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도의 법문제

        박정연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017 행정법연구 Vol.- No.51

        Although the social service voucher system has been introduced for more than 10 years, the legal analysis of social service vouchers and the legal relationship of social service contracts have not been conducted properly. This article seek to derive the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through the public law theory, the judicial theory and the current law system. First, does the individual voucher service users have a legal right for the voucher? If so, what is the nature of the right and can it be recognized as property right? It’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social service in detail because social services have become blurred by the mixing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 in the service delivery system. However, it is a separate right granted on the basis of the right to social service entitlement, which is distinct from subsidy. In addition, social service vouchers do not conform to the conceptual elements of the property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allow them to be recognized as property rights in the future if considering the various forms of vouchers and the conditions of self-pay and prepayment. Secon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ocial service contract, did the administration take over the service user’s payment obligation through the issuance of a voucher? Or is it a kind of "legal" merchandise coupons? There is no contractual basis for debt acquisi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administrators, nor can it be treated as 'legal' merchandise coupons under current systems where distribution is strictly prohibited. However, it is possible to interpret it’s legal relationship based on structural similarity. Third, is it reasonable and appropriate to regard the provider of voucher service as a person entrusted public affairs in relation to the public character of social services? This is largely inadequate in terms of national liability, the possibility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the legitimacy of public regulation of service providers. 사회서비스 바우처제도가 도입된 지 10년이 지난 지금까지 사회서비스 바우처에 대한 공법적 분석은 물론, 사회서비스 이용계약관계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이 글은 다음의 의문에 대하여 공사법 이론과 현행 법제 및 관련 제도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그 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사회서비스 급여로서 발급된 사회서비스 바우처는 그 자체로 권리성이 인정되는가? 그렇다면 그 성격은 무엇이며, 재산권으로까지 인정할 수 있겠는가? 사회서비스는 서비스 전달체계에서 민간의 역할을 예정함으로써 국가의 사회서비스에 관한 책임의 내용과 정도가 모호해지고 사회서비스 수급권의 실체를 파악하기 힘들게 된 면이 있지만, 공권인 사회서비스 수급권의 실현을 위해 주어진 별도의 권리로서 조성행정수단으로서의 보조금과 구별된다. 또한 헌법상 보장되는 재산권의 개념요소에는 명확히 부합하지 않지만, 다양한 방식의 바우처 출현과 본인부담금 및 선납조건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재산권으로서 인정될 여지가 있다. 둘째, 사회서비스 이용계약의 관점에서, 바우처 발급을 통해 장래에 서비스 이용자가 부담할 서비스 이용대금 지급채무를 행정주체가 인수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가? 아니면 이용권자는 용도가 한정된 일종의 상품권을 지급받은 것인가? 서비스 제공자와 행정주체 간에 채무인수 계약에 관한 합의 등 계약적 기초를 확인할 수 없으며, 또한 유통성이 엄격히 금지되는 현행 제도 하에서 이를 상품권 지급과 같은 법률관계로 이해하기 어렵다. 다만, 그 구조적 유사성에 착안하여 바우처 법률관계를 해석할 수 있겠다. 셋째, 바우처 서비스 제공자를 행정주체와의 관계에서 공무수탁자의 지위에 있다고 보는 것이 과연 합리적이고 적절한 접근인가? 국가배상책임, 행정쟁송 가능성 및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공적 규제의 정당성 관점에서 이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Pedagogical implications of reading-writing practice on writing in L2.

        박정연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16 영어교육연구 Vol.28 No.4

        The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xtent to which the integration of reading–writing practicecontributes to writing improvement in L2. Eighty-four ESL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theU.S. participated. Th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A control group,following traditional writing instruction in a regular writing class, and a treatment group,incorporating reading-writing practice into a regular writing class. Across one academicsemester, while the control group mainly focused on writing instructions and practices, thetreatment group read books of their choice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and completedwriting practices connected to reading. For data analysis, timed essay tests were administered at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emester to assess writing improvements. The study found thatthose who regularly participated in reading-writing practices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overallwriting ability more than the students who only focused on writing practice. Word total alsoshowed that the treatment group produced many more words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writing is more beneficial to students’writing development than merely focusing on writing instructions limited to the textbook.

      • KCI등재

        피부미용서비스 산업 분야 평가인증 제도 도입에 대한 현장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박정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workers in skin beauty shop on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to develop the system as a part of measur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skin care service industry For the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n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in workers in skin beauty salons located in Gwangju City, and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awareness on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was 'experience of hearing of it but no knowledge' (n=129, 47.3%) and 43.6% of the subjects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for beauty salons. The most commonly reported reason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is needed was 'Improvement of worker quality' (n=40, 33.6%), and most commonly selected sentence on the willingness to apply for the system was '‘apply sufficient review of evaluation criteria a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standard ’ (n=108, 39.6%). Second, the most common request as a pre-requisite before introduction of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for beauty salon was found to be 'establishment of standard related to evaluation' (n=101, 37.0%). The most commonly selected desirable evaluation range of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for beauty salon was 'compulsory evaluation for all skin care salons' (n=145, 53.1%). The subjects selected 'to use as data to designate the winner of national incentive support for excellent certified salon' (n=105, 38.5%) as an appropriate usage of the evaluation result. And 101 subjects (37.9%) thought that the item that should be given the highest importance in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is ‘sanitation management’. These results show that workers in skin beauty salons have a positive awareness on the introduction of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tive discussion and promotion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to secure competitiveness of the skin care service industry. 본 연구는 피부미용서비스 산업 분야의 경쟁력 강화 일환으로 평가인증 제도 마련을 위해 피부미용샵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인식과평가인증제 도입 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이에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피부미용샵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피부미용서비스 산업 분야 평가인증 제도 인식을 알아보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은 ‘들어본 적 있지만잘 알지 못한다’ 129명(47.3%)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필요성은 전체 43.6%가 피부미용샵 평가인증제에 대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피부미용샵 평가인증제가 필요한 이유는 ‘종사자의 질적 향상’ 이 40명(33.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가인증제가 도입 시 신청 의사는 ‘평가기준에 대해 충분한검토 후 기준에 맞춰 보강하여 신청 하겠다’가 108명(39.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음은 피부미용샵 평가인증제 운영방안에 관한 요구에서 피부미용샵 평가인증제 도입 전 이루어져야 할 사항은 ‘평가와 관련된 기준 정립’이 101명(37.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부미용샵 평가인증제의 효율적인 평가범위는 ‘전체 피부미용샵 의무적으로 실시’가 145명(53.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피부미용샵 평가인증제 결과의 적절한 활용방안은 ‘우수 인증업소에 대한 국가적 인센티브 지원 근거자료로활용’이 105명(38.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평가인증제 도입 시 가장 중요하게 평가되어야 할 부분은‘위생관리’가 101명(37.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피부미용샵 종사들의 평가인증 제도 도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피부미용서비스 산업 분야의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 평가인증 제도가 마련을 위한 정책적인활발한 논의와 추진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 KCI등재

        피부미용 전공 교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이 학습자의 문제해결 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정연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3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earning effect of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in esthetic major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strengthen competitiveness in esthetic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educational effect analysis by applying PBL classes to 15 students taking oriental therapy, a esthetic major course opened at H University. As a result, the average value of learner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operative self-efficacy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PBL classes, and the effectiveness of PB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as confirmed, suggest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increase learner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operative self-efficacy in the field of esthetic. 본 연구는 대학의 피부미용 전공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에 따른 학습효과를 알아보고, 피부미용 교육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H대학교에 개설된 피부미용 전공 교과목인 “동양요법” 수강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PBL 수업을 적용하여 실증적 교육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PBL 수업을 참여한 후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평균값이 상승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PBL 교수학습법의 효과성이 확인되어 피부미용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상승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의료기기 진입규제의 변화: 공법적 정당화 논거와 규제 방향성

        박정연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叢 Vol.46 No.-

        As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3D printing technology, patient-specific precision medical care, big data-based healthca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applied to medical devices, significant changes are being made in medical device regulations. Regulatory authorities continue to improve existing medical device regulations to ensure patient choice and promote new industry developments following technological innovation. However, there is anxiety about whether a series of medical device regulation improvement policies are being progressed based on the principle or limit theory.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medical device entry regulations by type, finds the justification from the public view, and suggests the direction for regulatory improvement. Under current law, entry restrictions on medical devices are made through licensing procedures through GMP audits, technical documentation reviews, and clinical trial requirements, as well as new medical technology assessments and health insurance coverage determination procedures. Within this basic structure, various aspects of regulatory changes in medical devices can be classified into low-risk digital healthcare devices, in vitro diagnostic medical devices and newly developed medical devices. In order for current medical device regulatory legislation to be constitutionally justified and improved in the desired direction, individual regulatory legislation and regulatory administration must comply with the proportional principle. In addition, even with high public interest mitigation of entry restrictions, the original regulatory objective of ensuring safety should not be retreated. Furthermore, sufficient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for consumers to accept the residual risks after risk management. In addition, in order to support industrial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roducts must be allowed to enter the market as soon as possible. To do this, regulatory standards must be clear and ensure that no regulatory implications make it impossible to enter the market. 3D 프린팅 기술, 환자맞춤형 정밀의료, 빅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인공지능 등 혁신적 기술이 의료기기 분야에 도입되면서, 의료기기 규제에 있어서도 괄목할만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 글은 의료기기 진입규제의 변화 모습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후, 공법적인 시각에서 정당화 근거를 찾고 규제 개선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현행법상 의료기기에 대한 진입규제는 GMP심사, 기술문서심사 및 임상시험 요건 등을 통한 인허가 절차와 신의료기술평가 및 건강보험 수가 결정 절차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본 구조 속에서 의료기기 규제변화의 다양한 모습은 저위해도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 체외진단의료기기, 신개발·혁신 의료기기 등에 대한 규제로 구분하여 검토할 수 있다. 지금의 의료기기 진입규제 변화가 헌법적으로 정당화되고 앞으로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되려면, 규제 입법과 행정이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른 원칙에 부합해야 한다. 또한 생명권 보호라는 긴절한 공익적 요청에 따라 진입규제를 완화함에 있어서도 안전성 확보라는 본래의 규제 목적이 후퇴해서는 안된다. 나아가 위험관리 체계를 통해서도 잔존하는 위험에 대해 소비자가 수인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위험성 평가와 지속적인 정보제공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산업발전과 기술혁신을 위해서는 제품이 신속히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하는바, 규제기준을 명확히 하고 관련 규제불비로 인해 시장진입이 불가능한 이른바 (행정)입법부작위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