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적 객관성과 현상학적 방법론

        박승억 ( Park Seung Ug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4

        최근 호킹이나 도킨스와 같은 자연과학 연구자들이 인문학의 전통적인 문제들에 대해 대답을 시도하는 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한 편으로 영역의 경계를 뛰어넘는 전위적 탐구라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인문학적 탐구 영역의 위축이라는 부정적인 효과를 갖고 있기도 하다.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과학 역시 자연과학의 방법론을 따르고 있다. 자연과학적 탐구 방식은 학문 탐구 방식에 있어 표준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인문학적 탐구의 본성과 역할의 문제를 제기한다. 근대 이래로 자연과학이 성공적이었던 까닭은 그 탐구의 객관성에 있었다. 그렇다면 인문학적 탐구에 있어서도 객관성을 말할 수 있을까? 있다면 인문학적 탐구의 객관성은 무엇을 의도할까? 이 논문은 인문학적 탐구의 객관성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주로 현상학적 방법론에 의지하여 해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른바 사회적 딜레마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에 대해 인문학적 탐구가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Recently, it is not strange to see that the famous natural scientists have tried to answer the old metaphysical questions. It is good to see, on a positive side, the collaboration between research of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research, but at the same time it negatively means the shrinkage of the research territory of humanities. Social science, originally aimed at seeking for the solutions of the social problems, has also adopted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Scientific research becomes the standard of every academic research. This situation raised a question about the nature and role of humanities research. Since the Scientific Revolution, the key to the success of natural science is the objectivity of their methodology. Then, could we request for objectivity in humanities research? I have tried to argue in this paper the objectivity of humanities research with the help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nd it shows which role humanities research has in the research about the so-called social dilemmas.

      • KCI등재

        셜록 홈즈를 위한 의미론

        박승억(Seung-Ug Park) 한국현상학회 200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5 No.-

        허구적 대상의 의미에 관한 논의는 20세기 초반 소위 언어적 전회(linguistic turn)와 맞물려 철학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켰던 논의이다. 존재론적 건전성에 기댄 의미론적 논의는 허구적 대상의 대상성 내지는 그 의미에 대해서 대체로 부정적인 입장들을 취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시 허구적 대상의 의미론적 가능성을 인정하려는 시도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 논문은 만약 허구적 대상이 의미 있는 대상이라면, 어떤 점에서 그럴 수 있는지를 후설의 현상학적 대상론(Gegenstandeslehre) 혹은 의미론의 관점에서 해명하고, 그에 따라 제기되는 새로운 문제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후설은 학문 이론적 관점에서 형식적 존재론과 영역적 존재론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세계가 의미론 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주어질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 후설의 이러한 전략은 우리의 세계 경험을 근거로 학문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후설은 고도로 추상화된 학문적 대상과 순수한 허구적 대상 사이의 차이를 결정적으로 드러내지는 못했다. 사실상 오늘날 새로이 등장하며 학문적 권위를 요구하는 다양한 지적 탐구 영역들을 고려할 때, 후설의 작업은 ‘학문성’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을 요구했던 일이라고 할 것이다.

      • KCI등재

        현상학 - 체험의 기하학?

        박승억(Seung Ug Park) 한국현상학회 200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1 No.-

        이 논문은 “의식 흐름이 수학적 의미의 다양체일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매개로 후설의 현상학적 심리학에 배어 있는 수학적 논의를 끌어낼 것이다. 후설은 그와 같은 질문이 자칫 심각한 오해를 낳을 수 있는 선입견에 기초| 해 있다면서 경계하지만, 그의 철학 곳곳에서 의식을 다양체로 보는 논의를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의식을 수학적 구조와 유사한 어떤 보편적 구조를 가진 체계로 보려는 후설의 생각에 대한 증거이기도 하다. 논문은 먼저 후설이 왜 그러한 질문에 대해 섣부르게 대답하는 것을 극도로 조심하면서도 그 질문을 열린 질문으로 간주했는지를 밝힌 뒤, 의식을 보편적 구조를 가진 체계로 보고자 하는 후설의 논의를 다양체에 대한 논의를 통해 밝힐 것이다. 그리고 논문의 말미에 현상학적 심리학과 이른바 인지과학적 논의 사이의 연계성에 대해서도 시사해 볼 것이다.

      • KCI등재

        인지과학과 현상학적 심리학

        박승억(Seung-Ug Park) 한국현상학회 200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2 No.-

        이 글은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관련된 논의들을 실마리로 현상학적 심리학의 위상을 재검토하는 것을 과제로 삼고 있다. 후설은 자신의 심리학주의 비판을 통해 현상학적 심리학의 과제와 특성을 구체화시켜 나간다. 그러나 후설의 비판이 자연과학적 심리학 자체를 무력화시키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후설은 현상학적 심리학이 자연과학적 심리학의 학문성을 더욱 철저하게 해 줄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후설의 심리학주의 비판은 자연과학적 심리학이나 인공지능 이론과 양립하기 어렵다는 인상을 준다. 그리고 그러한 인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일종의 선입견을 낳고 있다. 나는 이 글에서 그것이 그야말로 선입견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즉, 엄격한 학문성과 학적 심리학의 법칙적 설명에 대한 후설의 요구는 적어도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현상학적 심리학의 설명모델과 인지과학적 설명모델 간의 차이를 불분명하게 만들어 버린다. 물론 이것이 현상학적 심리학의 타당성을 의심하게 만드는 논의는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로 현상학적 심리학과 인지과학 혹은 실험 심리학의 공동작업의 가능성을 시사할 것이다. The point of this article is to neutralize the preconception that Husserl's phenomenology, or phenomenological psychology is incompatible with naturalized cognitive science or the project of A.I. This preconception is due to Husserl's critic of psychologism, and partially to Dreyfus's famous arguments. But if we follow the Husserl's argument, we have a fresh possibility which the phenomenological psychology cooperate with cognitive science. I have tried to show this possibility through the examination of Husserl's demands on psychology 'as a exact science'.

      • KCI등재

        공학교육에서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박승억(Park, Seung Ug) 한국공학교육학회 2021 공학교육연구 Vol.24 No.2

        The creative problem-solving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gnitive skills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As AI and automation technology(of 4th Industrial Revolution) penetrate our everyday life, its role as a human ability is highlighted.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nd the critical thinking, and the usefulness of the latter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To sum up, the critical thinking is the pre-conditon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 KCI등재

        통섭(Consilience)

        박승억(Seung-Ug Park) 한국현상학회 200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6 No.-

        최근 몇 년 동안 ‘통섭’은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을 연결시키는 유력한 방법론 중 하나로 주목 받아왔다. 그것은 통섭이 전문화된 분과적 학문과 그로 인해 야기되는 학문 간 의사소통 부재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방법론적 프로그램으로 제시되었기 때문이다. 에드워드 윌슨은 유전자ㆍ문화의 공진화, 후성 규칙 등 자연과학적 개념에 기초한 통섭적 설명이 사회과학 및 인문학, 예술, 종교를 가로지르는 다리를 만들어 줄 것이라고 선언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통섭이 학문적 탐색을 통한 논리적 결과물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지적 태도라는 점, 그리고 그런 지적 태도가 야기하는 몇 가지 문제점들을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섭’이 전제하고 있는 ‘환원주의’, ‘인과적 설명’, ‘실재론’ 등 몇 가지 중요한 개념들을 둘러싼 논쟁점을 중심으로 통섭이라는 방법론적 전략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였다. Since a few years ‘Consilience’ has arrested attention of people who want to build a bridge between Snow's “Two World”. For it presents us with an effective methodological strategy for overcoming the communicational difficulties among the sciences which have been caused by the particular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science. In that regard Edward Wilson suggests that his theory of consilience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unifying the various individual sciences today. In this paper I attempt to make it clear that consilience is not a logical consequence of adopting a theoretical stance on the existing sciences but rather a general intellectual attitude towards them, and I point out some philosophical predicaments associated with that attitude. Viewed in this way, the concepts of ‘reductionism’, ‘causal explanation’, and ‘realism’, which are regarded as a distinctive set of core concepts that may constitute the notion of consilience at issue, are explicated. An interesting point is that when the notion of consilience is considered to be some sort of pragmatic suggestion, the issue of whether we should accept it or not turns out to rely not on the matter of theory but that of our existential decision.

      • KCI등재

        상상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승억(Seung-Ug Park)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1 No.-

        근대 이후 상상력은 인간 지성의 창조적 능력의 원천으로 여겨짐으로써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하지만 그런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상상력이 무엇인지에 대한 인식론적 해명 자체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후설의 기술 현상학적 관점에서 상상의 문제를, 특히 현전화 작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명하였다. 인식론적 관점에서 현전화 작용은 주어지지 않은 것을 직관적으로 주어질 수 있게 하는 의식의 능력이다.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 인식의 가능 조건이자 선험적 의미를 지닌다. 상상은 그런 현전화 작용이 가장 순수하게 드러나는 체험이다. 논문은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상상의 문제를 학문이론적 의미에서 확장하였다. Imagination(Phantasy)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since 18th century. For many people considered it as the source of creativity of human understanding. But the question, what the imagination is, has not enough answered yet.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clarify the imagination(phantasy), based on Husserls descriptive phenomenology. We can see the specific act of consciousness through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imagination. It is the act of “re-presentation (Vergegenwaertigung)”. And it has a lot of significant meanings to understand Husserls phenomenology and philosophy of science

      • KCI등재

        학문 분류의 문제와 후설 현상학

        박승억(Seung-Ug Park) 한국현상학회 201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4 No.-

        베이컨을 비롯한 근대의 철학자들이 관심을 가졌던 문제들 중 하나는 학문 분류의 문제였다. 새로운 지식들이 생겨나고 새로운 탐구 영역이 열린, 지적으로 역동적인 시기였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의미 있는 문제이다. 통섭이나 융합과 같은 새로운 방법론이 회자되고, 새로운 학문들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오늘날의 학문 현실은 여전히 역동적이다. 후설 현상학 역시 학문 분류의 문제를 중요한 과제로 생각한다. 이는 후설이 자신의 현상학을 일종의 학문이론, 내지는 제1철학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이다. 학문을 분류하는 문제는 이중적인 과제를 갖는다. 하나는 역동적인 학문 현실을 설명하는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가 학문에 대해 갖고 있는 기대를 통해 학문 현실을 평가하는 문제이다. 본 논문은 이 두 관점을 후설 현상학을 실마리로 해서 구분해보고자 하였다. 이는 자칫 두 관점이 착종될 경우, 학문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일은 용이하지만, 학문의 변화와 발전을 설명하는 데는 약점을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of sciences is one of problems for which modern philosophers showed enthusiasm. Modern times is the most dynamic period in history of science in the sense that new sciences and knowledges come into being. In the same sense,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is still a live issue in these days. New methods of scientific research, ‘Convergence’, ‘Conscilience’ etc., and new sciences have offer us new knowledges about our world as Bacon’s period. E. Husserl knew the importance of that problem, because that he regarded his phenomenology as the first philosophy, a science of sciences.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has two task to answer the questions ; how we can explain the real dynamic situations of sciences and how we can evaluate the roll of sciences in relation to our traditional conception of true sciences. In this article, I have tried to explicate the meaning of two perspectives that was implicated in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of sciences.

      • KCI등재

        키와 돛 - 형이상학 없는 시대에서의 과학과 윤리

        박승억(Seung-Ug Park) 한국현상학회 2013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6 No.-

        오늘날 과학적 지식과 기술의 힘은 과거에 비할 바 없이 커졌다. 인류 문명 전체를 위협할 수 있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근대과학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은 이러한 문제 상황에 대해 근대과학의 무능력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객관성의 이념을 추종하는 근대과학이 가치의 문제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과학은 기술적 학문으로서 규범적 가치의 문제를 도외시 해 왔다. 따라서 과학적 지식과 기술의 발전에 있어 윤리적 고려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자연스럽고 정당하게 여겨진다. 이 논문은 오늘날의 학문적 경향을 고려할 때 그런 요구가 진정성이 있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보편타당한 가치 체계라는 형이상학적 부담을 피하려고 하는 현대의 철학적 경향은 결국 그런 윤리적 요구마저도 근대과학이 전제하고 있는 절차적 합리성의 문제로 치환하기 때문이다. 절차적 합리성은 근대과학이 그랬던 것처럼 인간의 문제를 배제한다. 이 논문은 그러한 역설적인 상황을 해명하고 과학에 대한 윤리적 정향이 실질적인 조치가 되기 위해서는 다시금 형이상학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Today, the social influenc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ology has become incomparably powerful than ever. Those who have criticised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insist that science and technology need the restriction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Because modern science is incapable to answer the question as to how we should live. For the objectivity of scientific knowledge, modern science had excluded the problem of normative value in their research areas. But the problem of normative value needs a kind of metaphysics that contemporary philosophy in post modern era tends to reject. I have argued that, if we want to provide science and technology with the ethical foundation, we should revive the metaphysics that is not the old one but deals with the problem of relation between sciences and human 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