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봉독약침(蜂毒藥鍼)의 항암효과(抗癌效果)에 대한 분자생물학적(分子生物學的) 연구(硏究)

        박찬열,서정철,최도영,안병철,Park, Chan-Yol,Seo, Jung-Chul,Choi, Do-Young,Ahn, Byoung-Choul 대한약침학회 2000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ol.3 No.1

        To study anti-cancer effect and molecular biological mechanism of bee venom for aqua-acupuncture, the effects of bee venom on cell viability and apoptosis were analyzed using MTT assay, tryphan blue assay, $[^3H]$thymidine release assay,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activity of caspase-3 protease activity assay. To explore whether anti-cancer effects of bee venom are associated with the transcriptional control of gene expression, quantitative RT-PCR analysis of apoptosis-related genes was performed.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TT assay demonstrated that cell viability was decreased by bee venom in a dose-dependant manner. 2. Significant induction of apoptosis was identified using tryphan blue assay, $[^3H]$thymidine release assay, and flow cytomet1 ric analysis of sub $G_1$ fraction. 3. In analysis of caspase-3 protease activity, the activity had increased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ant manner. 4. Quantitative RT-PCR analysis of the apoptosis-related genes showed that Bcl-2 and Bcl-$X_L$ were down-regulated whereas Bax was up-regulated by bee venom treatment.

      • KCI등재
      • 분산시스템에서 신뢰도를 고려한 태스크 할당 방법

        박찬열(Chan-Yeol Park),황종선(Chong-Sun Hwang),정순영(Soon-Young Jung),손진곤(Jin-Gon Shon) 한국정보과학회 199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이 논문은 분산시스템에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모듈의 중복을 허용하는 태스크 할당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기존의 태스크 할당 방법은 모듈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거나 또는 일률적으로 같은 수만큼씩 중복하여 할당하기 때문에 분산시스템의 결함허용이라는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거나 또는 성능을 극대화 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태스크를 구성하는 각 모듈에 대해 정량적인 신뢰도를 정의하였고 이것을 바탕으로 태스크를 구성하는 모든 모듈이 동일한 신뢰도를 유지하도록, 모듈의 비일률적 중복을 허용하는 태스크 할당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 분산 시스템 설계에서 신뢰도 향상을 위한 선택적 모듈 중복 기법

        박찬열(Chan-Yeol Park),이종민(JongMin Lee),정순영(Soon-Young Jung),황종선(Chong-Sun Hwang),손진곤(Jin Gon Shon) 한국정보과학회 1997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4 No.3

        분산 시스템을 설계할 때 필수적인 작업 중 하나가 태스크 할당이다. 태스크 할당 작업에서 태스크를 구성하는 모듈들은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중복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프로세서간 통신량과 신뢰도의 분석 모델을 제시하고, 그에 기반한 모듈 중복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이 기초로 하고 있는 것은, 하나의 태스크가 신뢰성 있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태스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모듈이 거의 같은 정도의 신뢰도를 유지하고 있어야 시스템에서의 수행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태스크의 각 모듈들은 서로 종속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하나의 태스크를 구성하고 있는 각 모듈들 중 어느 특정 모듈이 특별히 낮은 신뢰도를 갖는다면, 그 모듈로 인하여 태스크의 신뢰도가 낮아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제안하는 모듈 중복 기법에서는 제안하는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각 모듈의 신뢰도와 프로세서간 통신량을 계산하고, 각 모듈들이 적절한 신뢰도를 갖도록 중복시킴으로써 하나의 태스크를 구성하는 모듈들 중에 유난히 낮은 신뢰도를 갖는 모듈이 없이 적절한 수준의 신뢰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In the task alloca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works during a distributed system design, modules constituting a task may be replicated for enhancing reliability. In this paper, we present analysis models of interprocessor communications and reliability, and propose a module replication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models. The method is based on the following idea. In order to execute a task with high reliability, each module constituting the task must have a similar level of high reliability with others. That is, any module with especially low reliability makes the reliability of the task execution low, because every module which constitutes the task is dependent on each other. Our module replication method computes the reliability of each module and the amount of interprocessor communications using our analysis model. With the result of computation, each module may be replicated in order to have some proper level of reliability.

      • KCI등재
      • 이동 컴퓨팅 시스템에서 전순서를 이용하는 메시지 로깅 및 복귀 회복 기법

        박찬열(Chan Yeol Park),황종선(Chong Sun Hwang)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5 No.9

        이 논문에서는 이동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고장 허용을 위한 메시지 로깅 및 복귀 회복 기법을 제안한다. 최근의 무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분산 컴퓨팅 환경은 이동 호스트를 포함하는 환경으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만을 기반으로 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수행되는 고장 허용 기법을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이동 호스트들에게 똑같이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유선 네트워크 상의 프로세스들이 기존의 사용되는 메시지 로깅 및 복귀 회복 기법을 수정하지 않고 이용하도록 하면서, 이동 호스트들이 전체 시스템의 컴퓨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각 이동 호스트에 대한 고장 허용을 위한 정보를 MSS(Mobile Support Station) 에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낮은 무선 대역폭과 이동 호스트의 부족한 자원을 실제 컴퓨팅에만 사용하도록 한다. 이때 MSS에서는 자신의 셀에 속한 이동 호스트들에게 수신되는 메시지들을 인과적 순서가 유지되도록 전순서를 만들어 통합적으로 유지한다. 통합적으로 유지되는 메시지 수신 번호를 통해 다른 프로세스들에게 이 메시지들이 MSS에서 수행되는 하나의 프로세스를 위한 것처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복귀 회복 기법이 필요로 하는 프로세스 개수에 따라 달라지는 정보들은 MH의 개수와 무관하게 고정된 프로세스 개수로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ssage loggmg and rollback recovery algorithm in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with mobile hosts. By virtue of recent prevalent wireless techniques, established distributed systems on static network are evolved into one with mobile hosts(MHs). However, it is not reasonable to apply the fault-tolerant techniques for static distributed systems without modification to mobile computing systems With our technique, MHs can participate in computations without modifying the underlying methods on static distributed system. In our algorithms, recovery information for mobile hosts is maintained at MSS(Mobile Support Station), so the low resources of MH and low bandwidth of wireless channel can be used for real computation. MSS assigns the totally-ordered receive sequence numbers to messages of all MHs which currently reside in its cell. With respect to recovery, MHs in the cell whose received messages are totally-ordered can be viewed as one process using this integrated totally-ordered message number. Therefore, the required number of informations for rollback recovery which are dependent on the number of processes in the entire system can be fixed.

      • KCI등재

        생태통로와 주변도로에서 야생조류의 이동 비교

        박찬열 ( Chan Ryul Park ),이장호 ( Jang Ho Lee ),강완모 ( Wan Mo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5

        야생동물 이동을 위해 설치된 ``생태통로``를 야생조류가 선택적으로 이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호암1터널, 까치산근린공원, 덕릉고개 등 육교형 생태통로에서 ``생태통로``와 ``주변도로``를 이동하는 야생조류를 2006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3개 지역 중 까치산 근린공원, 덕릉고개 등 능선에 위치한 생태통로에서 야생조류는 생태통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지 않았으나, 사면에 위치한 호암1터널에서 야생조류는 생태통로를 유의하게 높게 이용하였다. 생태통로의 폭이 90m 이상이거나 사면에 위치할 경우, 야생조류의 이동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통로를 이용한 야생조류의 종 구성 측면에서, 관목층 둥지 조류는 2m 이하의 관목층 엽층량과 상관성이 있었고, 수관층 둥지 조류는 7~8m 엽층량과 상관성이 높았다.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생태통로는 대상지 입지 여건에 따라 목표종을 선정해야 하지만, 서울시의 경우 붉은머리오목눈이 등 관목층 조류를 대상종으로 선정하고, 다양한 야생조류의 이동을 위해서는 사면지역에 약 1ha 크기(폭 90m 이상) 생태통로에 2m 이하의 관목층과 8m 이상의 수관층 피도량을 높여주는 산림환경구조를 조성해주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We recorded the movement of wildbirds nine times at Hoam 1st Tunnel, Kkachisan Park, Deungneung pass to compare the movement between eco-corridor and neighboring crossing road from June to September, 2006 . Among three areas, birds did not prefer the eco-corridor at pass type such as Kkachisan Park and Deungneung pass, however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high at the eco-corridor at Hoam 1st Tunnel. Over 90m width and the slope location of eco-corridors can be beneficial for wild birds to enhance the movement along eco-corridors between isolated two patches. Average foliage volume under two meters showed the relation with bush nesters, and that from 7 to 8m ha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canopy nesters. In Seoul city, target species should be considered at the construction of eco-corridors according to site characteristics, but Paradoxornis webbianus could be suggested as a main target species at eco-corridors. To enhance the movement of diverse wildbirds, we would implement that eco-corridors could be located at the slope area with the size of 1ha (over 90m width), eco-corridors could be planted and managed with the high foliage volume of shrub layer under two meters and canopy layer over 8 meters.

      • KCI등재

        제주시험림 한남 지역의 조류 군집 특성

        박찬열 ( Chan Ryul Park ),김은미 ( Eun Mi Kim ),강창완 ( Chang Wan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6

        본 연구는 제주시험림 한남지역에서 2006년 1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매월 3일 연속으로 11개월 동안 선조사법에 의한 2개 지역과 정점조사법에 의한 5개 지역을 정하여 이동성, 둥지 길드, 출현비율의 군집 분석을 통하여 조류 군집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총 58종의 조류를 확인하였으며, 조류를 이동성(migration habit)에 따라 나누면, 텃새 24종, 여름철새 8종, 겨울철새 10종, 나그네새 16종이었다. 대개 육지에서는 여름철새의 종 수가 높지만, 조사지역에서 나그네새 종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별 출현종의 관찰비율을 군집 분석한 결과, 11월부터 2월의 모둠, 3월~7월의 모둠으로 나누어져 계절성을 보였으나, 월별 종 수 변화는 육지에서 나타나는 계절 변동이 없었다. 번식기와 비번식기에 종 구성은 변화하지만, 전체 종수는 계절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나그네새 등 이동성 조류가 제주시 험림을 다수 방문하는 것을 나타낸다. 산림성 조류에게 둥지를 제공하는 딱따구리류는 본 조사지에서는 큰오색딱다구 리 1종으로 육지의 5종과 차이를 나타낸다. 둥지 길드는 덤불 및 지면에서 둥지를 튼 새는 9종, 숲지붕층 8종, 나무구멍 7종, 인가에서 번식하는 1종이 기록되었다. 조사지에서 큰오색딱다구리는 박새류, 흰눈썹황금새, 호반새의 둥지를 제공하는 핵심종(keystone species)으로서 이 종을 보호하기 위한 산림시업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migration, nesting guild,ordination analysis of observed frequency of birds at Jeju Experimental Forests (JEFs) from November 2006 to September 2007 with surveys of two areas by line transect methods and point-count methods at five areas for three consecutive days in each month. Among observed 58 specie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24 residents, 9 summer visitors, 9 winter visitors and 16 passage migrants according to migration habit. In species composition, passage migrants are dominant birds at study areas whereas summer and winter visitors are most dominant birds at mainland`s forests. We could divide two groups of bird community in the view of monthly species composition, one is November to February group, the other March to July group by ordination analysis. Number of species did not show seasonal fluctuation which is common pattern of bird community in mainland. This pattern reflects that species composition can change during breeding and non-breeding periods, but overall number of species did not change. This can be related with the high use of passage migrants at study area, also suggests that the JEFs can be highly utilized as stopover sites during migration. At mainland``s forests, we can observe about five species of woodpeckers, however we just observed the only one species of White-backed Woodpeckers (Dendrocopos leucotos) at study areas. In the view of nesting guild, breeding birds can be grouped into the 9 bush-& ground nesters, 8 canopy nesters, 7 hole nesters and one house nesters. Among hole nesters, we can observe only one species of primary cavity nesters White-backed woodpecker, and the five secondary cavity nesters, that is three species of tits, tricolor flycatchers (Ficedula zanthopygia) and ruddy kingfishers (Halcyon coromanda). Therefore, White-backed woodpeckers can be regarded as a keystone species and forest practice should consider the careful conservation of this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