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군사우주력에 대한 평가 및 함의

        박상중,조홍제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1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6 No.4

        As the barriers to entry into space are lowered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space technology in the new space age, the world is entering into endless competition for space development. In particular, not only North Korea, but also the United States (U.S), China, Japan, and Russi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re spurring the militarization of space and weaponization of space. North Korea is starving to secure an asymmetric military space power by establishing space dedicated organizations and test-launching space launch vehicles (SLVs) and ballistic missiles (BMs) six times at the national level. North Korea's space provocation is emerging as a serious security threat not onl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n East Asia. From the military aspect of space development, the Republic of Korea (ROK) is in the early stages of building space capabilities as well as establishing a space defense policies and military space strategies. Today, ROK is in the space umbrella of its alliance against space threats from North Korea and its neighbors. ROK needs to hurry to secure its own military space power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ition to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PCON). In particular, ROK should actively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dedicated organizations, the development of the joint space doctrine, and the strengthening of Civilian‧Government‧Military space cooperation in preparation for the strengthening of North Korea's asymmetric military space power. Finally, Republic of Korea, as a mid-country in space development, should prepare for the transition of wartime OPCON and space threats from North Kore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on the basis of the strong ROK-U.S. Alliance and establish the defense space policy and the military space strategy early in parallel with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space capabilities. 뉴스페이스(New Space) 시대 첨단우주기술의 발전으로 우주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아지면서 세계는 우주개발의 무한경쟁에 돌입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 주변의 미‧중‧일‧러 강대국뿐만 아니라 북한도 우주의 군사화(Militarization of Space) 및 무기화(Weaponization of Space)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북한은 국가 차원에서 군사우주 전담조직을 정비하고, 6차례의 우주발사체 및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통하여 비대칭 군사우주력 확보를 위해 집요하게 매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북한의 우주도발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심각한 안보위협으로 대두되고 있다. 한국은 우주개발에 있어 군사적 측면에서 우주력 건설뿐만 아니라 국방우주정책과 군사우주전략을 수립하는 초기 단계에 있다. 현재는 북한 및 주변국의 우주위협에 대해 동맹의 우주보호를 받고 있지만,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등을 고려하여 독자적인 군사우주력 확보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 특히 북한의 비대칭 군사우주력 강화에 대비하여 전담조직의 신설, 합동우주교리의 발전, 민관군 우주협력의 강화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은 우주개발의 중견국가로서 공고한 한미동맹을 근간으로 전작권 전환 및 북한‧주변국 우주위협에 대비하여 군사우주력 건설과 병행하여 국방우주정책과 군사우주전략을 조기에 정립하여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주변국 우주군사전략이 한국군에 미치는 함의

        박상중,조홍제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0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5 No.4

        This article present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ROK) Armed Force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space military strategy of neighboring countries according to the advanced space technolog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ilitarization and Weaponization of space are intensifying in New Space era. United States(U.S.), China, and Russia are competing to secure Space Superiority. U.S. activated the Space Force in 2019 and is eager to achieve Space Superiority. To this end, it secures a safe space environment by preventing interference and collision in space, guarantees military access to space by using space capabilities, and also actively fosters space industry to provide a foundation for space activities. China is strengthening its Rocket Command and Strategic Support Force to gain an edge in space competition with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China regards the space military strategy as the core of a great power and is devoted to the development of Space Dream, Space Silk Road, Beidou GNSS, and Anti Satellite Weapon (ASAT). Japan is putting the core mission of the Self-Defense Forces on multidimensional cross-domain operations in space, cyber, and electromagnetic spaces based on the U.S.-Japan integration strategy. Based on the U.S.-Japan alliance, Japan strengthen its capabilities to develop its own advanced space technology while coping with space threats and is building a convergent foundation for advanced space technologies through organic cooperation between the state, related organizations and companies. In addition, Japan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standards related to space in preparation for space threats from China and Russia. Russia is pushing ahead with the improvement of its satellite system, such as launching capacity, which is the basis of space power, securing a space base, and launching additional navigation and communication satellites to overcome the short of national financial resources. Russia is also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a counterspace system capable of neutralizing U.S. space services to offset U.S. space superiority and strengthen responsiveness. Russia also is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a counterspace system capable of neutralizing US space services in order to offset US space superiority and strengthen responsiveness. In conclusion, the Republic of Korea, as a middle-powered nation, should push forward a defensive space deterrence strategy step by step based on the strong alliance and strengthen its own space power in preparation for the transition of wartime operations control.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첨단우주기술의 발전에 따른 주변국의 우주군사전략의 발전동향을 분석하여 한국군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뉴스페이스(New Space)의 도래에 따라 우주의 군사화(Militarization) 및 무기화(Weaponization)가 강화되면서, 미‧중‧러를 중심으로 우주 공간에서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미국은 2019년 우주군을 창설하고, 우주우세 달성에 매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주에서의 간섭 및 충돌을 방지하는 등 안전한 우주환경을 확보하고, 우주력(Space Capabilities)을 이용하여 군사적 우주 접근을 보장하며, 우주활동의 토대를 제공하기 위해 우주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과의 우주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로켓사령부와 전략지원사령부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우주군사전략을 강대국의 핵심으로 간주하고 우주몽과 우주 실크로드, Beidou GNSS, 대위성요격체계(ASAT, Anti Satellite Weapon)의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일본은 미일 일체화 전략에 근거하여 자위대 핵심임무를 우주‧사이버‧전자파 공간에서의 다차원 영역횡단작전에 두고 있다. 미일동맹을 기반으로 우주위협에 대처하면서 독자적 첨단우주기술 개발능력을 강화하고, 국가와 관계기관 및 기업 등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첨단우주기술의 융합적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의 우주위협을 대비하여 우주 관련 국제적 협약 및 기준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러시아는 국가 재원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우주력의 기반이 되는 발사능력, 우주기지 확보, 항법 및 통신 위성 추가발사 등 위성체계 개선을 최우선으로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우주우세를 상쇄하고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국의 우주서비스를 무력화할 수 있는 대우주체계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주변국의 우주군사전략을 분석해 볼 때 한국은 중견국가로서 동맹을 근간으로 방어적 우주억지전략의 단계적 추진과 병행하여 전작권 전환에 대비한 독자적인 우주력도 강화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

        국방우주 발전체계의 개선방향

        박상중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3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8 No.3

        This article aims to assess the development status of defense space capabilities among major power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enhancing the development framework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defense space capabilities. The United States (U.S.),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has established the Space Force and Space Command to achieve space superiority, protect national interests, and safeguard its space assets. While not ruling out the use of force in space if necessary, the U.S. has also declared its intention to deter access to space by hostile nations. China has established a space operations organization under the Strategic Support Force (SSF) to achieve 'The Rise of China's Space (宇宙屈起)' and is integrating space, cyber, and electronic warfare operations. Particularly, there is a strong focus on acquiring the capability to intercept the opponent's space weapon systems. Despite the protracted nature of the conflict in Ukraine, Russia considers the U.S. missile defense system and the deployment of space weapons as major military threats. As a result, Russia is intensifying the development of an anti-space system, with a focus on the aerospace forces. Japan, citing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 threats, is pursuing the establishment of stand-off counterattack capabilities in collaboration between the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JAXA) and the Air Self-Defense Force, in line with the militarization trend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North Korea is also devoting significant efforts to secure asymmetric military space capabilities, with a focus on the National Aerospace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DA) for the development of space launch vehicles, ballistic missiles, and hypersonic missiles. Additionally, North Korea is enhancing space cooperation with Russia. ROK is advancing defense space policies and military space strategies at the level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ND) and Joint Chiefs of Staff (JCS). In 2022, a Military Space Department was newly established within the JCS, and each military service is consistently expanding dedicated space departments. Despite practical limitations such as force reduction, population decline, and constrained defense resources, the ROK military must strive for the independent development of defense space capabilities based on robust alliances. This is to ensure comprehensive space security, including threats from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Electromagnetic Pulse (EMP), and jamming, as well as the strengthening of space capabilities by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Russia, and Japan, and the space hazards posed by space debris. ROK defense space capabilities must be incrementally enhanced, differentiating between responses to space threats and hazards, support for joint military operations, establishment of a nationwide coordination framework, and strengthening international . 이 연구는 한반도를 에워싼 강대국의 국방우주력 발전상황을 평가하고, 한국군의 국방우주 발전체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미국은 국방수권법에 따라 우주군과 우주사령부를 창설하여 우주우세를 유지함으로써, 우주에서 미국의 이익과 우주자산 보호를 추진하고 있다. 필요할 경우 우주공간에서 무력사용을 배제하지 않고, 적대국가의 우주공간 접근도 차단할 것을 천명하였다. 중국은 우주굴기(宇宙屈起) 달성을 위해 전략지원부대 예하에 우주작전조직을 편성하고 우주·사이버·전자전을 통합하여 수행하고 있다. 특히, 상대방의 우주무기체계를 요격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전쟁의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와 우주무기 배치를 주요 군사위협으로 상정하여 항공우주군을 중심으로 대우주체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본은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위협을 명분으로 미일 군사일체화 기조에 따라 우주항공우주개발기구(JAXA)와 항공우주자위대의 협업으로 스탠드오프(Stand-off) 반격능력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북한 또한 비대칭 국방우주력 확보를 위해 국가우주개발국(NADA)를 중심으로 우주발사체, 탄도미사일,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러시아와 우주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한국은 국방부와 합참 차원에서 국방우주정책과 군사우주전략을 발전시키고 있고, 2022년 합참에 군사우주과를 신설하였으며, 각군에서도 우주전담부서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다. 한국군은 북한의 핵‧미사일, EMP 및 재밍 위협, 중국·러시아·일본 등 주변국의 우주력 강화, 우주잔해물에 의한 우주위험 등 포괄적 우주안보를 확보하기 위해서 병력감축 및 인구절벽, 국방 재원의 제한 등 현실적인 제한에도 불구하고 굳건한 동맹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국방우주력 건설에 매진해야 한다. 한국의 국방우주력은 우주위협 및 우주위험 대응, 합동군사작전 지원, 국가 차원의 협력체계 구축, 국제협력 강화 등으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전쟁 초기 산업동원의 실효성 제고 방안

        박상중,정일성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안보전략연구원 2024 재향군인회 안보전략연구 Vol.11 No.-

        이 연구는 전쟁 초기 산업동원의 실효성을 높일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업동원 체계와 제도, 동원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산업동원 체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겠다. 전쟁 초기에 폭증하는 군수소요에 비해 산업동원 능력은 매우 저조하다. 따라서 실질적인 동원능력을 토대로 현실성있게 물자동원 체제를 발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전시 군수지원 소요와 능력판단 주기를 1년 이내로 줄여야 한다. 둘째, 전시소요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군사소요를 투명하게 제시해야 한다. 또한, 동원에 대한 지나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소요획득 정책도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동원지정업체에 대한 생산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업체에 대한 혜택도 실질적으로 증진해야 한다. 넷째, 동원자원 정보를 국방부와 행정기관이 원활하게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개선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실질적인 자원조사와 훈련 등 동원준비태세를 강화하여야 한다. 국가안보와 국방은 국가 생존과 번영을 위해 중요하다. 그렇다고 국민 안전과 발전을 희생시켜서는 안 된다. 또한, 경제적 국방이 반드시 효율성으로 결정되거나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동원은 개인과 기업 소유의 자원을 유사시 국가가 점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과 기업의 자발적 참여와 지지가 중요하다. 따라서 산업동원을 위한 정책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기존의 정책과 제도의 틀을 벗어나 국민의 편익을 보장하고 지지를 받는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industrial mobilization in the early stages of war.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ndustrial mobilization system, systems, and mobilization capabilitie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industrial mobilization system. Compared to the rapid increase in military logistics demand in the early stages of the war, industrial mobilization capacity was very low.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realistic material mobilization system is based on practical mobilization capabilities. First, the wartime logistics support requirements and capability judgment cycle must be reduced to less than one year. Second,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wartime requirements, military requirements must be presented transparently. There is also a need to redesign acquisition policies to reduce overreliance on mobilization. Third, benefits for designated companies must be significantly improved to increase production capacity. Fourth, the collaboration system must be improved so th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administrative agencies can smoothly share and utilize information on mobilized resources. To achieve this, the preparedness for armistice mobilization must be strengthened, including practical resource surveys and training. National security and defense are important for a nation's survival and prosperity. However, public safety and development must be taken seriously. Additionally, defense based on economics cannot necessarily be determined or achieved by efficiency. Mobilization is the government's forced use of resources owned by individuals or companies in times of emergency, so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upport of individuals and companies is very important. Therefor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 industrial mobilization policy,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the framework of existing policies and systems and develop a policy that can guarantee convenience and receive support from the peop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국의 패권화 전망에 대한 분석적 평가

        박상중,장미화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안보전략연구원 2023 재향군인회 안보전략연구 Vol.10 No.-

        중국의 시진핑은 중국몽(中國夢)을 통해 국제사회로부터 미국과 대등한 강대국 지위를 인정받으려는 의지를 명확하게 표명하고 있다. 일대일로 전략(一帶一路 戰略)을 통해 강군몽(强軍夢)과 해양굴기(海洋堀起)를 선포하면서 해양 군사력 증강과 강력한 경제력 건설을 통해 중국 중심의 새로운 국제질서 창출을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 중국의 강대국화 5대 핵심 조건의 충족 여부를 평가하고 향후 패권화 가능성을 전망하는 데 있다. 먼저, 군사력 측면에서 중국은 세계 3위의 군사대국으로서, ‘해양강국’과 ‘강군몽’을 통해 해군력 강화와 현대화에 매진하고 있으나, 단기간에 미국과 같은 지구적 투사 능력 확보는 힘들 것이다. 둘째, 경제력 측면에서 중국은 개혁개방을 통해 괄목상대한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으나, 중국의 2020년 기준 1인당 GDP는 미국의 1/6 수준이고 첨단 과학기술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할만한 핵심기술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내부통제력 측면에서 중국은 지역 불균형으로 인한 빈부격차, 소수민족 충돌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 또한, 중국은 언론자유지수 177위, 부패인식지수 80위, 취약국가지수 92위, 세계행복지수는 94위 등 세계 최하위권으로 중국 내부가 건강하지 않음을 알려주고 있다. 넷째, 대외환경에 대한 적응력 측면에서 중국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다수의 다자협력 기구를 출범시키고, 대외직접투자(ODI)과 공적개발원조(ODA) 등을 통해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나 단기간에 미국을 위협할 정도의 성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미국과의 전략적 관계 악화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마지막으로 연성권력 측면에서 중국은 강대국의 정체성을 연성권력으로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어서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은 미국과의 국력 격차를 줄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는 하드파워 위주의 양적 증가에 치중한 결과로 국제무대에서 외교력과 소프트파워에 대한 영향력이 미흡하다. 또한, 중국은 인도-태평양 전략를 추진하고 있는 미국에 맞서 세계 정치경제와 안보 질서를 주도할 수 있는 역량을 단기간에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미래에도 중국은 미국을 따라가야 하며, 미국을 위협할 정도의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국가이익과 국가안보를 고려하여 전략적 선명성을 바탕으로 미국과 중국의 관계를 발전시켜야 한다.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MA LEADERSHIP Evaluation System(KMALES)

        박상중,임유신 J-INSTITUTE 2021 Regulations Vol.6 No.1

        Purpose: In this study, we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leadership evaluation index developed as an early stage of this leadership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study, and demonstrate the validity of the index by com-paring it with the existing leadership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optimal plan will be de-velop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and through this, the Korea Military Academy's leadership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 will be improved and further developed. Method: The leadership activities of cadet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activities: leadership program, self-governing activities, and school/external activities to calculate activity scores based on the time spent on various activities, and finally, leadership evaluation index was calculated. We have gone through many tests to establish an optimal index for each activity. We surveyed tactical officers to get their insights and compared the evaluation results of 230 KMA cadet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KMALES index and other leadership evaluation tools. Results: The leadership evaluation index was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Lea-dership Competency Diagnosis and Leader Behavior and Value Evaluation, were very similar in evaluation of excellent and poor cadets. Therefore, the leadership evaluation index proved valid as a leadership evaluation system for cadets. Conclusion: First, it is the development of a new concept of leadership evaluation system that evaluates the leadership of cadets. Second, it has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new leadership evaluation system through verification of its effectiveness and validity. Third, it can be expanded to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in the coun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