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덕 판단에 있어서의 상상력의 위상에 대한 연구

        박진환 ( Jin Whan Park ),박문정 ( Moon Jeong Par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7

        이 논문에서는 도덕 판단에 있어서의 상상력이 갖는 위상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이성중심의 도덕 판단에 있어서 상상력이 차지하는 위치는 극히 제한적이었다. "너의 도덕규칙이 언제나 보편타당하게 행동하라"는 타당성의 원리에 입각한 도덕 판단이 오랫동안 가장 강력한 공식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 공식은 그 판단의 주체를 개인에게 둠으로써 유태인 학살도 정당화된다는 한계를 보여 주었다. 도덕 판단에 대한 이성 중심적 접근은 또한 감정의 측면을 소홀하게 다루면서 상상력의 역할을 축소시켰으며 결과적으로 도덕 판단의 적절성에 의문을 갖게 한다. 이성 중심의 접근은 이미 한계를 갖는 보편적 도덕규칙이 자율이란 이름으로 분식되어 인간을 억압하는 도구가 됨으로써 도덕적 행위들을 수동적으로 변화시키거나, 지켜야할 도덕 규칙의 적절성을 상실케 하여 아크라시아 현상을 만연하게 한다. 단순화된 규칙에 매몰되어 감정의 개입이 없는 고기능 자폐증적 도덕 판단이 아니라, 시시각각 변하는 상황에 따라 인간 본성에 거스르지 않으면서 타자와 자연스레 조화를 이루는 자연스럽고 자율적이며 능동적인 도덕 판단을 위해서는 도덕적 상상력의 위상을 다시 검토해야한다. 이 같은 노력을 통해 창조적인 전인격적 자율성을 갖는 인간교육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상상력의 개념과 기제를 살펴보고, 상상력과 도덕 판단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상상력의 실천적 기능과 성찰의 기제를 다루고 있다. This study is about the status of imagination in moral judgment. Before I wrote this article, I wonder what imagination is, how it processes, and how it effects on moral judgement. So I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imagination and its processes in various views. When agent should act morally under the universal principles, it is considered. that imagination is inferior to reason. But it leads moral akrasia. So we focus on emotion. But we can`t reach the harmony of imagination and reason because it is another stereotype. Imagination has an ability to integrate reason with emotion. Moral imagination is to imagine other`s context, share emotions of others, imagine new possibility and imagine conceivable outcomes. As a result, we can`t reach a good moral inference and moral judgement without imagination.

      • KCI등재

        가드너의 실천추리 모형을 활용한 도덕 판단 교육

        박진환 ( Jin Whan Park ),신원우 ( Weon Woo Shi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8

        본 논문은 Susan T. Gardner의 저서(Thinking your way to freedom)에 나타난 그의 실천추리의 평가 방법을 도덕 판단 교육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도덕교육의 최상 목표는 자율적 인간이며, 자율의 상태에 이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실천추리를 제시하고 있다. 가드너가 제시한 실천추리는 가치의 문제·행동의 문제와 관련된 논증으로, 연역법의 형식을 취하고는 있다. 그녀는 강한 추리는 두 단계의 정당화 과정을 통하여 가장 합당하면서도 약점이 적은 논증을 도출해 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과정에서 결론은 잠정적인 진리로 받아들여 행위의 지침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연역추리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유형의 추리 형식이다. 실천추리는 대화와 토론 중에 주장하는 바와 그에 따른 숨은 전제를 찾아 논증 형식으로 구성하게 되며, 이렇게 만들어진 실천추리에 대한 평가는 두 단계의 반증 과정 즉, 지역적 정당화와 지구적 정당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지역적 정당화는 한 논증 내에서 이루어지는 검사로서, 형식적 오류, 비형식적 오류, 반례 제시 등을 통하여 약한 논증을 제거 하는 과정이며, 지구적 정당화는 경합하는 두 개 이상의 논증과 논증들을 서로 비교하여, 약점이 많고, 합당성이 결여된 논증을 제거하고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논증을 잠정적인 진리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가드너의 실천추리는 우리 중학교 도덕과 과정에 적용된 도덕추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합당한 도덕 판단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덕 교육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treatise is a study of educational paradigm related to Susan T. Gardner`s Practical Reasoning that is shown in 『Thinking your way to freedom』. The highest goal in education that Gardner thinks, is autonomy and the best way to effectively establish the state of autonomy that is through practical reasoning. Practical reasoning is the reasoning related to value judgment and practice. It can be formulated as a form of deductive reasoning. How can we make reasonable judgment? She suggested two step process to make reasonable judgment. In this process we could expect the judgment that has the highest rationality and the lowest weakness. There is no capital letter truth. All judgment can be accepted as a provisional truth and guides one`s future behavior. In this point, the practical reasoning does not correspond with deductive reasoning in strict sense. Practical reasoning is made of the thesis and the hidden premise that appears in a conversation and a discussion. Practical reasoning has inevitably a two step falsification process, i.e., local sufficiency and global sufficiency. Local sufficiency is the test of formal and informal faults or fallacies, falsification by the counter examples in a practical reasoning. But the global sufficiency is particularly important as, compared with each other among more than two parallel reasoning, through it, put asides a relatively weak option and a lack of rationality, takes the best option available under the circumstances as a provisional truth. The practical reasoning that Gardner proposes, as a form of higher order thinking skill, can make further development by Mattew Lipman`s self-correcting process. It guides students to make reasonable judgment by impartial thinking and bias neutralization process. The practical reasoning that Susan T. Gardner proposes, is too delicate to learn for students who have not higher order thinking abilities. Democratic values require high cost education. But if we want our students enjoy admirable future life, we should pay for it now.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윤리교육 교육과정의 방향

        박진환 ( Jin Whan Par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5 윤리교육연구 Vol.0 No.8

        윤리교육의 새로운 방향은 덕과 지 그리고 판단력을 어떻게 조화하는가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론적인 체계화와 아울러 교육자료 및 교수방법까지를 포함하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지금의 교육과정은 덕 교육 위주로 되어 있으나 이론적 체계화의 미비, 교과서 체제의 미비, 교수방법의 미비로 말미암아 중고등학교에서는 지식위주의 교육으로 흐를 수밖에 없었다. 먼저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지혜의 개념은 덕과 판단력이 어떻게 조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공하고 있으며 탐구공동체 학습은 덕과 판단력이 어떻게 교실 수업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지를 제시해준다. 윤리교육은 철학적 탐구만도 아니며 윤리적 지식획득만도 아니다. 덕의 실천과 반성적 숙고 그리고 윤리적 지식은 유기적인 관련성을 가져야 한다. What is the problems of ethics education? I think the main problems of it is not the objects but unsystematic curriculum structures. They are weakness of background theory, disharmony between educational objects and methodology or curriculum materials. Official objects of ethics education is character education. But we could not find appropriate relation between virtues education and moral judgment education. Moreover we could not find meaningful relation between methodology and objects. The concept of practical wisdom (Pronesis) could be useful for first problem and community of inquiry approach could be useful for second problem.

      • KCI등재후보

        인간 의식의 진보라는 역사적 관점에서 본 어린이 철학

        박진환 ( Jin Whan Park ),마샤냐 ( Marzena Parzych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5

        이 논문은 비판적 사고 운동과 어린이 철학 프로그램의 중요성에 대해서 좀 더 포괄적이며 새로운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비판적 사고 운동이 이 시대에 나타나게 된 이유를 설명하고 어린이 철학 프로그램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설명과 해석은 주로 인간의식의 진보적 본질이라는 맥락과 새로운 역사적 관점에서 이루어 진 것이다. 사실 옹호자와 반대자들은 다음의 중요한 세 가지 관점에서 이 운동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 1) 그들 모두는 이 운동의 본질을 충분히 평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인간의 삶에 있어서 이 운동이 가지고 있는 함축을 충분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2) 그들 모두는 이 운동이 역사적으로 왜 현시점에서 나타났는지에 대해서 충분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3) 교육자들과 공교육 관련자 모두는 이 운동이 인간의 삶에 있어서 얼마나 본질적이고 필요한 것인지를, 그리고 얼마나 혁신적인 것인지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Graves와 McIntosh가 제공한 인간 의식의 진보적 모델이라는 역사적 관점에서 어린이철학 프로그램의 참신성과 중요성, 그리고 결정적인 역할 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운동들의 참신함과 포괄적인 중요성은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1) 어린이철학프로그램은 아직까지 일반인들에게 남아있는 전통적 수준의 의식을 모더니스트적 의식의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가장 강력한 도구이다. 2) 그것은 이미 모더니스트적 수준에 있는 사람들이 사고기술을 제대로 배울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통해 이 단계의 사람들은 McIntosh가 제공하는 모델 중에서 포스트모더니즘적 수준, 통합적 의식의 수준, 그리고 후 통합적 의식의 수준으로 이동할 준비를 하게 된다. 이는 Graves의 모델에 의하면 그린, 옐로우, 그리고 터키 블루의 6,7,8단계에 해당한다. This paper will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Critical Thinking Movement and the Philosophy for Children Programme in a larger, more inclusive, and innovative perspective. The paper will explain why the Critical Thinking Movement appeared in our time and then offer a new interpret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hilosophy for Children Programme - with both seen in a novel historical perspective as well as in the context of the progressive nature of human consciousness. In fact, both advocates and opponents failed to understand the movement in three significant respects: 1) They lacked a full appreciation of the nature of the movement and failed to understand the full extent of its implications for human life; 2) They lacked sufficient understanding of why it emerged at this point in history; 3) The movement itself, educators at large, and the public in general, all failed to appreciate how essential and necessary the movement was and is, along with additional dawning innovations, for human life in the global age. At this point, it is essential to stress the novel importance and indispensable role of Philosophy for Children Programmes in light of the larger historical perspective afforded by both the Graves and McIntosh models of human progressive consciousness. This novel, enlarged role is twofold: 1) teaching for thinking now becomes a powerful tool of bringing the still remaining Traditional levels of consciousness in the world`s population to the level of Modernist consciousness, 2) while it also helps those who already operate on the Modernist level to master thinking skills to such a degree that they become ready to move to the subsequent levels of Post Modernist, Integral, and Post Integral Consciousness in the McIntosh Model or to the Green, Yellow, and Turquoise Colour Levels of 6,7, and 8 in the Graves Model.

      • KCI등재후보

        누스바움(Martha C. Nussbaum)의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도덕판단교육

        박진환 ( Jin Whan Park ),김순자 ( Soon Ja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6

        본 논문에서는 ``경탄할 만한 삶``을 위한 도덕판단교육이 문학텍스트를 통해서 가능하다는 논 리를 가정으로 하고 있다. 선험적인 진리관에 바탕한 객관주의적 지식관과 탈맥락주의에 입각한 도덕판단교육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구성주의적 지식관, 구체적인 실천을 강조하는 프래그머티즘, 다원주의적 관점을 포용하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입장을 수용할 수 있는 도덕판단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려 한다. 문학텍스트는 이 모든 요소를 반영하고 있다. 누스바움은 문학텍스트를 이용한 새로운 도덕판단교육이 어떻게 가능한 지를 보여 주려 시도하였다. 누스바움은 칸트주의, 공리주의, 합리적 선택이론 등 합리성(rationality)에 기초한 도덕 판단들의 한계를 지적하며 그것이 얼마나 우리의 구체적 실천적 삶과 동떨어져 있음을 증명하려 한다. 오히려 합당한 도덕 판단을 위해서는 감정과 구체적 상황 그리고 도덕적 상상력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thesis supposes the theory that the moral education for "admirable life" is possible by using a story. While indicating the limit of traditional rationality on the basis of the transcendental true view, this thesis emphasized rationality of life constructive and inter - logical connect. Essentially, this thesis studies on character of Nussbaum`s moral judgement education which focused on both moral emotion, language, imagination and logical connection which makes the rationality of perceptive equilibrium possible. While criticized the modern, rational choice theory and respected human`s emotion and logical connection in the view of postmodernism. Nussbaum devoted all his strength to the language on the basis of constructivism. Especially, while he emphasized our life by the perceptive effect on the basis of pragmatism, he develops the moral judgement education on the basis of life. Because we are able to imagine richly by using the literary text writings, the literary text writings shows our life very well by the logical connect and emotion, imagination and language. Therefore this thesis studies on Nussbaum`s character which emphasizes the moral judgement education by using the literary text writings.

      • KCI등재

        도덕,윤리과 교육에서의 통일 교육에 대한 성찰

        박진환 ( Jin Whan Par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3

        본고는 지금까지의 통일 교육을 역사적으로 성찰해 보고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통일교육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개념을 정의해보고 그러한 정의 하에서 어떤 과목에서 어떤 형태로 가르쳐져야 하는가를 살펴보려하였다. 도덕·윤리과에서 가르쳐 져야하는가 사회과에서 가르쳐져야하는가는 정의여하에 따라 달라진다. 통일 교육이 윤리 철학적 측면에서 다루어져야하는 이유는 그러한 공산주의철학이나 윤리관에 대한 정확한 인식 없이는 통일 정책이나 방안도 제대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일 교육은 사회현상을 다루는 사회과 보다는 윤리나 가치를 다루는 도덕·윤리과 교육에서 다루어져야한다. 통일교육이 도덕윤리과로 다루어질 때 독립교과로 다루어져야 하는가 그렇지 않은가의 논의는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논의로서 교육과정 철학과 관련된 문제이다. 이를 위해서 최근의 세계적 교육과정 개정 철학의 추이를 기준으로 삼았다. 그런 경향을 감안할 때 분단의 특수성과 상황의 중요성을 감안해보면 우리로서는 독립교과로 다루어져야 옳다. 통일교육의 반성을 위해서는 쉐플러의 기준에 따랐는데 방법 면에서 접근 면에서 전문성 면에서 많은 취약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방향에 대해서는 윤리학 중심이라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을 따라야 한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flecting on unification education historic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we define concept of unification education. According to such definition we try to figure out which subject is appropriate to teach and how to teach. There are still controversies between two subjects, ethics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If we define unification as empowering students to criticize communism and its strategies, subject must be ethics education because social studies only concern about social phenomena rather than focusing on moral or ethical problem. Another issue is if moral education subject should be independent one or not. It is relate to particularism and universalism because unification is particular reality in Korea. Universalist insist it cannot be independent subject because there are no nation in the world. We would like to apply recent trends of curriculum change. Post-modernism is one of the trend, so moral education including unification education could be independent subject. We also try to figure out critics of unification in historical viewpoint.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will be first reason of critic, but it comes from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s. We also looked for future of 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서 문학을 활용한 반편견,다문화교육

        박진환 ( Jin Whan Park ),류혜숙 ( Hye Suk Ry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20

        미래사회는 세계화, 정보화, 다원화 사회이다. 다양한 가치가 인정되는 미래 사회는 오늘날보다 많은 갈등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존중하는 자세를 지니게 하는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다문화 교육과 관련하여 도덕과 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를 관심 있게 다루어 보았다. 내용의 문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인식하고 문화적 편견을 해소하기위해 반편견교육, 편견해소교육이 필요함을 다루었다. 편견해소교육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여기에서는 문학작품을 이용한 방법을 다루었다. 맥카티의 편견프로그램은 반편견/다문화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문학을 활용한 도덕교육이 정서적 측면에 호소함으로서 학생들의 도덕 발달에 기여하는 바를 살펴보았다. 구체적 수업사례로서 소설 『앵무새 죽이기』를 활용하였다. 이것은 학생들의 도덕적 상상력을 촉진시키고 도덕적인 성장을 도와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는데 효과적인 것이다. In the future society will be globalized, be information-oriented and have multiplied. More conflicts will exist due to various types of accepted values. To solve this problem global citizens must be taught to respect other cultures and values. This thesis focuses on what and how to teach in moral education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future society. To begin with,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diverse and the main topics should be unbiased and multicultural. This will teach people to understand diverse cultural values and solve cultural biases. Marietta McCarty`s bias program will be introduced as a method of teaching instruction. The moral development of students under the practice of such programs is further discussed in this thesis. Above all, using Harper Lee`s To Kill a Mockingbird for unbiased and multicultural education helps in improving students` moral imagination and maturity. This ultimately prepares students to be qualified global citize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