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Kirchhoff 면을 이용한 홴소음 해석

        박용민,송우석,이승배,Park, Yong-Min,Song, Woo-Seog,Lee, Seung-Bae 대한기계학회 2003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7 No.6

        The BEM is a highly efficient method in the sense of economical computation. However, boundary integration is not easy for the complex geometry and moving surface, e.g. a rotating blade. Thus, Kirchhoff surface is designed in an effort to overcome the difficulty resulting from complex boundary conditions. A Kirchhoff surface is a fictitious surface which envelopes acoustic sources of main concern. Acoustic sources may be distributed on each Kirchhoff surface element according to their acoustic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an axial fan is assumed to have unsteady loading noise as a dominant source. Dipole sources can be modeled to solve the FW-H equation. Acoustic field is then computed by determining Kirchhoff surface on which near-field is implemented, to analyze the effect of Kirchhoff surface on it. The optimal shape and the location of Kirchhoff surface are discussed by comparing with experimental data acquired in an anechoic chamber.

      • KCI등재

        창작 목적 디지털 아카이브 콘텐츠 활용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 한국콘텐츠진흥원 컬처링(Culturing)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

        박용민,김양우,Park, Yong Min,Kim, Yang-woo 한국비블리아학회 202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1 No.1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에서 국가기록원 및 기록관의 기록정보콘텐츠에 대한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들은 다수 수행되었지만, 창작 목적 디지털 아카이브 콘텐츠 활용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조사는 수행 된 바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운영 중인 창작 목적 디지털 아카이브 '컬처링(Culturing)' 웹 사이트의 콘텐츠 활용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한 인식조사는 이용자들의 컬처링 사이트 콘텐츠들에 대한 관심 정도와 콘텐츠 유형 및 주제 분야별 예상 이용선호도와 예상 도움정도 등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설문데이터의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과 인식과 관련된 평균값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One way ANOVA를 사용하였으며, 동(同) 사항 및 인식과 관련된 명목 변수 항목들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즉, ① 카드스토리 등의 콘텐츠 유형 및 콘텐츠 내용의 전문성 제고를 포함한 정보 자료의 확충, ② 이용자 종사분야별 맞춤형(Customizing) 인터페이스 설계와 가독성 향상 및 모바일 플랫폼 전용 사이트 개발, ③ 대형 포털사이트와 창작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이트 홍보의 강화 등이다. A significant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user perceptions of archive and record contents for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and local record centers in the field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n Korea. Yet, there has not been such a research on the use of digital archive contents designed for contents creation.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user perceptions of the use of the contents on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s Culturing archive designed for creation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examining the user's degree of interests, the expected user preference of the use and the expected extent of help by the contents of the archive. For the analyses of the survey data, this study performed one-way ANOVA for the comparative analyses of the means related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ptions, along with cross-tabulation analyses for the association among the same items and nominal variables related to perceptions.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① to supplement the contents of the archive; ② to design customized interfaces and to enhance the readability; ③ to reinforce site PRs for large portal sites and creators' groups.

      • KCI등재후보

        조직 배양된 실험쥐 해마부위 신경원의 전기적 발작 손상에 대한 발열의 영향

        채수안(Soo Ahn Chae),박용민(Yong Min Park),유병훈(Byoung Hoon Yoo),김동욱(Dong Wook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2

        목 적 : 간질환자들은 고열 발생시 발작의 발현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간질상태의 뇌에서 고체온이 신경원의 과흥분성 및 손상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실험쥐 해마부위 조직배양을 이용하여 신경원의 발작 손상에 대한 발열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실험쥐 해마부위 조직배양을 aCSF의 온도를 39℃까지 단순히 상승시킨 단순 발열군과 aCSF 온도의 상승 없이 36℃에서 조직을 유지시킨 단순 비발열군으로 분류하여 발열이 정상 신경원에 손상을 유발시키는지의 여부와 처음에 36℃에서 stimulus train을 가한 후 aCSF의 온도를 39℃까지 상승시킨 후 2번째 stimulus train을 가한 발열 발작군과 2번째 stimulus train을 가할 시에도 온도를 36℃로 유지시킨 비발열 발작군에서 발열중의 발작과 비발열중의 발작시 신경원 손상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결 과 : 발열이 정상 신경원에 손상을 유발시키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단순 발열군과 단순 비발열군 간의 신경원 손상정도 비교에서 해마의 CA1과 CA3 부위 모두에서 실험 24, 48, 72시간 경과 후 두 군간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신경원 손상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발열증의 발작과 비발열증의 발작시 신경원 손상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발열 발작군과 비발열 발작군의 신경원 손상정도의 비교에서 해마의 CA1 부위이 션경원 손상정도는 AD 유발 후 24, 48, 72시간 경과 후 모두에서 발열 발작군이 비발열 발작군에 비하여 신경원 손상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많았고, CA3 부위의 신경원 손상 정도는 AD 유발 후 24시간과 48시간 경과 후에서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신경원 손상의 차이가 없었지만 72시간 경과 후에서는 발열 발작군이 비발열 발작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신경원 손상의 정도가 심하였다. 결 론 : 정상 뇌에서 단순 고체온은 신경원 손상을 유발시키지 않으나 간질상태의 뇌에서 고체온시의 발작은 정상체온에서의 발작시보다 신경원 손상을 심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것은 간질 상태의 뇌에서는 발열이 발작으로 인한 뇌손상에 상승 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간질 환자에서 발열 발생 시 신속하고도 적절한 처치가 발열로 인한 발작으로 초래될 수 있는 뇌 손상을 예방하는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Epileptic patients have a increasing tendency to develop seizure attack in high temperature. This finding suggests that high temperature may have an effect on neuronal hyperexcitability and injury of epileptic brain. Therefore, the influence of high temperature on normal and epileptic brain was studied in organotypic explant cultures of rat. Methods : Fourteen days-in-vitro cultures from 8 day-olf rat pups were perfused with standard aCSF bubbled with 95%/5% O/CO in a microchamber. Stimulus train(0.3 sec, 60 Hz) was applied to Schaffer collaterals in CA3 and extracellular field potential was recorded in the CA1 pyramidal layer. At 36℃ initially, AD was evoked. In high temperature(HT) group, the cultures were subjected to 39℃ for a period of 8 min before the second stimulus train was applied. They were then restored to 36℃ for 10 min. In normal temperature group,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36℃ for the second stimulus train. The cultures were returned to the incubator and observed serially for neuronal damage. Intensity of propidium iodide fluorescence indicative of neuronal injury was quantitated by digital image analysis. The cultures on the same insert that were not stimulated served as the unstimulated groups. Results :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neuronal damage between the unstimulated high-temperature(HT) and normal-temperature(NT) group. In CA1 sector, % damage(mean±SEM) was 0.42±0.20 vs 0.27±0.05 at 24 hrs(HT vs NT)group, n=16 each, P>0.05, Student t-test); 1.81±0.79 vs 1.43±0.27 at 48 hrs(P>0.05); 3.50±1.32 vs 3.35±0.56 at 72 hrs(P<0.05). In CA3 sector, % damage was 0.34±0.10 vs 0.20±0.03 at 24 hra(P>0.05); 0.99±0.20 vs 0.83±0.23 at 48 hrs(P>0.05); 2.00±0.38% vs 2.26±0.35% at 72 hrs(P>0.05). Neuronal damage on AD induced cultures during febrile setting(n=1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nonfebrile setting(n=16). In CA1 sector, % damage was 6.63±2.56 vs 0.92±0.45 at 24 hrs(febrile setting vs nonfebrile setting, P=0.036); 26.37±7.44 vs 4.99±2.23 at 48 hrs(P=0.010); 38.59±9.63 vs 6.48±2.30 at 72 hrs (P=0.003). In CA3 sector, % damage was 1.23±0.48 vs 3.91±2.37 at 24 hrs(P=0.277); 13.09±5.75 vs 5.93±3.27 at 48 hrs(P=0.288); 27.86±8.68 vs 7.54±3.74 at 72 hrs(P=0.04). Conclusion : At high temperature, seizures in epileptic brain may be more injurious than seizures in normal temperature.

      • 광대역 광투과율 향상을 위한 나노패턴이 성형된 PMMA 기판

        박용민(Yong Min Park),서영호(Young Ho Seo),김병희(Byeong Hee Kim) 한국생산제조학회 2011 한국생산제조시스템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1 No.4

        This paper present a method for improvement of transmittance in the broadband visible light by using irregularly nano-patterned PMMA substrate. To fabricate irregular nano-patterns on th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substrate, we used an anodic aluminum oxidation process and hot embossing process. Porous anodic aluminum oxide was used as a mold for replication of a nano-patterns on the single side and both side PMMA surface. Finally, the irregular nano-structured PMMA substrates were fabricated and their optical transmittances were measured to evaluate optical transmittance with respect to broadband visible light. The result of maximum optical transmittance was about 98% at the dual side patterned PMMA subst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