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형 포탄을 위한 탄도궤적 유지 유도법칙

        박우성(Woosung Park),유창경(Chang-Kyung Ryoo),김용호(Yongho Kim),김종주(Jongju Kim)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9 No.9

        이 논문에서는 포탄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새로운 유도기법을 제안한다. 미사일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례항법 유도기법은 몇 가지의 문제점 때문에 포탄에 적용하기는 힘들다. 비행 중 발생하는 시선각의 변화 때문에 탄착 오차가 없는 경우에도 가속도 명령을 생성하며, 가속도 명령에 의해 만들어지는 비행경로 또한 포탄에 적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적과 포탄의 탄착점 오차를 이용하여 유도 기법을 구성하였다. 기본 구성은 비례항법 유도기법과 유사하지만 시선각 변화 대신 경로 수정각을 사용한다. 경로 수정각은 현재 속도와 표적을 향하는 속도의 사이각이며 탄착점 오차로 추정할 수 있다. 탄착점 예측 속도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신경회로망을 사용하였으며 비례항법 유도기법 결과와 비교하여 이유도 기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guidance law for increasing the lethality of munitions. The well known PNG (Proportional Navigation Guidance) is inadequate for the munitions because of some weaknesses. Even if the munition does not have the impact point error, the acceleration command is non zero because the line-of-sight changes at all times in flight. Therefore, we use a difference between a target and an impact point. This proposed guidance law is similar to PNG in the form, but this guidance law concentrates a correction rate of flight path angle instead of the LOS (Line of Sight) rate. The correction of flight path angle is defined as the amount of impact point error. This impact point error can be calculated by neural networks rapidly. Finally, we show that the simulation results prove the suitability of this law.

      • KCI등재

        국가의 COVID-19 방역대책이 확진자 감소에 미치는 영향: 국가 패널데이터 분석

        박우성 ( Park Woosung ),민인식 ( Min Insik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1 사회보장연구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COVID-19에 대응하는 국가의 방역대책이 확진자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국가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별 방역대책 지수는 옥스퍼드 대학의 Coronavirus Government Response Tracker에서 발표하는 Stringency Index를 사용한다. 175개 국가의 방역대책 지수와 신규 확진자 수를 주별(week) 데이터로 변환하여 패널 회귀모형 추정에 사용한다. 패널 회귀모형에서는 국가이질성을 고정효과로 가정하고 방역대책 지수와 확진자 수의 관계를 이차함수 관계로 설정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현재 시점의 방역대책 지수는 2주 후 확진자 수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방역대책 지수는 어느 수준 이상에서만 확진자 감소 효과가 발생한다. 즉 역 U자형 관계로 추정된다. 셋째, 방역대책 지수 중 “학교 등교제약” 지수 증가는 확진자 감소와 유의한 인과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해석하면 COVID-19 방역대책은 어느 나라에서든 평균적으로 신규 확진자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방역대책 지수가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할 때만 그러한 감소 효과로 이어진다고 해석해야 한다. 국가 패널데이터에서 추론된 결과는 우리나라 방역대책과 그 기대적 효과에도 정책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rantine measures on COVID-19 and new confirmed cases using country-level panel data. The Stringency Index published on Oxford University’s Coronavirus Government Response Tracker is a proxy of the containment measures in each country. The Stringency Index’s weekly frequency data and the number of new confirmed cases for 175 countries are employed in our empirical analysis. We propose a linear panel regression controlling country-specific heterogeneity. The functional form between the two variables of interest is set as a quadratic function relationship.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ingency Index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new confirmed cases after two weeks. Second, the reduction effect of confirmed cases only occurs above a certain level of the Stringency Index. Third, the school closure index as one of the sub-indicators consisting of the Stringency Index has a significant causal effect on the decrease in confirmed cases. Based on the country-level panel data regression, we find that, on average, the enforcement of containment measures significantly leads to the reduction of confirmed cases in any country.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give policy implication to Korea’s containment measures on COVID-19 and their desired effects.

      • KCI등재
      • KCI등재

        위성 시스템 개념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박우성(Woosung Park),윤중섭(Joongsup Yun),유창경(Chang-Kyung Ryoo),최기영(Keeyoung Choi),김희섭(Hee-Seob Kim) 한국항공우주학회 2009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7 No.9

        본 논문에서는 위성의 개념설계와 교육목적에 활용할 수 있는 위성 시스템 개념설계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상용도구인 MATLAB, STK, Excel을 이용하여 구성되었다. MATLAB은 기본연산, GUI 구성, 엑셀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STK의 제어를 담당한다. AGI사에서 개발한 궤도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STK는 위성의 정밀 궤도정보의 산출을 담당한다. 마이크로소프사의 엑셀은 기존 위성들의 데이터베이스 와 본 개념설계 소프트웨어의 임시적 및 최종 결과의 저장장소로 사용된다. 위성의 개념설계는 위성의 대략적인 전력시스템과 질량계를 추정하는 것이다. 전력시스템 설계과정에서는 태양전지판과 배터리의 크기를 결정한다. 기존 위성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목표 위성의 부시스템의 질량 분할을 추정할 수 있다.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입증을 위해 아리랑 1호 및 2호에 대한 개념설계결과를 포함하였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satellite conceptual design software which can be used for outlining a new satellite as well as for educational purpose. This software consists of three commercial tools: MATLAB, STK(Satellite Tool Kit), and Excel. The management of the design software is done by MATLAB which provides basic calculations, GUI(Graphical User Interface), Excel data base management, and STK control. STK, an orbital simulation software developed by AGI, takes a part of obtaining accurate orbital information of a satellite. Excel, a product of Microsoft, is used for the data base of previous satellites and for the saving place of temporary and final results of the software. The conceptual design of a satellite is to roughly estimate power system and mass. In the power system design, the sizes of solar array and battery are determined. Based on the database of existing satellites, we can estimate the subsystems's mass fraction of a target satellite. Design examples for Kompsat 1 and 2 are suggested for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software.

      • KCI등재

        프랑스어의 서법 체계와 관련된 메타언어 연구 - ‘불확실성’의 조건법과 접속법을 중심으로

        박우성(PARK WOOSUNG)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9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70 No.-

        프랑스어는 크게 직설법, 조건법, 접속법의 3개의 법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인 학습자들에게는 이 중에서 조건법과 접속법을 구분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닌데, 그 이유는 주로 두 용법과 관련된 설명방식들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우선 확실성이나 개연성을 나타내는 직설법과 달리, 조건법과 접속법이 공통적으로 불확실성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흔히 접속법을 설명하는 ‘가능성’과 조건법을 설명하는 ‘가상적 내용’ 또는 ‘우발성’이라는 메타언어들도 그 차이를 분명히 보여주기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프랑스어의 법 체계를 설명하는 여러 메타언어들을 분석하여 교수법의 관점에서 우리 한국인 학습자들이 이 세 가지 용법을 구분하는 데 가장 적합한 메타언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이창동 영화의 여성성과 재현의 정치 비판

        박우성(Woosung, Par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0 씨네포럼 Vol.0 No.36

        본 연구의 목적은 이창동 영화가 여성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구성되는 여성성과 그것에 전제된 남성적 이데올로기의 정치성을 씨네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주목하는 것은 영화라는 매체의 재현 체계다. 분석 대상은 여성을 재현하기 위해 이창동 감독이 활용하는 영화언어의 양상과 그것이 선택, 배치, 배열되는 구체적 과정으로서의 영화적 실천과정이다. 영화미학과 영화사에 대한 우리의 지향점이 궁극적으로 미래를 향해 열려 있다고 할 때, 특정 과거의 지배적 인식체계에 따라 기울어진채 구성된 이창동 영화 혹은 그것의 권위는 현재의 변화된 관점에 따라 재구축될 수 있으며 재해석되어야 한다는 판단이다. 씨네페미니즘이라는 현재의 생산적 관점을 경유한 과거 정전의 다시 읽기 작업은 영화문화의 미래라는 측면에서 유효할 뿐만 아니라 시급하기 때문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창동 감독의 가장 최근 작품인 <버닝>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이로써 구체적이면서도 집중적인 논의가 가능해진다. 동시에 분석 과정에서 그 외의 이창동 영화를 적극적으로 교차시킨다. 이로써 본 연구의 문제의식을 <버닝>만이 아니라 이창동 영화 전체로 확장시킬 것이다. <버닝>은 내러티브의 절차나 이미지의 재현 모두에서 문제적인 여성성을 전제한다. 영화의 주요인물 중 하나인 해미라는 여성은 서사의 절차에 따라 이중으로 대상화된다. 그는 남성 대결을 위한 매개물 혹은 동기로 존재할 뿐이다. 동시에 카메라 시선에 포착될 때 그는 주체적 시선을 가지기보다는 일방적으로 관찰되는 관음의 대상으로 존재할 뿐이다. 그리하여 <버닝>에서 해미는 무지상태, 이중의 대상화, 미분화된 자연, 역사적 바깥의 형상으로 구체화된다. 이것은 차별적 성별화에 여성을 가두고 여성을 남성을 위한 향수의 대상으로 타자화하며 진정성이라는 외피로 사실상 여성을 역사에서 배제하는 관념이다. 여성을 비존재로 격하하는 남성중심적 젠더 정치학의 소산인 것이다. 본 연구는 이창동 영화의 성과 일체를 전적으로 부정하려는 시도가 아니며 이창동 감독 개인의 인신을 문제 삼는 시도는 더더욱 아니다. 대신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영화사를 넘어 세계영화사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는 이창동 영화라는 텍스트에서조차 여성 재현의 이슈에서 다분히 문제적인 성인지 감수성이 산적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한국영화 전체의 편향된 젠더 의식을 환기하려는 의도를 갖는다. Inspired by the perspective of cine-feminism, this thesis critically considers how Lee Changdong represents women in his films. In doing so,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struction of the representation in film media formats, and aim to examine the aspect of film language itself and the gender technology in which the specific process of selection, arrangement, and disposition of film language that Lee uses. For an effective progress of research, <Burning>, Lee"s most recent work, is the main subject that enables concentrated specific discourse. As the process of analyzing <Burning> constructively intersects the other films of Lee, critical consciousness of research is extended to entire Lee"s films. <Burning> prerequisite problematic femininity in both procedure of narratives and representation of images. Haemi, one of the main characters in the film, is repetitively objectified as a motivation or the energy for men"s competition. Her deprived independency is captured on Lee"s camera and she only exists as a subject of voyeuristic interest who is observed unilaterally. Lee"s gaze is also an aspect of Primitive Passions, which Rey Chow called. These problematic aspects detected in narratives and images are not only repeated in <Burning> but also throughout the whole films of Lee. After all, an ad hominem attack toward Lee is ne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the argument that the problematic gender sensitivity is emerged even in Lee"s films, which is globally recognized in film history, the ultimate intention of the thesis is to urgently arouse the constantly biased gender sensitivity throughout Korean films.

      • KCI등재
      • HILS를 이용한 HEV 버스용 HCU 검증에 대한 연구

        박우성(Woosung Park),함형진(Hyeongjin Ham),진기창(Kichang Jin),김현섭(Hyunsub Kim),이형철(Hyeongcheol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0 No.11

        The HEV commercial bus system is being developed recently as a parallel hybrid system. The objectives of HEV commercial bus system such as the performance of vehicle, fuel economy, and reduction of emission are dependent on the supervisory control unit, HCU. Therefore, test of control algorithm of HCU is the most important part in developing HEV systems. The test of control algorithm should be conducted on a vehicle system, not a separate component. The test could be possible by a chassis dynamometer but it requires much time and costs. To get over this difficulty, the paper presents Hardware In The Loop Simulator (HILS) of the HEV commercial bus system for testing HCU by using dSPACE® HIL hardware. HILS is the quick and effective test method for real-time instead of actual test and enables more flexible design scenarios for configuration of hybrid system. It is because HILS includes electrical emulation of sensors and actuators, acting as the interface between the plant model and the actual HCU. Therefor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embedded system, HILS guarantees the safety and the less development time and cost. In the past decades, a lot of researches with HILS are conducted on the dynamics projects such as brake, engine control unit, and turbocharger in automotive systems. In these literatures, however, very few of these can be found regarding test on the hybrid system with HIL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ew system test bench by HILS for the comprehensive test on the parallel HEV commercial bus system.

      • KCI등재

        표적 수정이 가능한 사용자 개입 통합 관리 모의 시스템 개발

        박우성(Woosung Park),오태원(TaeWon Oh),태현(TaeHyun Park),이용원(YongWon Lee),김기범(Kibum Kim),권기정(Kijeong Kwon) 한국항공우주학회 2017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5 No.7

        탐색기의 센서 영상을 이용하여 최종 표적에 대한 선정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할 수 있는 표적 관리 모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모의 시스템은 비행체 시스템과 지상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비행체 시스템은 비행체의 운동역학과 센서 영상을 모의하고 지상 시스템은 표적 템플릿 모의와 지상 제어기를 모의를 수행한다. 비행체의 운동역학은 의사 6자유도를 기반으로 비례항법유도기법을 사용한다. 탐색기의 센서 영상은 알려진 적외선 영상 렌더링 기법을 이용하여 직접 개발하였으며 상용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지상 제어기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임무에 관련된 정보를 가능한 많이 전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표적 격추 임무 모의를 통해 요구하는 성능에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We designed a target management integration system that enables us to select the final target manually or automatically from seeker’s sensor image. The integrated system was developed separately for the air vehicle system and the ground system. The air vehicle system simulates the motion dynamics and the sensor image of the air vehicle, and the ground system is composed of the target template image module and the ground control center module. The flight maneuver of the air vehicle is based on pseudo 6-degree of freedom motion equation and the proportional navigation guidance. The sensor image module was developed using the known infrared(IR) image rendering method, and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ndered image to that of a commercial software. The ground control center module includes an user interface that can display as much information to meet user needs. Finally, we verified the integrated system with simulated impact target mission of the air vehicle, by confirming the final target change and the shot down result of the user’s intervention.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지속 가능한 인재관리 전략

        박우성(Woosung Park),양재완(Jaewan Yang) 한국경영학회 2020 Korea Business Review Vol.24 No.신년 특별호

        4차산업혁명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그리고 인공지능(AI)의 도입 등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사람들의 일과 기업 경영을 완전히 새롭게 바꿀 것이라고 전망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전망은 기술적 혁신, 생산성 향상, 신사업 기회의 등장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또는 기계가 사람이 수행하는 일자리를 완전히 대체하는 것과 같은 부정적인 측면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도태되고 말 것이라는 절박함으로 앞 다투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려고 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인공지능의 도입이 기업에 가져올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재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기술과 인간노동 간의 관계를 대체적으로 볼 것인가 보완적으로 볼 것인가 하는 차원과 기업의 사업 전략이 활용전략인가 탐색전략인가 하는 두 가지 차원을 기초로 네 가지 유형의 인공지능 활용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활용전략에 상응하는 네 가지 인재전략의 유형을 정리한 후 인공지능 활용전략과 적합성(Fit)이 있는 인재전략이 기업 성과를 높일 것이라는 가설적 제안(Proposition)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인재전략은 이를 뒷받침하는 인사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각 인재전략별로 그에 적합한 인사 시스템을 채용, 교육훈련, 평가, 보상, 직무구조, 종업원 참여, AI와의 협업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인재전략과 인사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활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인적자원관리상의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introduc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em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is rapidly changing our society. Many experts on these topics expect that these changes will entirely transform the way in which we are doing business. These predictions include not only positive aspects such as technical developments, improvements in productivity, and emergence of new business opportunities but also negative aspects such as the replacement of human labor with AI or machine and human alienation. This manuscript aims to suggest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and systems to effectively deal with the adoption of AI in business organizations. To do this, we use the literature of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and two possible types of human-AI relationship (complementary versus conflictory) to suggest four possible AI adoption strategies for organizations to use. After that, we match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with the AI adoption strategies, suggesting four related propositions. We also describe distinctive HR(human resources) systems for the suggested HR strategies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and the extent to which human cooperate with AI. Finally, suggestion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HR digital transformation are giv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