는 요건사실론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규범적 요건사실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즉, 이 글에서는 규범적 요건사실론의 문제점 등을 서론에서 정리하고 본문에는 기본적으로 규범적 요건에 관하여 의의를, 규범적 요건사실의 성격과 관련하여 그것이 주요사실인지, 간접사실인지를, 규범적 요건사실의 주장정리에 있어서 적시하여야 할 주요사실이 무엇인지, 사실을 적시할 때 어떠한 유의사항이 있는지 또한 그것을 바탕으로 규범적 평가의 성부 판단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마무리를 하기 전에 규범적 평가의 구체적 사례를 민법 126조의 「정당한 이유」를 바탕으로 살펴보면서 결론적으로 당사자가 불의타를 당하지 않도록 하는 정리된 요건사실론의 실무적 평가 등을 통하여 마무리를 하였다. As the saying goes, "the court knows the law (iura novit curia)," the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that are the basis of the trial are revealed and interpreted and applied by the court ex officio, but the parties are responsible for investigating the facts that are the premise of the application of the law, and in order to obtain the effect of the law according to the substantive law, it is said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satisfying all the requirement facts tha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law, and if they fail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the result will inevitably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 person who bears the burden of proof loses (burden of proof and clai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requirement fact theory is inextricably linked to the theory of distribution of the burden of proof because the parties must appear in the court's presence as they really are, and the function of determining the order of judgment on the attack defense method is to pursue logic, rationality, and functionality, and it is characterized by a very artful logical development. If so, this article is a part of a study on the theory of required facts, which provides clues in light of the importance of organizing issues and evidence that parties should do in principle in civil litigation. In other words, this article summarizes the problems of the theory of normative required facts in the introduction, and in the main text, I will basically explain the meaning of normative requirements, the nature of normative required facts, whether they are primary or indirect facts, what are the primary facts to be specified in the argumentation of normative required facts, what are the significance of specifying facts, and how to judge the normative evaluation based on them. Before concluding, the article examines specific cases of normative evaluation based on the "an over-authorised representative representation" of Article 126 of the Civil Code, and finally concludes with a practical evaluation of the summarized theory of required facts to prevent parties from suffering injustice.

      • KCI등재

        채권자대위소송에 관한 연구

        박태신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홍익법학 Vol.19 No.1

        The Action for Obligee`s Subrogation Right means exercising the right to subrogate obligor under civil law in court. It is a fact that it receives virtually priority payment by using the debt collection function rather than being used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chargeable properties. As can be seen in the search list of the Supreme Court Library, lawyers are very interested in this and unlike other countries, the utilization is also very high in reality.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its utilization rate. However, being resolved preferentially here is the question of the role of the obligor in litigation, which is one of the three among the characters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e En Banc, all cases deny the eligibility of the obligor as a party in the form of a litigation charge in which the right of control is transferred from the obligor to the obligee, and as a general rule, participate in the Action for Obligee`s Subrogation Right. From the standpoint of the obligor who can not do it can not deny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roblems may arise i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obligor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obligee's execution of the lawsuit.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above points, in this paper, as a basic framework of the Action for Obligee`s Subrogation Right, an essential type and dedicated type of the Action for Obligee`s Subrogation Right is presented and stipulated clearly. Examining the way of the Action for Obligee`s Subrogation Right, we examined the effect of obligor of the final judgment received by the creditors under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in the Action for Obligee`s Subrogation Right, focusing on judicial precedents. Afterwards, if you can not participate as a party to separate complaint's defendant by studying the possibility of appeal of another obligor's appeal while under petty for creditors' proceedings, in order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obligor, etc. I studied lawsuit participation method. Ultimately, after finishing the theoretical·practical discussion as above, we grasp the requirement facts in the Action for Obligee`s Subrogation Right and give them usefulness to actually utilize the Obligee`s Subrogation Right in practice. 채권자대위소송은 민법상 채권자대위권을 재판상 행사하는 것으로 책임재산보전을 목적으로 활용되는 것보다도 채권회수기능을 통해 사실상 우선변제를 받는 방식으로 대법원도서관의 검색목록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법률가들은 이에 대하여 매우 관심이 많고그 활용도 또한 매우 높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 글은 그 활용도 측면에서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그런데 여기에서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이 이 소송의 등장인물 중3자 중 하나인 채무자의 소송상 역할문제이다. 판례는 전원합의체의 결론에 따라 관리처분권이 채무자로부터 채권자에게 넘어가 법정소송담당의 형태로 채무자의 당사자적격을 부정하고 있어 원칙적으로 당사자로서 채권자대위소송에 참여할 수 없어 채권자의 소송수행의 정도에 따라 채무자의 권리보호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위와 같은 점을 유념하면서 이 글은 채권자대위소송의 기본적인 틀로서 채권자대위소송의 형태로 본래형과 전용형의 채권자대위소송을 제시하고 명문규정이 없는 전용형의 채권자대위권의 존재방식을 검토한 다음 채권자대위소송에 있어서 그 구조를 이해하고 채권자가 받은 확정판결의 채무자(피대위자)에 대한 효력에 관하여 판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이후에 채권자대위소송 계속 중에 채무자의 별소 제기 가부를 연구하고 가사 원·피고의당사자로 참여할 수 없는 경우 채무자의 이익보호 등을 위하여 채무자에 의한 소송참가방식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위와 같은 이론적·실무적 논의를 마친 다음 채권자대위소송에 있어서 요건사실을 파악하여 실제로 채권자대위권을 실무적으로 활용하는데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일본 민사소송법상 “쟁점 및 증거정리절차”의 고찰을 통한 새로운 방향의 모색

        박태신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07 民事訴訟 : 韓國民事訴訟法學會誌 Vol.11 No.1

        A Civil Proceedings Act was revised preparatory proceedings with a form to carry out necessarily(It has been usually called “a new model”). In other words, to support this, the above Act is revised, and it was enforced from 2002.7.1. The procedure is very useful for solving the civil problems. But in the comparison with other legal system, it`s very strict so it can lack in versatility for problems solving. Therefore, I thought to make this article to grope for a new direction and to find versatility of a system of our country through the actual situation about an equal system of other countries.For that purpose I have written “a rearranging procedure of an issue and evidence” of Japanese legal pretrial clause. Because firstly studying the Japane- se legal trial clause, I thought to do new direction grope through a new system and comparison of our country. And secondly Koerans system is very much the same with Japanese public speaking preparatory proceedings(an issue and contents for an evidence rearranging procedure). Koerans system is the differ- ence in Japanese system. Because Korean system is accepted as very stiff as for it`s understanding.However, in charge of a duty to accomplish a function of the compulsion, the public speaking preparatory proceedings is very important by an umpire process. But it`s important to prevent administration in a public speaking fixed date of waste of trail through this procedure again, but public speaking preparatory proceedings of other forms cannot still deny that it is worse by an admi- nistration manner of a judicial officier.Therefore, I agree that it enforces a rearragnging proceduere of an issue and evidence basically, 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public speaking preparatory proceedings process with a form of procedure by judgment of efficiency of the judicial officier than in principle administrative compulsion for this procedure of the Civil Proceedings Act.

      • KCI등재후보

        管理團과 入住者代表會議의 關係에 있어서 그 法律的인 問題點과 그 改善方向에 관한 硏究

        박태신 홍익대학교 2008 홍익법학 Vol.9 No.2

        집합건물에 있어서 관리단과 입주자대표회의는 매우 유사한 업무를 수행 하는 것으로 집합건물법과 주택법이 규정하고 대법원도 관련법의 해석에 있어서 양자의 관계설정에 관한 모을 전제로 지속적으로 판결하고 있는 점을 찾아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한다면, 대법원이 판시한 바와 같이 양자가 모두 법적 성격이 권리능력 없는사단이면서도 법적인 조정이 없이 하나의 집합건 물에서 두 개의 관리기구의 태동 등이 되어 동일한 업무를 하겠다고 나설 경우 그 조정은 누가 할 것인가? 그리고 입법적 동기가 다르게 태동한 두 입법 즉, 집합건물법과 주택법의 우선관계를 어떻게 조정해 줄 것인가? 법집행에 있어서 매우 유감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 서 개인적으로는 이에 대한 입법적인 조정이 시급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견으로 관리단을 일방적으로 당연설립기관으로 해 놓고 방치해 놓는 것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점이 많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고 기관의 성질을 구분소유자의 의사결정 기관으로 입법적으로 정리한 다음 입주자대표회의는 관리 단의 결정 에 따른 업무를 집행하는 기관으로 분명하게 입법적인 정리를 하여야할 필요 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될 경우 비로소 양자의 혼란을 피할 수 있고 관리 단을 당연설립 기관이 아니라 구분소유자라고 한다면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형식으로 조직행위를 통해 설립되고 법인화하여 운영되도록 권유와 지원을 하는 관련법의 개정이 전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주택법에 의 하여 포괄적으로 규율할 것이 아니라 일본의 맨션법의 범주에 속하는 집합건 물의 후생복지 등을 위한 각종 법률과 같이 비교법적 검토를 통하여 집합건 물의 성격에 따라 각종 적절한 규율을 할 수 있는 규범을 만들도록 정부는 세심한 노력을 주하여야할 것이다. The National Assembly enacted the Condominium Law(1984) and the Housing Law(2003). Both of them have many common points. The former rules the condominium like office but the latter rules the house that many families live. So Both of them differ at the range of the application and the object side. But the Condominium Law prescribes that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multi-family housing and the special rule of the Housing Act is be effective, unless it hurts a basic right of unit owner in conflict with this law. Therefore, the Housing Law acquired the legal grounds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management of the condominium. However, two legislations have the problems that it was not able to be done a legislation assuming a unified opinion. According to the related provisions, each instrument has very similar authorities and there is a threat that many problems crop out when they use each authority while insisting that each instrument is one's authority. There are a threat that it collides and there is a threat that I bring monopoly of the duty or laziness of the duty. Therefore, for the happiness of unit owner, maintenance of the legislation is requested absolutely.

      • KCI등재후보

        민사소송절차에서 실체법과 절차법의 교착(交錯)에 관한 연구

        박태신 연세법학회 2020 연세법학 Vol.35 No.-

        At present, in the field of civil litigation proceedings, substantive law and procedural law are operating while playing the roles of being in charge of each other. In these fields, both parties are in no position superior to each other, but they are in equal positions. Therefore, instead of sticking only to the dependency of procedural law such as substantive law, admitting the interdependence of both, “The former norm is not existing without the latter norm and the latter norm is not exsiting without the former norm”. Based on this idea, both parties should be used in the civil litigation procedure with mutual dependence among other functions, and in the civil litigation procedure, the desirable dispute should be obtained through the useful utilization of the former and the latter. I have emphasized that substantive law and procedural law must be used effectively as tools to guide the conclusion of resolution, and must be effectively used for dispute resolution. Again, the thesis was created to argue that it would be an interdependent education rather than an independent education such as procedural law or such as substantive law in legal education. 민사소송절차의 현장에서 실체법과 절차법은 서로 담당한 역할을 필요적으로하면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양자는 이러한 현장에서 결코 어느 하나가 우위에있는 것이 아니라 대등한 지위에 있기 때문에 절차법이 결코 실체법의 부속물이아니고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데 국한되어 있는 것은 더욱 아니다. 따라서 실체법에 대한 절차법의 의존성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양자의 상호의존성을인정하면서 “전자의 규범 없이 후자의 규범이 없고 후자의 규범 없이 전자의 규범이없다”라고 하는 생각을 바탕으로 양자가 민사소송절차에서 상호 다른 기능 속에서상호의존성을 가지고 활용됨을 기억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위와 같은 사고를바탕으로 민사소송절차에서 전자와 후자의 활용 등을 통하여 바람직한 분쟁해결이라고 하는 결론을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법학교육에서도 이런 점을 중심으로민사소송절차에서, 특히 법학전문대학원 시대에 진입한 오늘날에는 실체법과 절차법의 독립적인 교육이 아닌 상호의존적, 연계적인 교육이 될 것을 다시 한번 주장하고자이 글을 작성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