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산 조호익의 시대와 운명(Ⅱ) -임란 거의와 영천 은거를 중심으로-

        박순교 영남퇴계학연구원 2023 퇴계학논집 Vol.- No.32

        Jisan, Jo Ho-ik (1545-1609) grew up as a member of a prestigious family in Changwon, and studied as Toegye's descendant due to overlapping blood ties with Toegye. However, in 1176, after a year-long resolution, the entire family was forced to relocate to Gangdong, and lived a life of 17 full years. In the midst of the national crisis in the year of Imjin, King Seonjo, who fled to Pyongyang, pardoned Jisan, and when he urged Jisan to act, Jisan rallied the forces of the Gwanseo area and acted as a leader of the righteous army. However, Jisan was dismissed from his post several times by the Joseon court, and finally died in Yeongcheon as an unfortunate scholar in the early night without fulfilling his will. The forced migration of Jisan, Jo Ho-ik's entire family is identified as a structural problem in Joseon society and the influence of a person at the peak of power, not Choi Hwang. It is also hard to see it as a result of good intentions that the Joseon court pardoned Jisan and entrusted him with the responsibility of public order and security around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As Joseon society returned to a closed system after the war, Jisan's entry into government service was thoroughly excluded. This led to Jisan's seclusion in Yeongcheon. Jisan's retirement in Yeongcheon was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with the ancestors and the Jeong Se-ah family. Jisan's life was not happy even after Yeongcheon's seclusion, and his fierce efforts to overcome the reality appeared in academic training and education. 지산 조호익(1545~1609)은 창원의 명문 출신으로 생장했고, 퇴계와 의 중첩된 혈연을 인연으로 퇴계의 直傳弟子로 수학했다. 그러나 1176년 1년 동안의 결안 끝에 江東으로 全家徙邊을 당하였고, 만 17년 적거의 삶을 살았다. 임진년 국난의 와중 평양에 파천한 선조가 지산을 사면하며 거의를 재촉하자, 지산은 관서 일대의 세력을 규합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지산은 조선 조정으로부터 여러 차례 체직, 파직 당하였고, 마침내는 자신의 뜻을 다 펼치지 못한 채 초야의 불운한 선비로 영천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간 지산 조호익의 전가사변은 최황 개인의 음해로 이해하여 왔으나, 조선 사회의 구조적 문제, 권력 정점에 위치한 선조의 조치로 파악되었다. 조호익의 주변 인물 모두가 전가사변에 방관적 자세를 취한 점, 견제와 균형을 특질로 한 조선 체제의 속성, 선조가 지산에게 보인 방관적 자세, 최황에 대한 선조의 전폭적 지지 등은 이를 뒷받침한다. 선조가 지산을 신원하지 않고 관서 지방 교육의 진작을 유시하며 내렸다는 ‘관서부자’ 어필 역시 문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같은 해 선조가 지산 조호익의 전가사변을 이끈 인물이자, 대척점에 있던 최황을 시비를 논변하는 대사헌에 임명한 점은 이러한 상정을 확실하게 한다. 임란에 즈음하여 조선 조정이 지산을 사면한 점이나, 召募, 치안의 책임을 맡긴 점 역시 선의의 결과로 보기 어렵다. 지산이 宣武原從功臣 1등에 책록된 것에서 지산의 전공이 조선 왕조에 의해 평가된 듯 비치지만, 조선 사회가 전란 이후 폐쇄적 체제로 회귀하면서, 지산의 출사는 실제 배제되었다. 지산의 영천 은거는 조선 조정과의 불편한 관계가 작용했다고 여겨진다. 지산의 영천 은거는 上祖와 일대의 인연, 정세아 일가와의 관계가 작용했다. 영천 은거 이후에도 지산의 삶은 행복하지 않았으며, 현실 극복의 치열한 노력이 학문 연마와 육영의 형태로 나타났다고 보인다.

      •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포석정의 문제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박순교 택민국학연구원 2017 국학연구론총 Vol.0 No.19

        As a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Silla's 55th king was separated, 'Poseokjeong' is a place of interest, along with 'Shirim'. Poseokjeong is said in two places of 『Samguksagi』 and four places of 『Samgukyusa』. The contents of 『Samgukyusa』, which is not mentioned in 『Samguksagi』, are as follows: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As a result, 『Samguksagi』 originally deleted these facts; 1) 'Poseokjeong = the most holy place since the Silla's King, HunKang' reign, and 2)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n the case of 『Samguksagi』, "Poseokjeong is consistently recognized only as the place of a banquet. In short, the reason for the extinction of 『Samguksagi』 (1) "Poseokjeong = the Holy place, the most famous place since the time of King HunKang" was inevitable procedure, specifically to reveal ②'Poseokjeong =the place of a banquet,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fact that ① King HunKang = Kyeongae's maternal grandfather. The fact that King HunKang promulgated Poseokjeong as an inner sanctuary, and the fact that his grandson, Kyeongae drank alcohol at the sanctuary, are difficult arrangements and paradoxes. The reason why 『Samguksagi』omitted (2)"that 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 is due to ①the fact that Hyojong is Kimbu(金傅)'s father, as well, a series of screamy intention to hide ②'Poseokjeong = Hyojong's power' base(outpost), pure and simple. 3)These actions must be a part of the effort to conceal the main fact that Poseokjeong, the place where the fate of Kyeongae is separated, is the power base of the Kimbu's family. Ilyeon refers to Hyojong's powers as Poseokjeong~ Samwhaejyeong. The main carcass of King Kyeongae was also dealt with within the territory of Hyojong, that is, Hyemok Mountain. As such,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last of King Kyeongae' and 'the powers of the Kimbu family (Poseokjeong, Samhwhaejong, and Hyemok Mountain') are clearly connected and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last of King Kyeongae'. As a result, Kyeongae died in the power territory of the Kimbu family, and as a matter of course, the Kimbu was inducted into Silla's extraordinary king by Kyeonhwon(甄萱)'s full support. 신라 55대 경애왕의 운명을 가른 장소로서, '포석정'은 '시림'과 더불어 주목되는 곳이다. 포석정은 『삼국사기』에 2곳, 삼국유사에는 4곳에 걸쳐 언급되고 있다. 『삼국사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삼국유사』에 추가되어 있는 셈인데,『삼국유사』의 내용은 1)‘포석정=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이다. 결과적으로 『삼국사기』는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원천적으로 산삭한 셈이다. 『삼국사기』에 의할 경우 ‘포석정=경애왕 주흥의 장소’로만 일관되게 파악된다. 『삼국사기』가, 1)‘포석정=헌강왕 이래의 지성소’라는 대목을 민멸한 까닭은 ①헌강왕=경애왕의 외조라는 사실을 감안, ②‘포석정=주흥의 장소’라는 사실을 드러내기 위한 불가피한 조처였다. 외조인 헌강왕이 포석정을 지성소로 공포한 사실과, 헌강왕의 외손인 경애왕이 지성소에서 술을 퍼마셨다는 사실은 성립하기 힘든 배치, 역설이기 때문이다. 『삼국사기』가 2) ‘포석정=효종의 유행지’라는 내용을 생략한 까닭은 ①효종= 김부의 아비인 점을 감안, ②‘포석정=효종랑의 세력권’이라는 일련의 사실을 감추어, 3)경애왕 운명을 가른 장소(포석정)=김부 일가와의 연결을 덮으려는 노력의 일단이 아닌가 보인다. 일연은 효종의 동선(세력권)이 포석정~삼화령까지라 언급하고 있다. 경애왕의 주검 또한 효종의 세력권 내(해목령)에서 처리됐다. 이처럼, ‘경애왕의 최후’와 ‘김부 일가의 세력권(포석정, 삼화령, 해목령)’이 뚜렷이 연결, 해석된다는 점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결국 견훤과 김부가 연대하여 경애왕 제거 시나리오를 가동하였던 결과, 경애왕은 김부 일가의 세력권에서 죽었으며, 그 논공행상의 대가로 김부는 견훤에 의해 신라의 권지국사로 옹립되기에 이르렀다.

      • KCI등재

        이장발(李長發)의 임란 참전과「충효당 유집」발행의 시말

        박순교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9 대구경북연구 Vol.18 No.3

        This article considered JangBal's Participation In WAR(1592), the 14th grandson of Lý Long Tường who came to Korea from Vietnam, and circumstances of "Chunghyo Dang(忠孝堂) Posthumous Manuscript" publication for JangBal‘s memorial. JangBal is not only meaningful as a representation of the nation's dedication, but is also important in identifying the historical relation of Vietnam and Korea. Thus, this article made efforts on the cause of JangBal's death, the contextual meaning of MunKyuong as the place of JangBal's death, the date and time of JangBal's death, and the gaps between Commander of Voluntary Militia, KimHae's uprising.. This article not only clarified all the matters related to JangBal, but also found and pointed out the long-established contents that had been overlooked in 「Hyangbyeong Diary」. Three different titles in memory of JangBal, Chung Hyo-Dang, were analyzed in a comprehensive manner, and the system, editing period, participant's surface and region, academic context, career, and age at the time of participation were analyzed. In this way, it was found that the actual reality in commemoration of JangBal was the product of the collective intelligence, the best collections of members of the nearby areas. 본문은 대월(大越, Vietnam)에서 고려로 이거한 이용상(Lý Long Tường’)의 14세손 장발의 임란 참전과 그를 추상한 「충효당 유집」의 발행 과정을 고찰하였다. 장발은 봉화에 세거한 화산이씨의 일원으로서, 19세로 임란에 참전하였고 사망했다. 그는 위국헌신의 표상으로서 자못 의미 있을 뿐 아니라, 한국 베트남의 사적 연원을 밝히는 차원에서 중요성을 띤다. 이에 본문은 장발의 사인(死因), 장발 사망 장소인 문경(聞慶), 장발의 사망 일시, 의병장 김해(金垓)의 거의(擧義) 시점과의 간극 등 장발과 관련한 제반 사항을 구명하고, 그간 「향병일기」속에서 간과된 장발 관련 내용을 찾아 비정ㆍ적시하였다. 또한, 이용상의 이름이 적시된 금석문(묘표, 묘갈명, 유허비)과 충효당의 건립 과정, 장발에 대한 추념, 화산이씨 집안의 노력 등을 핍진하게 담아낸 3종의 실기류, 「충효당 유집」을 분석하였고, 이 실기류가 일대의 기라성 같은 문사(文士)들이 총집결된 집단 지성의 산물임을 파악하였다. 장발을 기리는 추념 작업은 1)장발의 직계 혈통이 끊어진 상황, 2)밀양에서 종손으로 입계한 만운의 각성, 3)족적 계보를 밝히고 장발의 의행(義行)을 드러내려 한 일가의 핍진한 노력, 이들 여러 요소가 혼연일체가 되어 이뤄진 금자탑이었다.

      • KCI등재후보

        신라 景哀王 죽음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 『三國遺事』 기록을 중심으로 ―

        박순교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6

        Samkuksaki(『三國史記』) and Samkukyusa(『三國遺事』) had shown a subtle difference, in describing death of king Kyungae(景哀王). Samkukyusa(『三國遺事』)had put such a title as king only to Kyungae, unlike case of Kyungsun. Also Samkukyusa(『三國遺事』) that had omitted all the previous six Buddhist mass conference(百高座會) recorded king Kyungae's Buddhist mass conference especially, with a precise date. After all, It is proved that Samkukyusa(『三國遺事』) had a favorable attitude to king Kyungae(景哀王), with respects. In this way, Samkukyusa(『三國遺事』) had been on the point of skeptical position contrary to Samkuksaki(『三國史記』)which had connected the death of king Kyungae(景哀王) with the feast of liquor. Moreover, Samkukyusa(『三國遺事』) had quoted historical treatise of Samkuksaki(『三國史記』), Buddhism must be the source of the Lost Kingdom without criticism, this must be a setting for a strong negative historical treatise related to the entire Samkuksaki(『三國史記』). In addition, Samkukyusa(『三國遺事』)had recorded contents of king Kyungae(景哀王)'s death and the cause of death in the part of Kimbu(金傅), which has suggested the fact of Kimbu(金傅)'s being connected to the death of king Kyungae(景哀王). In this context, Samkukyusa(『三國遺事』)had denied Kimbu(金傅)'s funeral for king Kyungae(景哀王). The existence of 'Si rim(시림) quoted in Samkukyusa(『三國遺事』) has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Kyungae(景哀王)'s death and Kim clan, especially Kimbu(金傅). 경애왕 죽음을 두고 『三國史記』와 『三國遺事』는 세 곳에서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그 서술의 문면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그 까닭에는 『三國遺事』만의 독특한 해석이 작용하고 있다고 믿어진다. 『三國遺事』는 『三國史記』 사론에 나타나는 경애ㆍ경순 두 인물을 놓고, 경애에게만 왕을 붙이고 있다. 또, 이전 6차례나 있은 백고좌회의 전례를 모두 생략했던 『三國遺事』가, 유독 경애왕의 백고좌회만 月日까지 밝혀 特記하고 있다. 결국 『三國遺事』는 경애왕의 죽음을 주연과 연관지은 『三國史記』 史論에 회의적 입장이었다. 불교에 대해 호도, 폄훼한 『三國史記』 사론을 포폄없이 인용한 것은 불교 찬양을 염두에 둔 『三國遺事』로선 일대 파격이며, 그 이면에는 『三國史記』 사론 전체에 대한 거부감이 담겨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三國遺事』는 경애왕 치세의 내용, 특히 죽음과 관련한 부분을 모두 경애왕 편이 아닌 김부편에 설정하여 죽음의 원인이 김부와 연결됨을 시사한 것은 물론, 경애왕 주검에 대한 김부의 장례마저도 의도적으로 삭제하여 행위 그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三國遺事』 후백제 견훤조에선 근품성 공격 직후, 곧 견훤의 대공세 초반에 이미 경애왕이 고려에 대한 구원 요청을 하였음을 밝혀 경애왕 죽음이 왕건의 방관과 연관이 있으며, ‘시림’이라는 회합 지점을 제시하여 신라 내 견훤의 내응 세력이 김씨 세력의 일부임을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설총의 ‘압량 출생설’에 대한 비정(批正):압량의 3 성현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박순교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1 대구경북연구 Vol.20 No.2

        This article focused on the birth of Seolchong(薛聰) among three Saints in Gyeongsan(慶山). The relationship between Seolchong and Abryang(押梁) could not be found befor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However, at the end of the Joseon(朝鮮) Dynasty, the birth of Seolchong(薛聰)'s Yucheon(柳川) was first announced by the scholars of Abryang, but a new monument was erected in the Yugok(油谷) Valley to escape the Japanese imperial guard. As a result, the birth of Yugok was settled. This seems to have happened when the scholars of the region revered Seolchong(薛聰) as the culmination of Confucianism as part of an effort to break free from the shackles of Gyeongju(慶州), before and after the fall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promote the culture of the region. The rendezvous of Wonhyo(元曉) and Princess Yoseok was complicatedly intertwined with power factors such as Kim Chunchu(金春秋)'s intervention, and was deeply connected with Apryang. Apryang was not only an outpost that saved the legacy of Silla, but also opened a flyer for the powers symbolized by Kim Chunchu(金春秋) and Kim Yu-shin, and was a political bridgehead that propelled the emergence of a major unification regime. The source of power that bolstered the driving force during Kim Chunchu(金春秋)'s reign, and the headquarters of the forces that created the company, were overwhelming. The meeting between Wonhyo(元曉) and Princess Yoseokgung, which will be linked to the birth of Seolchong(薛聰), was a political solidarity and alliance formed on the line that Kim Chunchu(金春秋) and Kim Yu-shin, who had political grace and a sense of debt in Apryang, sought solidarity with Wonhyo(元曉) from Apryang. As such, the birth of Seol-chong, the first grandson(alive) of Kim Chunchu(金春秋), was a very rare matter, an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his birth took place in a secluded and oppressive environment. There is no way to help but regret about the ambiguity and absence of the current strategy of Gyeongsan, which had a weak basis, while ignoring the huge historical implications of being the base of unification, the birthplace of the middle Silla royal family. A new definition of Apryang needs to be made. 본 논문은 압량의 3 성현 중 설총의 출생 문제를 집중 검토하였다. 설총과 압량과의 관계는 19세기 말 이전에는 찾을 수 없었다. 다만 조선말 압량의 사족에 의해 설총의 유천 출생이 처음 피력되었다가, 국망 이후 일제의 감시망을 피하여 더욱 깊은 유곡 골짜기에 신도비를 건립하게 되었고, 그 결과 유곡 출생이 정착하게 되었다. 이는 일대 사족이 조선 멸망을 전후하여 경주에의 속박을 벗고 일대의 문풍을 진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설총을 유학의 종주로 추앙하며 벌어진 일이라 보인다. 원효와 요석공주의 만남은 삼국 전쟁이라는 시간, 서라벌 도성이라는 공간, 김춘추의 개입과 같은 권력 요소 등이 얽혀 있었고, 압량과 깊이 연계되어 있었다. 압량은 김춘추, 김유신으로 상징되는 세력의 집권 전단을 열었으며, 중대 통일 정권의 등장을 추동케 한 정치적 교두보였다. 압량은 김춘추의 집권 과정에서 추동력을 북돋운 힘의 원천, 중대를 창출케 한 세력 본산이었다. 원효와 요석궁 공주의 만남은, 압량에 정치적 은혜를 입고 부채의식을 품은 김춘추, 김유신이 압량 출신의 원효와 연대를 꾀한 선상에서 이뤄진 정치적 연대와 제휴였다. 그런 만큼 김춘추의 첫 외손자(생존)인 설총의 출생은 초미의 긴요한 사안이었다. 이에 그의 출생이 궁벽한 압량에서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 통일의 거점, 중대 신라 왕실의 배태지라는 거대한 역사적 함의를 외면한 채, 근거가 박약한 3 성현(특히 설총)에만 매몰된 경산의 현 전략의 모호함과 부재에 관하여 아쉬움을 금할 길 없다. 압량에의 새로운 정의가 내려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越南 李朝(Lý朝) 古法(Cổ Pháp)과 Đền Đô(都殿)

        박순교 동아인문학회 2024 동아인문학 Vol.66 No.-

        越[Việt Nam] 최초의 장기 독립 왕조였던 Lý 왕조는 몇 가지 측면에서 특이하다. Lý 왕조가 새로운 수도 ‘昇龍’을 세웠지만, ‘昇龍’이 아닌 古法[Cổ Pháp]에 '太廟'를 건립한 점, Lý 왕조의 역대 군주, 황태후가 ‘昇龍’ 언저리가 아닌 古法에 歸葬한 점이 그러하다. ‘古法’은 ‘홍하’를 사이에 두고 ‘昇龍’ 북쪽에 있다. 이에 ‘古法’은 Lý 왕조 북진 정책의 전초 기지로도 비친다. 古法은 또한 Lý 왕조의 開祖 李公蘊의 出鄕地였다. 왕조의 발상지 古法이 지닌 불가침의 상징성과 중요성, 군사적 거점의 위상은 Lý 왕조의 명맥과 궤를 같이했다. Lý 왕조가 10년의 공역 끝에 越 역사상 최초로 ‘古法’에 세운 ‘太廟’는 고대 동아시아 都城 造營의 준칙, ‘左廟右社’의 혁파였다. Lý 왕조 군주 모두가 古法에 歸葬한 것은 부와 권력, 종교와 군사의 ‘古法’ 집중을 함의한다. Lý 왕조 치세 내내 역대 황제들이 영면한 ‘古法’과, 그곳에 세워진 ‘太廟’는 중요성을 지녔다. Lý 왕조의 시작과 끝은 ‘古法’에서 태동했다. ‘古法’은 Lý 왕조의 ‘神市’였다. Lý 왕조 ‘古法’의 '太廟'는 이후 ‘古法殿’, ‘李八位陵廟’ 등으로 불렸다. 현재 ‘古法’의 ‘太廟’는 舊墟 위에 복원을 거쳐 Đền Đô[都祠], ‘Đền Lý Bát Đế[李八帝殿]’로 불리고 있다. 현 Đền Đô의 正殿 中軸線은 고래의 동아시아에서 崇信된 정남향이 아닌, 남서향을 띤다. ‘古法’의 ‘太廟’가 특이하게 남서향을 택한 것은, 중화의 오랜 질서와 羈束에서 벗어난 것이자 홍하 건너 ‘古法’에 세워진 ‘太廟’가 ‘昇龍’과의 긴밀성을 역설하고자 照應함에 기인했다. 이는 유의미한 지점이다. ‘古法’의 ‘太廟’[Đền Đô]는 ‘昇龍’을 비추는[加護] 등불로 상정된다.

      • KCI등재

        越南 自主 王朝의 成立과 變遷(Ⅰ)―L王朝 以前 獨立 王朝를 中心으로―

        박순교 택민국학연구원 2023 국학연구론총 Vol.- No.32

        This text is a part of a piece of writing that attempted to fundamentally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ý dynasty, which is considered to have ushered in the beginning of a long-term independent dynasty in Việ Nam. The text takes the time period from Lý Dynasty (former) → Mai Dynasty → Phùng Dynasty → Khúc Dynasty → Dương Dynasty → Ngô Dynasty → Đinh Dynasty → Lê Dynasty as the temporal scope, and examines the historical creation and convergence process of the main characteristics implied by the Lý dynasty. The spirit of resistance and independence, mentioned a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Lý dynasty, was a spiritual ideology that had been steadily cultivated in the previous dynasties since the Lý Dynasty(former). Establishment of emperor title, era name was also firmly re-established by inheriting the long historical tradition of Lý Bôn[Lý Bí]-Đinh Bộ Lĩnh[Đinh Tiên Hoàng]-Lê Hoàn. Thăng Long, the capital of the Lý dynasty, was also an expansion and construction of existing castles such as Long Biên, Tống Bình, and Đại La of the previous dynasty. The Lý dynasty absorbed the strengths of the previous dynasties and took them one step further.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the background of the Lý dynasty's rise to power is the blood of the Yang clan, who married the rulers of the previous dynasty in succession. The high level of sacredness using the ‘dragon’ was also a political reenactment of the previous dynasty. Nevertheless, the Lý dynasty established a weak political system, eldest son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successfully entered medieval society. It seems that the ambivalent consideration of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history confirmed in the King Lý Dynasty will enable a more in-depth approach and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Việt Nam.

      • KCI등재

        越南 李朝(Lý朝) 太廟(Thái Miếu)의 偏額과 柱聯-俗稱 Đền Đô[都殿] 祠堂의 懸板 분석을 중심으로

        박순교 택민국학연구원 2024 국학연구론총 Vol.- No.33

        Lý朝는 1천 1백여 년에 걸친 중국에의 종속을 마감한, 최초의 장기 독립 왕조였다. Lý朝가 성취한 위업은 이후의 통일 왕조에 계승되었다. 首都 昇龍[Thăng Long]에 Lý朝의 역사적 자산이 산재한다. 과거 역사의 행간에서는 古法(Cổ Pháp)이 昇龍에 비견될 만큼 강한 역사적 위상을 지닌 곳으로 확인된다. 古法에는 Lý朝의 태동과 관련한 讖言, 역사적 遺址는 물론 Lý朝 아홉 군주 모두가 묻혀 있다. 古法에는 首都 昇龍에 소재했어야 할 太廟(Thái Miếu)가 자리해 있다. Lý朝 太廟는 본래 이름을 잃은 채로, Đền Đô(都殿), 李八帝殿(Đền Lý Bát Đế), 古法殿(Cổ Pháp điện) 등으로 일컬어져 왔다. 본문은 李朝(Lý朝) 太廟의 중요성을 상기하고, 太廟의 偏額과 柱聯을 전수 조사하였다. 古法 太廟의 柱聯 숫자는 進入路 14개, 文址 26개, 王母祠 16개, 五龍門 2개, 正殿 90개, 武址 22개로서 도합 170개[실제 166개]이다. 偏額의 총 숫자는 진입로 4개, 文址 3개, 王母祠 3개, 正殿 16개, 武址 5개로서, 도합 31개이다. 총 201개[실제 197개]에 달하는 古法 太廟의 偏額과 柱聯에는 Lý朝를 향한 과거와 현재의 역사적 해석과 평가가 담겨 있다. 이에는 최초의 장기 집권 제국인 Lý朝를 향한 향수가 詩文의 형태로 응축되어 있다. 이른바 偏額과 柱聯의 핵심은 Lý朝의 대내외적 위업을 칭송하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는 셈이다. Lý朝 ‘大越’을 향한 베트남의 如此한 기억은 崛起를 염두에 둔 ‘法古創新’으로 요약된다. The Lý dynasty was the first long-term independent dynasty. It effectively ended 1,100 years of restraint on China. The Lý dynasty's achievements were inherited by subsequent unified dynasties. Between the lines of past history, Cổ Pháp is identified as a place with a strong historical status comparable to that of Thăng Long. In Cổ Pháp is there the Thai Temple [Thái Miếu], which should have been located in Thăng Long Province. This paper has thoroughly investigated the tablets and vertical plaques of Lý Dynasty Thái Miếu, also known as Đền Đô, Đền Lý Bát Đế, and Cổ Pháp điện. The number of vertical plaques at Cổ Pháp, Thái Miếu is 14 for the entrance street, 26 for the shrine of literature, 16 for the shrine of the king's mother, 2 for the five dragon-doors, 90 for the main temple, and 22 for the palace, for a total of 170. The total number of tablets are 4 for the driveway, 3 for the literature shrine, 3 for the maternal shrine, 16 for the main shrine, and 5 for the military shrine, for a total of 31. A total of 201[actually 197] tablets and signs of Cổ Pháp, Thái Miếu contains historical interpretations and evaluations of the past and present of the Lý dynasty. The core of the vertical plaques and lintel tablets is composed of contents prai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achievements of the Lý dynasty and containing nostalgia for the Lý dynasty, the first long-reigning empire. Inevitably, Vietnam's fond memories of “Dại Việt” are summed up in the so-called “Old and New Law” with “ascent” in mind.

      • KCI등재

        後三國 政勢와 新羅 景哀王의 죽음

        박순교 택민국학연구원 2023 국학연구론총 Vol.- No.31

        경애왕 최후[경애왕의 포석정 유행, 경애왕의 죽음]를 비정하는 주요 전거로 활용되어 온 ≪삼국사기≫ 기록은 서술의 객관성이 의심된다. 경애왕 죽음을 담은 ≪삼국사기≫ 기록은 동시대인인 견훤과 왕건의 편지, ≪삼국사기≫ 찬자의 사관 등 여러 갈래로 해체된다. 그 내용은 착간, 혼돈, 모순으로 요약된다. 기록의 제반 분열 현상은 후삼국 각 지배자들의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파생한 정치적 사건의 불가피한 소산이었다. 경애왕의 죽음과 포석정 유행은 하나의 우발적 사건이 아니라, 거시적 으로는 경애왕 치세 4년 간 왕건과 견훤의 후삼국 쟁패 과정에서, 범위를 좁히면 927년 1년 내내 계속된 왕건과 견훤의 공방의 소용돌이 속에서, 더 작게는 견훤이 경애왕 거세를 표방하며 두 달 동안 고울부에서 서라벌을 향한 심리전을 지속하던 와중에서 일어난 정치적 사건이었다. 그 중에서도, 927년의 흐름과 관건은 전쟁의 연속성이었다. 경애왕의 최후, 포석정 사건은 견훤, 김부, 왕건이 각자 자신의 이익을 놓고 벌인 세 개의 전쟁과, 그 결 사이에서 벌어진 필연적 사건이었다. 경애왕이 쏘아올린 전쟁의 서막[927년 정월 3일], 경애왕의 최후에 이르기까지 후삼국 시대 전황을 축차적으로 조망한 결과, 경애왕 죽음은 경애왕이 벌인 위험한 전쟁[Civil War]의 산물이었다. 아울러 경애왕의 최후는 후삼국 지배 세력들이 각자의 이해를 도모하는 과정에서 그려낸 ‘弑君’이라는 큰 그림의 한 조각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