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 적용을 통한 에너지 절감 및 CO<SUB>2</SUB> 감축 효과 분석

        박수환(Soo-Hwan Park),한상준(Sang-Jun Han),위정호(Jung-Ho Wee) 大韓環境工學會 201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9 No.6

        본 논문에서는 국내 환경에서 설정된 가정 하에 지능형 전력망 기술이 지능형 송배전, 소비자, 전력서비스, 신재생 에너지 및 운송 등의 5가지 분야에 적용될 경우 2030년까지의 연도별 국내 에너지 절감 및 CO2 감축 효과와 그 상대적 기여도를 예측, 분석하였다. 2030년 지능형 전력망 운용에 따른 총 에너지 절감량은 103,121 GWh로 계산되며 이는 당해 소비전력량 전망치의 약 13.1%로 2025년 이후 이 비율은 약 10% 이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를 토대로 계산된 2030년 CO2 배출 감축량은 5,538만 tCO2로 계산되었고 이는 당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인 3억 1,500만 tCO2에 17.6%에 해당하는 값이다. 이러한 CO2 배출 감축량은 에너지 절감량과는 다르게 해가 거듭될수록 전체 배출 감축량에 대한 그 비율이 감소하는데 이는 향후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석탄화력 발전량의 지속적인 증가와 국가의 목표 배출 감축 속도가 매우 빠르게 설정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030년 5가지 각 분야에서의 에너지 절감 및 CO2 배출 감축 기여 비율은 지능형 소비자 44.37%, 신재생 에너지 29.16%, 전력서비스 20.12%, 송배전 5.11%, 운송 1.24%로 계산되고 시간에 따른 상대적 에너지 절감 속도는 지능형 소비자 분야가 가장 빠르며 신재생 에너지 및 전력서비스로 순서를 이룬다. 송배전 분야에서의 절감속도는 송배전 손실률 향상의 한계 때문에 낮고, 전기자동차 예상 보급 대수의 증가율이 낮아 운송 부분의 절감 속도가 가장 느리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energy savings and CO<SUP>2</SUP> emission reductions obtainable from the situation that the Smart Grid system (SGs) is assumed to be applied in Korea up to 2030 is quantitatively analyzed with many reported data. For calculation, SGs is divided into five sectors such as Smart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T&D), Smart Consumer (SC), Smart Electricity Service (SES), Smart Renewable Energy (SRE) and Smart Transportation (ST). Total annual energy savings in 2030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03,121 GWh and this is 13.1% of total electricity consumption outlook. Based on this value, total amount of reducible CO<SUP>2</SUP> emissions is calculated to 55.38 million tCO<SUP>2</SUP>, which is 17.6% of total nation"s GHG reduction target. Although the contribution of energy saving due to SGs to total electricity consumption increases as years go by, that of CO<SUP>2</SUP> emission reduction gradually decreases. This might be because that coal fired based power generation is planned to be sharply increased and the rate of CO<SUP>2</SUP> emission reduction scheduled by nation is very fast. The contributable portion of five each sector to total CO<SUP>2</SUP> emission reductions in 2030 is estimated to be 44.37% for SC, 29.16% for SRE, 20.12% for SES, 5.11% for ST&D, and 1.24% for ST.

      • KCI등재

        황반원공과 망막앞막에서 25게이지 유리체수술과 관련된 의인성 망막열공

        박수환(Su Hwan Park),권한조(Han Jo Kwon),박성후(Sung Who Park),변익수(Ik Soo Byon),이승민(Seung Min Lee)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6

        목적: 황반원공과 특발성 망막앞막으로 25게이지 유리체수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과 관련된 의인성 망막열공의 발생과 특징을 수술 기록과 수술 전 광각안저촬영 및 안저검사와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6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유리체절제술을 시행받은 황반원공 82안과 망막앞막 285안에 대해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의무기록을 통해 수술 전 안저검사 및 광각안저촬영에서 관찰된 망막열공과 수술 중 관찰된 망막열공의 수와 위치를 비교하고, 망막원공, 망막격자변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후유리체박리 여부를 확인하여 각 인자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유리체절제술을 시행받은 367안 중 6안(1.6%)에서 의인성 망막열공이 발생하였다. 그 외 34안(9.3%)에서는 수술 전 망막열공이 확인되었다. 망막원공은 15안(4.1%), 망막격자변성은 32안(8.7%), 후유리체박리는 261안(71.1%)에서 있었으며, 의인성 망막열공과의 연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수술 전 망막열공 중 안저검사에서 발견된 것 외에 광각안저촬영에서 14개를 더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25게이지 유리체절제술과 관련된 의인성 망막열공은 기존의 보고된 20게이지 유리체절제술보다 낮은 빈도로 발생하였고, 광각안저촬영으로 기존 연구 방식보다 더 정확하게 망막열공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o determine the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iatrogenic retinal breaks in patients who underwent 25-gauge vitreous surgery for macular hole and idiopathic epiretinal membrane, with a comparison and analyses of surgical records and preoperative data, including wide-angle fundus imaging and indirect ophthalmoscopic examination finding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for 82 macular hole eyes and 285 epiretinal membranes that underwent vitrectomy at our hospital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9. The number and location of retinal breaks observed in preoperative fundus examination and wide-angle fundus imaging were compared with those indicated in the surgical records. The presence of retinal breaks and retinal lattice degenera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relationship of each factor with respect to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PVD) was examined. Results: Of the 367 eyes that underwent vitrectomy, six eyes (1.6%) developed iatrogenic retinal breaks. Thirty-four eyes (9.3%) had retinal breaks before surgery. Retinal break was found in 15 (4.1%) eyes, retinal lattice degeneration was indicated in 32 eyes (8.7%), and PVD occurred in 261 eyes (71.1%). The association of iatrogenic retinal break and PVD was not confirmed. An additional 14 preoperative breaks, not seen in indirect ophthalmoscopic examination, were identified in wide-angle fundus images.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25-gauge vitrectomy-related iatrogenic retinal breaks occurred at a lower frequency than previously reported for 20-gauge vitrectomy procedures. Wide-angle fundus imaging was able to identify retinal breaks more accurately than conventional research methods.

      • KCI등재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장기적 임상 경과-65세를 기준으로

        이한올(Han-Ol Lee),장성주(Seong-Joo Jang),김인수(In-Soo Kim),한재복(Jae-Bok Han),박수환(Soo-Hwan Park),김정훈(Jeong-Hun Kim),장영일(Young-Ill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는 일차적인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를 시술 받은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들에서 임상적 특성, 관상동맥 병변 및 중재술의 특성, 병원 내 및 1년 사망률과 주요심장사건(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의 발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6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0일까지 모 대학병원 심혈관센터에서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진단받고 흉통 발생 12시간 이내 관상동맥 조영술 및 일차적 PCI를 시행 받은 환자 1,974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65세 이상의 I군(1,018예, 연령 73.8±5.99세, 남자 : 여자 =574 : 821)과 65세 이하의 II군(956예, 연령 52.8±7.96세, 남자 : 여자 = 444 : 135)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는 I군에서 더 높았고, 흡연력, 고지혈증, 가족력은 II군에서 높았다. PCI표적 병변은 I군에서 좌주관지(2.7 vs. 1.6%, p=0.007)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다혈관병변(54.5 vs. 41.0%, p<0.001)도 I군에서 많았다. 병원 내 사망(8.4 vs. 1.9%)과 MACE(20.1 vs. 14.0%)는 I군에서 많이 관찰되었다(p<0.001). 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 결과 65세 이상 고령 환자에서 1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인자는 내원 시 혈중 creatinine 1.3 mg/dL 이상, 뇌혈관 질환, 수축기 혈압<100 mmHg, Killip class II이상, 다혈관 질환, 그리고 좌심실 구혈률<40%로 나타났다.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has been found to be superior, in terms of hospital mortality and long-term outcome, compared with thrombolytic therapy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However, the clinical benefits of primary PCI have not been precisely evaluated in elderly patients.1,974 patients (Group I: n=1,018, age≥65years, 73.8±5.99years; Group II: n=956, age<65years, 52.8±7.96years) who underwent primary PCI for AMI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06 and 2010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linical,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for hospital and one-year survival. Group I had a higher percentage of women,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multi-vessel disease and lower prevalence of current smoking, hyperlipidemia, familial history than Group II. Culprit lesions were at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eft circumflex artery, right coronary artery and left main artery in 42.8% vs. 45.0%, 34.1% vs. 29.6%, 14.6% vs 14.6, 2.7% vs. 1.6%, respectively (p=0.007). Stent diameter was smaller in group I (3.17±0.39 vs. 3.29±0.42mm, p=0.001). In-hospital mortality was higher in group I (8.4 vs. 1.9%, p<0.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s of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one-year clinical follow-up (20.1 vs.14.0%, p<0.001).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ystolic blood pressure<100mmHg, serum creatinine≥1.3mg/dL, Killip class> I, multivessel diseas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40% and cerebro vascular disease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one-year motality in patients over 65 years after PCI.

      • KCI등재후보

        신장기능이 저하된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조영제 유발 신증의 발생 예측인자

        김주한 ( Ju Han Kim ),박종춘 ( Jong Chun Park ),조정관 ( Jeong Gwan Cho ),안영근 ( Young Keun Ahn ),홍영준 ( Young Joon Hong ),김계훈 ( Kye Hun Kim ),강정채 ( Jung Chaee Kang ),박수환 ( Soo Hwan Park ),정명호 ( Myung Ho Jeong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2 No.2

        Background/Aims: Contrast-induced nephropathy (CIN) is an important complication of diagnostic coronary angiography (CAG) an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predictors of the development of CIN in acute coronary syndrome (ACS) patients with renal dysfunction undergoing PCI.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June 2010, we evaluated the clinical, laboratory, and angiographic data of 406 patients with ACS who had a serum creatinine ≥ 1.3 mg/dL and underwent CAG or PCI.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IN (CIN, n=92; no CIN, n=314). Results: Of the 406 patients, 92 (22.7%) developed CIN. The development of CIN was associated with a lower baseline body mass index (p=0.001), decrease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p<0.001), decreased creatinine clearance (CrCl) (p<0.001), lower albumin (p<0.001), lower hemoglobin (p=0.003), higher N-terminal pro B type natriuretic peptide (p=0.001), and greater contrast medium volume (CMV) (p=0.021).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LVEF<40% (OR, 4.080; 95% CI, 2.087-7.977; p<0.001), albumin<3.5 g/dL (OR, 2.042; 95% CI, 1.211-3.440; p=0.007), and CMV/CrCl ≥ 3.5 (OR, 1.964; 95% CI, 1.243-3.101; p=0.004)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CIN. The cut-off value for CMV/CrCl was 3.5, and that for albumin was 3.55 g/dL. Conclusions: CIN occurred in 22.7% of the patients with ACS and renal dysfunction who underwent CAG or PCI. Independent predictors of CIN were decreased LVEF, decreased albumin, and increased CMV/CrCl ratio. (Korean J Med 2012;82:185-193)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