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근린공원에 대한 환경지각이 이용자의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박영,이우성,정성관,박경훈,Park, Young-Eun,Lee, Woo-Sung,Jung, Sung-Gwan,Park, Kyung-H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근린공원에 대한 이용자의 공원지각환경이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공원별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먼저 공원별 공원지각환경에서는 대부분의 공원이 집에서 공원까지의 거리와 집에서 공원까지의 길 환경이 높게 평가된 반면, 수공간과 공원 내 다양한 볼거리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23개의 지각환경 변수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경관성, 안락성, 접근성, 활동성, 편의성, 쾌적성의 6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토대로 건강증진인식과 지각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8개 공원 중 4개 공원에서 지각환경요인이 신체적 건강증진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접근성과 활동성이 3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또한, 심리적 건강증진인식의 경우, 8개 공원 중 5개 공원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이 4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기존의 공원 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공원을 조성하고자 할 때 효율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 in neighborhood parks on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This study used objective field survey data and subjective user survey data at 8 neighborhood parks in Changwo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erceptions of distance and street environment from home to park were evaluated highly but the perception of water spaces and various attractions within the parks were rated lowly in most of park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23 environmental perception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6 factors such as scenery, comfort, accessibility, activity, convenience and amenity. For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based on 6 factors, the recognition of physical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from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n 4 parks among 8 parks. 'Accessibility' and 'activity' were analyzed as the meaningful factors in 3 parks. Also, recognition of mental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from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n 5 parks among 8 parks and especially 'accessibility' was showed as the significant factor in 4 park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present parks and can be a basic data for new park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거주지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이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 -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대상으로 -

        이우성,정성관,박영,Lee, Woo-Sung,Jung, Sung-Gwan,Park, Young-E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6

        본 연구는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 유무에 따른 거주지 주변 환경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거주지 환경인식특성이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근린공원 및 유원지로 설정하였으며, 총 303명의 설문응답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총 16개의 물리적 환경인식 지표들 중 시장 및 상가시설의 접근성, 대중교통의 이용성, 공원 등 녹지공간의 접근성, 충분한 보도, 횡단해야 하는 도로의 수, 운동인구를 포함한 6개의 지표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을 이용할 확률은 공원 등 녹지공간의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2.326배, 주변에 운동하는 인구가 많을수록 1.701배, 횡단해야 하는 도로의 수가 적을수록 1.617배, 충분한 보도가 설치되어 있다고 인식할수록 1.642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거주지 주변에 이용 가능한 공원녹지를 확대하고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주거지와 공원을 연결하는 보행자 전용도로를 계획하는 등 보행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perception on park use for health. The study area is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city. The analysis results are based on questionnaires of 303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s of accessibility to a marketplace, availability of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to the park, enough sidewalks, number of crosswalks, and athletic population. The probability of park use increased by 2.326 times as the satisfaction of accessibility to the park increased. Also, greater athletic population, fewer crosswalks, and more sidewalks lead to increase of park use by 1.701, 1.617, and 1.642 times,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vailable neighborhood parks around residences and to develop exercise programs that people can use continuously in order to vitalize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Al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walking such as development of pedestrian streets or malls between residences and park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성장기 수컷 흰쥐에서 머위잎 첨가식이가 골대사 지표와 골밀도 및 골함량에 미치는 영향

        박영은(Young-Eun Park),최미자(Mi-Ja Choi) 한국차학회 2021 한국차학회지 Vol.27 No.2

        머위는 폴리페놀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특히 머위 잎에는 푸키놀릭산, 플라본 글리코시드, 페닐프로페놀 술폰산 등의 폴리페놀이 풍부하며 참취나 씀바귀에 비해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 무기질이 풍부하다. 이처럼 무기질과 기능성물질이 풍부하다고 알려진 머위는 옛날에는 새순은 말려서 달여 마셨고 최근에는 말린잎 외 티백 형태의 차로 판매되고 있다. 폴리페놀과 칼슘이 풍부하여 골대사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정되나 다량의 식이섬유는 칼슘흡수를 저해시키므로 골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머위가 골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성장기 수컷 흰쥐에서 6주간 10% 머위잎첨가식이를 섭취시켜 골대사 지표와 골밀도 및 골무기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Crosslinks value는 대조군에 비해 머위잎첨가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없었다. 척추 골밀도 및 골무기질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칼슘이 충분한 상태의 성장기수컷 쥐에서 칼슘과 폴리페놀이 풍부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머위잎 10% 첨가 식이는 골밀도와 골무기질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말린 머위잎을 그대로 섭취한 경우이며, 머위잎을 우려서 마시는 경우식이섬유의 섭취가 감소하게 되므로 머위 추출물이나 머위를 우려서 마시는 머위차가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Petasites japonicum leaf supplementation on the bone markers,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growing male rats. Sixteen Sprague-Dawley male rats (body weight 50 ± 10 g)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and P. japonicum leaf group. All rats were given deionized water and diet ad libitum for six weeks. The P. japonicum leaf was added to the AIN-93G at 100 g/kg diet. The BMD (bone mineral density) and BMC (bone mineral content) were measured using PIXImus (GE Lunar Co, Wisconsin). The calcium, phosphorus, alkaline phosphatase (ALP) levels in the serum and deoxypyridinoline (DPD), creatinine, and urinary crosslinks value were estimated. The data are presented as the means ± SDs, and significance was accepted at P<0.05.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9.3 (SAS Institute). The food intake,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were similar in the two diet groups. The serum calcium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were unaffected by the P. japonicum leaf diets. The serum ALP and urinary DPD, and creatinin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 japonicum leaf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P. japonicum leaf group had a lower crosslinks value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ine and femur BMD and BMC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of rats. P. japonicum leaf supplementation (10%) did not affect the bone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 KCI등재

        예브게니 옙뚜센꼬의 세계관에 구현된 "시베리아" 경험 공간의 의미장

        박영은 ( Young Eun Park ) 한국비교문학회 2011 比較文學 Vol.55 No.-

        Evgenii Evtushenko reflects his own modified family histories with those of Siberians to analyze the discarded and forgotten land of Siberia in Iagodnye mesta. In this respect,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focus on the establishment of his own identity as a Siberian rather than the reflection of dissident movement against the Soviet regime, supported from the viewpoint of most western literary circle. He goes on the journey of finding his own roots by means of setting the place of the work in Siberia, giving the specific Siberian nature to the characters, and describing the Siberian pride. In the novel of Evtushenko, Siberia is depicted as a place where lived strong and courageous, simple and honest people. In addition, the author describes the shamanistic ideas of the soul through the portrayal of the revival movement of national culture and traditions in Siberia as well as in the Soviet Uni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Evtushenko, however, are in the fact that he presents the rituals of shamanistic beliefs not as simple superstition but as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e author not only relates the Siberian shamanistic belief on death with the theory of the Soviet scientist Tsiolkovskii but also recognizes Siberia as an origin of the spirit of humanity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archaeologist Iurii Mochanov and, thereby, criticizes Darwin`s theory of evolution in the novel. He emphasizes that the life of a human being cannot be separated from humanity by introducing a circular system of the world, in which we understand human life by connecting the lives of individuals with those of the whole human beings.

      • KCI등재
      • KCI등재

        『나이트 워치(Night Watch)』: 소설과 영화에 변주된 존재와 실존의 ‘경계’의 넘기 판타지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8 노어노문학 Vol.20 No.2

        본고에서는 소설을 토대로 영화 시나리오를 개작한 〈나이트 워치〉의 판타지적 토대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하나의 완결체로 구축된 생명력 있는 텍스트는 다층적 차원에서 고찰 가능하지만, 여기서는 판타지 구조상의 ‘경계 넘기’라는 키워드로 소설을 영화화한 포스트 소비에트 최초의 블록버스터를 고찰하였다. 인류의 운명이 빛과 어둠, 선과 악의 ‘경계’에 놓인 위기 상황을 전제로 하는 〈나이트 워치〉는 다양한 ‘경계’에 대한 인식이 상호 추동하는 기능소로 내재되어 있다. 필자는 이를 각각 ‘지리적 경계’ 넘기를 통한 판타스틱 지형학 구축, ‘존재론적 경계’를 넘나드는 초자연적 형상의 도입, ‘실존주의적 경계’ 넘기를 통한 휴머니즘의 특성 부각이라는 관점으로 단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변신’과 ‘변형’의 모티프가 판타지의 기본속성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나이트 워치〉의 장르적 특성을 분명히 부각시키는 동시에, 이 작품을 단순한 오락물을 넘어서서 실존적ㆍ철학적 담론의 영역으로까지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토대가 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a foundation and property of fantasy in Night Watch, which is a movie scenario based on a novel of the same title. The author's and the director's artistic presentation, expressing fatalistic agony and responsibility of humanity with feigned truth, together with the temporal as well as spatial circumstances, are here examined. For the same purpose of analyzing their artistic viewpoint on the novel and the movie, the three stages of development are presented: building configuration of the fantastic nature, creation of supernatural figures, and accentu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humanism. At first, it is the 'door' in the movie to be a turning point from ordinary life to the new world of human soul. As Egor and Anton cross into the boundary of twilight zone, in which life coexists with death, they are confronted with the world above the laws of nature. They were ordinary creatures who recognize nothing about their difference in the beginning, they become the main characters by entering the world of supernatural in the struggling history of the good and the evil. Secondly, it presents such various monster figures as vampires and changelings, which have access to the existential border, into both the movie and the novel. Besides, unlike the movie the image of the Holy Mother and that of a Byzantine legend are introduced for Svetlana in the novel. Furthermore, Olga is especially endowed by nature for the goddess of Wisdom, Athena of Greek myths, by the medium of an owl. These are only a few examples how Night Watch put the familiar legend and mythology, taken from literary tradition, in the right place. Thirdly, both the author and the director in Night Watch try to hold a mutual conversation with Matrix, which is an exemplary existential movie text of today. As Neo cast off the yoke of Simulark in Matrix, Anton in Night Watch frees himself from the actual world and realizes the truth of the world. He is awakened to the true nature of the world as well as of man's true character. Through the medium of the above three stages, Night Watch acquires and widens meaning of the genre of fantasy to philosophical discourse.

      • KCI등재

        블라지미르 베르나드스키(V. Vernadsky) 과학 이론의 문학적 수용 연구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블라지미르 베르나드스키의 ‘생명권’과 ‘정신권’ 개념을 바탕으로 한 과학 이론이 작가 미하일 프리슈빈, 안드레이 플라토노프, 아나톨리 김의 세계관에 수용되고 예술적으로 굴절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세 작가에 대한 선택 기준은 연구의 실증성 확보를 위해 실제 자신이 베르나드스키의 영향을 받았다고 인정했거나, 작품이나 글을 통해 베르나드스키의 과학 개념 및 이와 유사한 관점을 실제로 언급하는 자료에 국한하였다. 지구화학과 지질학, 생물학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남기며 20세기 로모노소프라고도 불리는 베르나드스키의 다방면에 걸친 관심은 자연과학자들뿐만 아니라, 사회 사상가, 인문학자들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20세기 이후 새로운 세계관을 추구했던 작가들 또한 그의 과학적 개념과 이론, 특히 ‘생명권(biosphere)’과 ‘정신권(noosphere)’ 개념에서 다양한 문학적 주제를 차용하였다. 즉 베르나드스키의 세계관 자체가 이들 창작 활동의 거대한 원천이 되었다는 점에서 과학과 문학의 가교 역할을 수행했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특히 세 작가의 공통점이기도 한 ‘살아있는 물질에 내재된 물활론적 의식’, ‘만물의 유기적 전체성에 입각한 친족의식’ ‘인간 이성의 성장으로 대변되는 진화론적 의식’과 같은 세 가지 카테고리를 통해 베르나드스키 이론의 문학적 수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동시에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이들 작가의 작품에서 과학과 문학이 어떻게 상호 추동하는 힘으로 기능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이들의 작품은 베르나드스키의 사상과 연계해서 고찰할 수 있는 분명한 단서를 내포하고 있음에도, 아직까지 구체적 규명이 시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학술적 가치를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Soviet natural scientists including Vladimir Vernadsky had a major impact on the weltanschauung of the writers of the day with the demands of the times requiring a new paradigm. The awareness and belief in human reason became a great force moving Soviet culture and natural science in general and, furthermore, it instilled confidence into Soviet poets and writers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human world. However, the two vectors - 'humanity' and 'scientific technology' - had lost their significance and became only as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between 'utopia' and 'dystopia', since the early period of the Soviet regime. This study examines the reflection of Vernadsky's scientific concept of 'biosphere' and 'noosphere' in the works of three Russian writers, such as Mikhail Prishvin, Andrei Platonov and Anatolii Kim. For a careful and detailed analysis of the three writers, the Vernadsky's theory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 animistic consciousness that all matter in nature is alive, a sense of kinship based on the idea of organic wholeness in the material world, and an evolutionary consciousness represented by the growth of human reason. The Vernadsky's concept of 'living material' distinguishes the three writers one another. However, there can be no dispute for them between the respect for nature, which is the main idea of 'biosphere', and the emphasis on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forms the basis of 'noosphere'. The spirit combining contemporary scientific knowledge and sense of kinship in all material of the world turns out the birthplace for their writings, who keep both humanizations of nature and of science in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