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 학술연구 협력 경향 분석 : 공동저자 네트워크 구조 및 중개자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박연수(Yeonsoo Park),박주영(Jooyoung Park),김종주(Jongjoo Kim),원유형(Yoo hyung Won)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기술혁신학회지 Vol.23 No.1

        기후변화는 현상 자체의 복잡성과 대응방안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통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한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분야 학술연구에서의 협력 연구 구조와 협력 연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연구자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발간된 학술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연구자 중심의 공저자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고, 공저자 네트워크 내에서 지식을 전달하는 매개 역할을 하는 중개자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기후변화 분야 공동저자 네트워크는 하나의 큰 컴포넌트 외에는 대부분 분절된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전반적인 연결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매개 중심성 지수를 보이는 중개자 15명의 연구 경력과 분야를 살펴본 결과, 경력에서는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전체 연구자에 비해 다학제 연구의 비중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후변화 연구는 주로 지구과학 및 환경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공동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기후변화 현상의 과학적 이해에서 나아가 다양한 산업의 기술혁신과 국제 사회의 효과적 대응을 위해서는 더욱 활발한 연구 협력과 학제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ddressing climate change requires broad and integrated approaches from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underlying phenomena to the policy strategies to low-carbon transformations. Accordingly, academic studies of climate change have become more collaborative and interdisciplina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scientific collaborations in climate change research and the role of “brokers“ who play central roles in collaborations. With the scholarly articles of Korean and international researchers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16, we constructed the co-authorship network and analyzed its structure, and further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brokers that have high centrality in the networ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authorship network of climate change research had dispersed structure of low density with many small and disconnected components. The researchers that show high betweenness centrality(“brokers“ in our study) tended to work on multidisiciplinary field, more than all the researchers in the analysis. Compared to other researchers, the brokers did not show any notable trend in terms of the years of research and the number of past and current institutions. The scholarly research in the field of climate change has focused on the fields of Earth and Planetary Science as well as Environmental Science, but more collaborations across broader disciplinary fields would be needed to effectively respond to climate change.

      • KCI등재

        비자살적자해와 자살 간의 관계에서 습득된 자살잠재력의 역할 : 자살에 대한 대인관계적 심리이론에 기반하여

        김초롱,박연수,장혜인,이승환,Kim, Cholong,Park, Yeonsoo,Chang, Hyein,Lee, Seung-Hwan 대한불안의학회 2017 대한불안의학회지 Vol.13 No.2

        Non-suicidal self-injury (NSSI) has been noted 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possible suicide attempts. According to the Interpersonal 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e, individuals can attempt suicide after they have acquired the capability to commit it. The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can be defined as one's habituated level to the pain and fear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s. This is obtained through constant exposure to painful and provocative events, NSSIs being a prime example. This article reviews prior related studie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can be utilized as a predictive factor for fatal suicide attempts following NSSIs. Our review finds a total of 11 studie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support the claim that the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should be considered as a relevant factor linking NSSIs and suicide attempts. Given that NSSIs are most frequently observed in clinical setting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will be a useful indicator for clinicians to predict the risk of future suicide attempts by patients.

      • 바이오혁신생태계 조성방안을 위한 내용분석 연구: 홍릉강소특구와 출연연구소의 역할을 중점으로

        박규홍(Kyuhong Park),김현우(Hyunwoo Kim),김태형(Taehyung Kim),구병석(Byeong-Seok Koo),박연수(Yeonsoo Park),송창현(Changhyeon So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1

        코로나19의 영향에서도 K-바이오 산업은 역대 최대 성과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한국 바이오산업의 전반적인 성적표는 투자 대비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혁신 클러스터와 바이오 산업에 관련된 문헌연구와 내용분석 방법론을 통해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클러스터 성장 단계에 따른 요인과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조건에 따른 특징을 정리하였고, 결과를 기반으로 바이오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보았다. 시사점에서는 최근 강소특구로 선정된 홍릉 바이오 클러스터의 예를 활용하였으며, 주관 기술핵심기관인 KIST의 사례를 통해 출연연구소의 역할을 중심으로 정리하여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아직 많이 다뤄지지 않은 강소특구의 사례를 연구주제로 삼았으며, 출연연구소가 혁신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한 방안을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Even under the influence of Corona 19, the K-Bio industry recorded the highest performance ever. However,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Korean bio industry is not satisfactory compared to investment. In this paper, content analysis for the creation of an innovation ecosystem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lated to innovation clusters and bio industry,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necessary to create a bio-innovation ecosystem. Through this, the factors according to the cluster growth stage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for the creation of the bio-cluster were summarized,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creation of a bio-innovation ecosystem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For the implications, the example of the Hongreung bio-cluster, which was recently selected as the Innotown, was used, and the role of the 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 was organized through the case of KIST. In this study, the case of the Innotown, which has not yet been covered much, was take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plan for the role that the 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innovation eco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