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필리핀産 Gasteracantha 속의 1 종에 대한 보고

        김주필(Joo-Pil Kim),박영철(Yung Chul Park) 한국거미연구소 2007 한국거미 Vol.23 No.2

          2007년 2월 22일부터 26일까지 Vietnam의 Catien national park에서 채집한 Gasteracantha kuhlii(C.L.Koch, 1838)을 분류학적으로 재기재한다.   Among survey material from Vietnam, one Gasteracantha species was collected. Here, I report this species as Gasteracantha Kuhlii (C.L.Koch, 1838) and redescribe it.

      • KCI등재
      • 거미목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현황과 방향

        박영철(Yung Chul Park) 한국거미연구소 2010 한국거미 Vol.26 No.1

        거미 계통분류에 관심있는 연구자들 이 기존에 사용해 왔던 전통적인 계통분석용 분자마커들인 ‘미토콘드리아 CO!' 및 ‘ 핵의 리보좀유전자인 28S’ 등은 물론이고,거미줄유전자(silk gene)’ 등 새 로 운 유전자들을 계통분석에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분자계통분석은 거미 줄 유전자의 진화경향을 분석하고, 3 발톱 종류에서 2 발톱 종류로의 진화, 거마줄을 치 는 종류 에서 치지 않는 종류로의 진화, 정주성포식 행동에서 배회성 포식행동의 진화 등 행동 및 생태적 진화의 경로를 밝히 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공 생박테리아인 월바키아와 거미숙주간의 공 진화 연구를 제안한다 공생박테리아인 월바키아는 숙주 의 성선택 및 번식시스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어 거미의 종분화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n this paper 1 propose for molecular phylogeny of spiders that researchers employ new molecular markers like silk gene as well as classical markers like COI and 28S. Molecular phylogeny using the various genes will help understand the evolutionary trends of silk gene sequences, Entelogynae to Haplogynae and orbweb to ground foraging. ln addition, coevolution study between symbiotic wolbachia and their host spiders wiU help understand reproductive system and sexual behavior in spiders since the symbiotic bacteria cause sex ratio bias of their host.

      • 무당거미(Nephila clavata) 와 한국땅거미(Atypus coreanus Kim, 1985) 의 그물집 구조의 특징과 기능

        박영철(Yung Chul Park) 韓國거미硏究所 2010 한국거미 Vol.26 No.1

        본 연구는 무당거미 (Nephila CIavata) 와 한 국땅거미 (A typus coreanus Kim, 1985 ) 의 그물집 구조의 특정과 기능 관한 것이 다. 무당거미의 그물은 공간적으로 3 겹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무당거미 그물집의 중심지는 거미그물집 중 앙부위로 방사선줄과 원형줄들이 정교하게 서로 엮여 평편한 원형의 중앙그물을 형성한다 중앙 거미 그물 집의 전면에 얼기설기 부정형으로 엮여져 있는 부분은 아마 먹이를 잡을 때 l 치- 벙어선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 되며, 중앙 원형그물의 뒷쪽 에 있는 엉성하게 연결된 곳 먹이를 보관하는 창고 역할을 하는 그물 로 이용된다. 한국땅거미의 집은 땅거미 집 의 평균 길이 는 38.4(SD=O.5, n=3) 센티마터 정도로 대롱모양으로 대 부분이 지하부에 수직으로 묻혀있 으며, 지상부는 약 7cm (n=3) 정도 올라와 있다. This study is to reveal some characteristics of web structure and functÎon of Nephila clavata and Atypus coreanus. Orbweb of Nephila clavata consisted of 3-dimensional structure. Main body of the web was posited in middle of the three layers of the web. A forward web sparsely knitted was in front of the main body. It might play a role in reducing speed of insects that fly into the web. A rear web sparsely knitted was in the backward of the main body. It was used for keeping the preys captured. A ηpus coreanus constructed purse web. Mean length of the web was 38.4 cm (SD=O.5, n=3). Most web was buried vertically under ground and only small part (7 cm, n=3) was exposed over ground.

      • KCI등재후보
      • 가게거미과 들풀거미(Agelena limbata) 그물집들의 밀집배열과 사회성 진화에 관한 제안

        박영철(Yung Chul Park) 韓國거미硏究所 2010 한국거미 Vol.26 No.2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분포하고 있는 가게거미과 들풀거미(Agelena limbata)의 그물집 구조와 기능 그리고 층상배치 등에 관한 연구결과를 담고 있다. 들풀거미집들은 밀집한 다양한 층의 층상 배열형태를 나타내었다. 이를 고려할 때, 국내 들풀거미들은 동일한 나무 혹은 인접한 나무들을 중심으로 함께 그물집들을 형성하고 생활하는 사회성 생활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들풀거미 1종이 밀집한 그물집들을 중심으로 사회성을 진화시켰다는 것을 제안한다. 향후에는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들풀거미의 그물집들을 상호 연결하는 신호전달 거미줄들의 위치와 기능 파악 및 이들을 통한 사회성 네트워크의 체계와 시스템의 효율성 등의 연구가 필요하며,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이익-비용의 관점에서 이러한 그물집의 층상배열구조를 통한 사회성진화를 분석할 필요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includes the studies on the array and structure of Agelena limbata webs in Korea . The webs of AgeJena Jimbata were aggregated densely with the connections by signal lines on small woody trees. The network system of the aggregated webs will enhance for aging efficiency more than solitary webs . Thus,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spiders of AgeJena Jimbata might have evolved sociality via interconnection of the densely-aggregated webs. In further studies, locations and functions of signal lines and the efficiency of social network web system will need to be investigated and also analyzed the evolution of the multilayer web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costs-benefits .

      • KCI우수등재
      • 비금도ㆍ도초도의 거미상

        박영철(Yung Chul Park),강석민(Seok Min Kang),정종철(Jong Chel Jeong),김주필(Joo-Pil Kim) 한국거미연구소 2007 한국거미 Vol.23 No.1

        전라남도 비금도와 도초도의 거미상과 그 다양성을 보고한다. 조사기간동안 총 1663 개체가 채집되어 그 중 943 개체가 동정되었다. 그 결과 19 과 34 속의 48 종이 확인되었는데, 우점과는 왕거미과(61.1%), 게거미과(9.1%), 늑대거미과(9.0%), 깡충거미과(8.7%), 무당거미과(7.2%)로 확인되었다. 우점종은 기생왕거미 19.4%), 산왕거미(14.3%), 긴호랑거미(9.5%) 등이었다. 비금도와 도초도의 거미상은 기존에 조사된 섬지역의 거미상과 비교, 분석되었다. Spider fauna and diversity are reported from the islands Bigeum-do and Docho-do, in Cholanam-do, Korea. A number of spiders collected during the survey were 1663 individuals and all of them, with the exception of 943 individuals, were identified. The samples included 48 species, which belong to 34 genera of 19 families. Five of 19 families were most frequently collected: Araneidae (61.1%), Thomisidae (9.1%), Lycosidae (9.0%), Salticidae (8.7%), and Nephilidae (7.2%). Of the collected samples, common species were as follows: Larinioides cornutus(19.4%), Araneus ventricosus (14.3%), Argiope bruennichii (9.5%), Neoscona nautica (7.5%), Nephila clavata (7.2%), and Menemerus fulvus (6.8%). When spider fauna of Bigeum-do and Docho-do were compared with the faunae from other published studies of Korean islands, the following five species were found in only Bikum-do and Docho-do: Steatoda albomaculata (De Geer,1778), Alopecosa licenti (Schenkel, 1953), Clubiona kurilensis Bosenberg et Strand, 1906, Myrmarachne formicaria (De Geer, 1778), and Pardosa brevivulva Tanaka, 1975.

      • 한국산 납거미의 분포 특성과 그물집구조의 분석

        박영철(Yung Chul Park) 한국거미연구소 2010 한국거미 Vol.26 No.1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2 종의 납거미 는 12- 14 도를 경제로 분포가 분리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위도에 따른 분포는 향후 기후변화가 이들의 분포 패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또한 다른 육상 무척추동물의 기후변화에 따른 분포경향을 예측하는 데에도 기여할것으로 사료된다 납거미가 선호히는 적합한 서식지는 구옥의 실내 공간에 있는 흙벽이지만, 이러한 구옥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으므로 납거미의 서식 공간 이 심각한 수준으로 줄 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적절한 보전대책 을 수립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results showed that distribution of 2 Uroctea speices was separated along latitudinal position . Climate temperature was around 12 ~ 1 4 degree in the separation region of the two species. Thus, these species might be use as indicator species of climate change and also help predict the effect of c1 imate change on other invertebrates. A preferred habitat type of Uroctea species was mud-plastered wall in traditional old house. However, now a day, since the old houses have disappeared, the other alternative needs to be estab lished to conserve Uroctea spi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