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도상승에 따른 논 제초제의 약효 및 약해 변동

        박태선,황재복,배희수,박홍규,이건휘,Park, Tae-Sun,Hwang, Jae-Bok,Bae, Hee-Soo,Park, Hong-Kyu,Lee, Gun-Hwi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3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가 상승할 경우 현재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는 되어 지고 있는 HPPD 저해 제초제에 대한 주요 벼 품종들의 약해와 논 잡초들의 약효 변동정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온도가 높을수록 벼의 약해정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줄기보다 뿌리에서 약해정도가 더 심하게 나타났다. 대기온도 보다 약 $3^{\circ}C$ 높은 비닐하우스 조건에서 일반계 밥쌀용 자포니카 벼 품종들은 회복할 정도로 약해 경미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찰벼, 초다수성벼, 통일벼 품종들은 수량이 감소될 정도로 약해가 발생하였다. 인공기상실 조건에서 일반계 밥쌀용 자포니카 벼 품종의 약해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고온조건인 $27.5^{\circ}C$에서 4-8로 생육이 심하게 억제되었거나 고사하였다. 그러나 찰벼와 통일벼 품종들은 $25^{\circ}C$ 이상에서 약해가 심각하게 발생하였으며, 통일계 품종인 남천은 $27.5^{\circ}C$에서 완전히 고사하였다. 논에서 이앙시기별 벼 약해실험에서 밥쌀용 자포니카 품종인 신동진벼는 6월5일(평균온도 $22.1^{\circ}C$) 및 6월15일(평균온도 $22.5^{\circ}C$)에 이앙한 논에서 약해는 경미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6월30일 이앙(평균온도 $25.2^{\circ}C$)한 논에서는 약해가 3이상이었고, 고온인 7월15일에 이앙(평균온도 $27.9^{\circ}C$)한 논에서는 벼가 뚜렷한 억제현상을 보였다. 온도조건을 달리한 인공기상실에서 benzobicyclon+mefenacet+phenoxsulam액상수화제에 대한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올방개의 방제효과는 약제 처리 후 25일에 90% 이상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강피의 방제효과는 $25^{\circ}C$까지는 95%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으나 고온조건인 $27.5^{\circ}C$에서는 40%의 낮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앙시기가 서로 다른 논에서는 잡초발생량은 6월 30일 이후 이앙 논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일년생 잡초들인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여뀌바늘은 이앙시기에 관계없이 9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강피는 7월15일 이앙(평균온도 $27.9^{\circ}C$)한 논에서 방제효과가 다른 이앙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73% 방제효과를 보였다. 다년생 잡초 올방개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약효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공기상실에서 조사된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한 대기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제초제에 대한 벼의 약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논에서는 우점잡초 변화가 예상되고, 일년생 잡초들 중에서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는 온도상승으로 제초제 약효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강피는 약 $27^{\circ}C$에서 방제효과가 저조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totoxicity of main rice varieties and control efficacy of HPPD inhibitor to major paddy weeds at the time of temperature rise due to climate change. Phytotoxicity of herbicide to rice was increased as temperature was increased, and more severe in root than shoot. The phytotoxicity of japonica rice cultivars for the rice were mild enough to recover. However, glutinous rice, super high yield rice, and Tongil rice varieties were damaged enough to decrease the yield. Shindongjinbyeo transplanted by June 15, showed phytotoxicity enough to recover. However, in the rice field on June 30 and on July 15, the rice showed a remarkable inhibition. The control effect of Monochoria vaginalis and Scirpus juncoides was more than 90% under the temperature condition controlled artificially. However, Echinochloa oryzicola was controlled 40% at $27.5^{\circ}C$, which is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In rice fields with different transplanting times, annual weeds except for E. oryzicola were highly controlled by 90% or more regardless of the time of transplanting.

      • KCI등재

        간척지에서 파종량 및 질소 시비량에 따른 사료용 피의 생육특성과 사료 수량

        황재복,박태선,박홍규,김학신,최인배,배희수,Hwang, Jae-Bok,Park, Tae-Sun,Park, Hong-Kyu,Kim, Hak-Sin,Choi, In-Bae,Bae, Hee-Soo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2

        사료용 피 직파재배시 적정 파종량 시험에서 입모수는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많았으며, 입모율은 41-42% 정도였다. 경수도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많았고, 초장은 파종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나 $50kg\;ha^{-1}$에서는 감소하였다. 파종량이 많았던 $50kg\;ha^{-1}$에서 도복지수가 3이었다. 건물중은 파종량 $40kg\;ha^{-1}$에서 가장 높았고, TDN 생산량은 파종량이 적을수록 높았다. 수량반응 곡선상 $36kg\;ha^{-1}$에서 최대수량 건물수량이 추정되었다. 변화 상태의 회귀식은 $Y=0.0098X^2+0.7030X+2.6267$으로 표시되었다. 출수기는 파종량이 많을수록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사료용 피 직파 재배시 질소질 비료 $150-250kg\;ha^{-1}$ 시비에서 건초 수량의 차이는 없었으나, 무시용 대비 건초 수량은 200 및 $250kg\;ha^{-1}$ 시비에서 16.6톤 $ha^{-1}$ 및 16.9톤 $ha^{-1}$로 43% 및 45% 정도 높았다. 조단백질 수량(CP)은 건물수량과 비슷한 경향으로 무질소구에서 0.28톤 $ha^{-1}$이었던 것이 질소 $250kg\;ha^{-1}$ 시비구에서 0.54톤 $ha^{-1}$ 이었다.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moderate season culture of each of early, medium and late maturing varieties which were considered to be of strong salt tolerance in low and high salty reclaimed areas (0.2% at the Ma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per nitrogen fertilizer level and seeding rates at reclaimed saline land in Korea. The proper seeding rates were $40kg\;ha^{-1}$ in 0.2% saline land. The dry matter production of barnyard millet was possibly estimated by exponential functions of $Y=0.0098X^2+0.7030X+2.6267$. Effects of nitrogen rat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barnyard millet to reclaimed tidal lan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oper nitrogen fertilizer level was $200kg\;ha^{-1}$ in 0.2% saline land. N was absorbed actively before the emergence of the barnyard millet but showed relative decrease thereafter. The early growth of the barnyard millet was inhibited, resulting in the favorable late growth, increased panicle weight and ratio of matured gra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rnyard millet is the most forage crops for cultivation on reclaimed tideland in view of the good emergence and forage production.

      • 미세침 흡인 세포검사 후 발생한 양측 갑상선내 출혈에서 갑상선 절제술을 하지 않고 압박 지혈술로 회복된 증례

        백초옥 ( Cho Ok Baek ),장지원 ( Ji Won Jang ),국민하 ( Min Ha Kook ),김인재 ( In Jae Kim ),유경보 ( Kyung Bo Yoo ),조인진 ( In Jin Cho ),임진한 ( Jin Han Lim ),이영선 ( Young Sun Lee ),백홍선 ( Tae Sun Park ),박태선 ( Hong Sun Bae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1 全北醫大論文集 Vol.35 No.2

        Fine needle aspiration (FNA) procedure for thyroid nodule evaluation is considered to be safe and easy to perform, however serious complication such as intrathyroidal hemorrhage causing airway compression can be occurred. Massive hemorrhage compromised airway problem leads to unexpected results including total thyroidectomy. Prior to operation, careful decision for necessity of thyroidectomy and tight compression around bleeding site should be performed. In this case, we present the patient who resolved completely from massive intrathyroidal hemorrhage without thyroidectomy and implicate the importance of manual compression on the bleeding site after FNA before decision of operation.

      •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관합병증과 Lipoprotein(a)와의 관계

        김현각,박지현,류완희,박태선,백홍선 대한당뇨병학회 2001 임상당뇨병 Vol.2 No.2

        연구배경: Lipoprotein(a) [Lp(a)]는 LDL-콜레스테롤과 크기와 지질 구성이 유사하지만 표면에 apo B100와 disulfide 결합을 하고있는 apo(a)라는 당단백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혈장 성분은 심혈관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 당뇨병이 없는 일반 환자에서 경동맥 죽상동맥경화증과 만성 신장질환과의 관련도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죽상동맥경화증의 고 위험군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Lp(a)농도를 측정하고, 경동맥 내중막두께와 그 밖의 만성 합병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 환자는 1998년 3월부터 1999맨 12월까지 본원 내분비내과에 내원한 150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의 연령분포는 31세부터 77세까지, C-peptide 평균농도는 1.27pmol/㎖ 이었다. 고해상도 B-mode 초음파기기로 경동맥 내중막두께와 죽전을 측정하였고, two-site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이용하여 Lp(a)를 측정하였다. 결과: 혈장 Lp(a) 농도는 경동맥 내중막두께가 두꺼울수록 증가하였고(24.5±17.6, 22.8±20.2, 40.2±37.0 ㎎/㎗ respectively; p=O.003), 죽전이 있는 환자에서 증가되어 있었다(35.4±26.5, 24.8±17.5㎎/㎗, p=0.019). 미세혈관 합병증과의 관계를 보면 망막증이 있는 환자에서 Lp(a)가 증가해 있었고, 정상 단백뇨를 보이는 환자보다 미세 단백뇨와 거대 단백뇨를 보이는 환자에서 Lp(a)가 증가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Lp(a)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경동맥 죽상동맥경화증, 미세혈관 합병증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Lp(a)가 당뇨병의 혈관합병증에 미치는 작용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Lipoprotein(a) [Lp(a)] is a plasma particle, similar in size and lipid composition, to LDL, which, in addition to apo B1OO, contains a second glycoprotein, apo(a), which bears a strong resemblance to plasminogen. Many reports have indicated that Lp(a)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ischemic heart disease. Furthermore,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an association between elevated Lp(a) levels and carotid atherosclerosis and chronic renal insufficiency in nondiabetic subjects. Thu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p (a) level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and the other 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es subjects. Method: A total of 150 diabetic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ere examined. The carotid artery IMT and plaque formation were measured by high-resolution ultrasonograph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ertiles according to IMT values. Serum Lp (a) level was measured by two-side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Serum Lp (a) increased with increasing IMT (24.5±17.6, 22.8±20.2, 40.2±37.0 ㎎/㎗, respectively; p=0.003) and was higher in subject with carotid artery plaques than without carotid artery plaques (35.4±26.5, 24.8±17.5 ㎎/㎗, p=0.019). Furthermore, serum LP(a)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proteinuria and was higher in subject with retinopathy than without retinopathy. Conclusions : From our study, we suggest that Lp(a) level is associated with carotid atherosclerosis and microvascular diabetic complications in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Prospective studies will b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 of Lp(a) an the development of 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