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합된 이진화 구조를 가진 복합기용 1-Chip 영상처리 프로세서의 개발

        박창대,이을환,김재호,Park, Chang-Dae,Lee, Eul-Hwan,Kim, Jae-Ho 대한전자공학회 1999 電子工學會論文誌, S Vol.s36 No.11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복합기에 사용할 수 있는 고속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영상 처리 프로세스는 단일화 된 데이터 경로를 가진 이진화 알고리듬 아키텍쳐를 가진다. 외부 메모리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화소별 파이프라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쉐이딩 보정, 감마 보정, 자동이득조절과 같은 전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CCD와 CIS를 구동한다. 전처리된 데이터는 확대/축소 과정을 거치고 다양한 이진화 알고리듬에 의해 이진화된다. 내장된 이진화 알고리듬은 단순이진화, 고대역 통과 필터링, 디더링, 오차확산법, 임계값이동 오차확산법이다. 이들 알고리듬의 구현은 임계값 이동 오차확산법에 기반을 두고 동일한 동작을 하는 회로들을 공유하도록 데이터 경로를 설계하였다. 이 구조를 구현함에 의해 제어의 복잡도와 게이트 카운터를 줄일 수 있다. A high-speed image processor (HIP) is implemented for a high-speed multi-function peripheral. HIP has a binarization architecture with unified data path. It has the pixel-by-pixel pipelined processing to minimize size of the external memory. It performs pre-processing such as shading correction, automatic gain control (AGC), and gamma correction, and also drives external CCD or CIS modules. The pre-processed data can be enlarged or reduced. Various binarizatin algorithms can be processed in the unified archiecture. The embedded binarization algorithms are simple thresholding, high pass filtering, dithering, error diffusion, and thershold modulated error diffusion. These binarization algorithms are unified based on th threshold modulated error diffusion. The data path is designed to share the common functional block of the binarization algorithms. The complexity of the controls and the gate counts is greatly reduced with this novel architecture.

      • KCI등재

        한국의 경제성장, 전력소비, CO<sub>2</sub> 배출 및 외국인직접투자 유입 간 인과관계 분석

        박창대,김성원,박중구,Park, Chang-dae,Kim, Sung-won,Park, Jung-gu 한국에너지학회 2019 에너지공학 Vol.28 No.2

        본 논문은 한국을 대상으로 1976년부터 2014년까지 경제성장, 전력소비, $CO_2$ 배출과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 간 인과관계를 단위근 검정, 공적분 검정,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성장과 전력소비 간에는 장기적으로 양방향의 인과관계가 나타나, 상호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전력소비절약정책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CO_2$ 배출은 경제성장에 대한 단방향의 장 단기적인 인과관계와 전력소비에 대한 단방향의 장기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내, $CO_2$ 배출 감축정책이 경제성장과 전력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FDI 유입은 경제성장에 대해 단방향의 장기적인 인과관계를, 전력소비에 대해 단방향의 장 단기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내, FDI 유입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력소비비용에 기반을 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FDI 유입은 $CO_2$ 배출에 대해서는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서비스 산업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FDI의 특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네 변수 간 인과관계들을 고려할 때, 능동적인 전력수요관리를 위한 기술개발의 확대와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에너지로의 신중한 전환을 위한 정책 등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FDI 유치의 증대에 대응하여 에너지절약시설 투자 및 설치를 통해 전력소비 감축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causal relationships among gross domestic product(GDP), electricity consumption, carbon dioxide($CO_2$) emission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s(FDI) inflow of Korea over the period from 1976 to 2014, using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VECM). As the results, this article found (1) a long-run bi-directional causality between GDP and electricity consumption, which may imply a negative impact of electricity consumption-saving policy on economic growth, (2) uni-directional short- and long-run causalities running from $CO_2$ emission to GDP, and a uni-directional long-run causality running from $CO_2$ emission to electricity consumption, which can result in a negative impact of $CO_2$ emission reduction policy on economic growth and electricity consumption, (3) a uni-directional long-run causality running from FDI to GDP, and uni-directional short- and long-run causalities running from FDI to electricity consumption, which may result from relatively lower electricity prices than investing countries, (4) no causality between FDI and $CO_2$ emission, which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DI composed of service industries. Considering the abov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four variables, the policy implication needs to focus on the electricity demand management based on the relevant R&Ds, and on the gradual transition from fossil fuel- to renewable-energy. Adaptive policy to increase the FDI inflow is also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 폐열 이용 고효율 소용량 해수담수기의 설계와 실험

        박창대(Chang-Dae Park),임병주(Byung-Ju Lim),정경열(Kyung-Yul Chung)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0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4

        A seawater distiller using waste heat from a electric generator was designed with multiple-effect diffusion still. The proposed distiller consists of a series of closely spaced parallel partitions in contact with saline-soaked wicks. In the distiller,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processes are repeated to recycle the thermal energy to increase distillate productivit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distiller can produce at least 6.7 ㎏/day of distilled water only with one-effect still and is expected to produce 43 ㎏/day with ten-effect still. This amount of distillate is 4~16 times larger than the maximum daily productivity of the solar stills.

      • KCI등재

        저급 폐열 이용 히트파이프 해수담수기의 성능과 유용성

        박창대(Chang-Dae Park),정경열(Kyung-Yul Chung),타나카히로시(Hiroshi Tanaka) 대한기계학회 2013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7 No.1

        소형디젤 발전기의 배기가스는 양적 및 질적 수준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기에는 부족한 폐열원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기가스의 폐열을 히트파이프에 의해 회수하고 다중효용확산 증발에 의해 효율적으로 열을 이용하는 해수담수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증류기는 171℃의 배기가스에서 52 W 의 폐열을 회수할 수 있고, 이 회수 열량 중 약 85%가 약 70 g/h 의 담수를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열량으로 사용된다. 이 결과는 50cc, 4 행정 엔진을 가진 극소형 발전기의 폐열에 대하여 단효용 장치의 실험값이므로, 10 중효용으로 구성할 경우 약 500 g/h 의 성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본 증류기는 전기와 담수가 동시에 부족한 지역에서 실제 필요한 식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소용량 담수화장치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Exhaust gas from a small portable electric generator is simply exhausted to the surroundings because the capacity and quality of the waste heat of this gas is generally not sufficient to recover and utilize. We have proposed a seawater distiller utilizing the thermal energy of waste gas from an electric generator. The distiller recovers heat from the waste gas by means of a heat pipe and uses it effectively through a multiple-effect diffusion-type structure. We constructed an experimental apparatus with a vertical single-effect still having a 4-stroke 50 cc generator engine and found that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distillate productivity show good agreement with the theoretical predic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distiller can recover 52 W of waste heat from the gas at 171 ℃, and ~85% of the recovered heat can be utilized for distillation to produce 70 g/h of fresh water. This is equivalent to a productivity of 500 g/h in the case of a 10-effect still. Therefore, the proposed distiller should be useful in remote areas where electricity and water grids are inadequate.

      • KCI등재

        발전기 폐열 이용 소형 해수담수화장치 개발

        박창대(Chang-Dae Park),임병주(Byung-Ju Lim),Tanaka Hiroshi(Hiroshi Tanaka) 대한기계학회 2010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4 No.6

        도서지역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소형 발전기의 폐열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소용량 자급형 해수담수화 장치의 설계 자료와 성능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담수기는 조밀간격 수직형 평행평판이 복수단으로 구성된 다중효용방식으로서, 해수가 흐르는 윅(wick)이 부착되어 있다. 복수단의 평판에서 증발과 응축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므로 열에너지를 재이용하게 되어 담수생산량을 증가시킨다. 제안된 담수기의 성능실험 결과 5.6 ㎸A 발전기의 폐열이 담수화의 증발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1중 효용만으로 최소 6.7 ㎏/day의 담수를 생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10중 효용의 경우 약 35~44 ㎏/day를 기대할 수 있는 양으로서, 동일 전열면적의 태양열 증류기의 일일 최대 생산량보다 약 16~4배 많은 것이다. A seawater distiller, in which the waste heat from a portable electric generator was used, with a multiple-effect diffusion still was designed. The waste gas from small generators commonly used in islands has not yet been used because it has less thermal energy; however, this waste gas can be used as a heat source for small-capacity distillers and as an additional heat source for solar stills. The proposed distiller comprises a series of closely spaced parallel partitions that are placed in contact with saline-soaked wicks. In the distiller,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processes are repeated to recycle the thermal energy for increasing the distillate productivit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distiller with only one-effect still can produce at least 6.7 ㎏/day of distilled water; the proposed distiller with a ten-effect still is expected to produce 43 ㎏/day of distilled water. This amount of distillate is approximately four times the maximum daily productivity of the solar stills, as determined in outdoor exper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