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상형태 {-더-}의 쟁점과 전망

        박부자 국어사학회 2018 국어사연구 Vol.0 No.27

        이 글은 통시적 관점에서 시상형태 {-더-}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쟁점을 위주로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 것이다. {-더-} 관련 쟁점은 첫째, 중세국어 {-더-}의 의미, 둘째, {-더-}의 비동일주어제약 성립 시기와 원인, 셋째, ‘-더시-’와 ‘-시더-’ 공존형, 넷째, 한글 창제 이전 차자표기 자료에 나타난 {-더-} 관련 차자표기자와 그 독법, 다섯째, ‘-ᄃᆞ-, -드-’ 등 {-더-} 관련 형태 간의 관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들로부터 앞으로의 {-더-} 관련 연구는 고대국어부터 시작하는 진정한 의미의 통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이러한 통시적 연구를 진행할 때 형태, 기능, 문법화, 분포 등 그 대상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점, 대상자료의 확대 또한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examining the fruits of existing research on the tense-aspect form {-deo 더-}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with a focus on the points of contention and present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e points of contention regarding {-deo-} were examined after being classified into: first, the meaning of {-deo-} in Middle Korean ; second, the time and cause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on-equi-subject constraint on {-deo-}; third, interpretations of the coexisting forms “-deosi 더시-” and “-sideo 시더-”; fourth, {-deo-}-related Chinese characters used to transcribe Korean in materials on the transcription of Korean using Chinese characters from before the creation of Han’geul 한글(1443; proclaimed in 1446) and their readings; and, fifth, the relationships among {-deo-}-related forms including “-dʌ ᄃᆞ-” and “-deu 드-.” From such discussions, the following points were derived: future studies on {-deo-} must be diachronic research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starting from Old Korean ; in conducting such diachronic research, the scope of the topics examined such as form, function, grammaticalization, and distribution must be expanded; and the materials examined likewise must be expanded.

      • KCI등재

        東大寺圖書館 소장 『大方廣佛花嚴經』 卷第12~20에 角筆로 기입된 諸符號

        박부자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59 No.-

        This paper aims to organize the marks written in gakpil in the Volume twelve to twenty of the AvatamsakaSutra owned by Todaiji Library, which was transcribed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and to report the over all features of the marks to the academic community. It shall directly prove the marks used in understanding or reciting the texts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and their specific roles respectively. To begin with, the marks written in gakpil in the AvatamsakaSutra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e marks related to the texts, which includes Hap-bu(合符, marks for the aggregation), Hundok-bu(訓讀符, marks for rendering Chinese writing into Korea), Sangryak-bu(省略符, apostrophe), Sakje-bu(削除符, marks for elimination), and the ones to the recitation, comprised of Seongjeom(聲點, marks for the “Four Tones” of classical Chinese) and Beompae-bu(梵唄符, marks for the Buddhist chants). Amongst the marks, it i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 of the starting point of Beompae-bu to Seongjeom cannot be contradicted in case of Pyeongseongja(平聲字), after the examination of the possible relations suggested in the existing discussion. There also exist the undeciphered marks,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few of them could be the ones for the translation and reading. Based on the examination on each mark, it is ascertained that the location and the form of the marks do not show the pattern of one-to-one correspondence to the indicating function of the marks in the AvatamsakaSutra owned by Todaiji Library. 본고는 8세기 중반에 書寫된 東大寺圖書館 소장 『大方廣佛花嚴經』 卷第12~20에 角筆로 기입된 符號를 정리하여 그 전체 모습을 학계에 보고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8세기 중반에는 텍스트를 이해하거나 讀誦하는 데에 어떤 부호가 사용되었는지, 그 부호는 구체적으로 어떤 기능을 했는지 단적으로 드러날 것이라 생각된다. 우선 동대사 화엄경에 각필로 기입된 부호는 텍스트와 관련된 부호와 讀誦과 관련된 부호로 나눌 수 있었다. 텍스트와 관련된 부호로는 合符, 訓讀符, 省略符, 削除符 등이 있으며, 讀誦과 관련된 부호로는 聲點과 梵唄符가 기입되어 있다. 이 가운데 기존의 논의에서 제기되었던 梵唄符의 시작점과 聲點의 관계를 점검해 본 결과 평성자의 경우는 그 관계를 부정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각 부호를 살펴본 결과 동대사 화엄경에 기입된 부호는 기입 위치 및 부호의 모양과 그 부호가 표시하는 기능이 일대일로 대응되지 않았다. 이외에 미해독의 부호도 적지 않은데 그 가운데 몇몇은 逆讀線으로 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東大寺圖書館 소장 『大方廣佛花嚴經』 권제12~20의 角筆을 통해 본 신라어 문법형태소

        박부자 구결학회 2014 구결연구 Vol.33 No.-

        This paper examines the appearance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of Silla language amongst gakpil(角筆) marks in the volumes from twelve to twenty of the Avatamska Sutra(大方廣佛花嚴經), which is owned by Todaiji, and exposes its value as the research material for the Ancient Korean. These volumes are included in Silla Manuscript which was transcribed around 740 A.D., and there appears eighteen grammatical morphemes. Among them, 12 postpositional particles have been found 144 times in the volumes; seven for the case particles, the nominative case particle [尹/i], the objective case particle [肐/ɨl], the genitive case particle [叱/s], the adverbial case particles [/a], [/a], [卧/wa], [/ro] and three for the semantic particles [分/spun], [厼/gom], [古/go]. Besides, 7 grammatical endings have been found 48 times as well; connective endings [/a], [厼/myeo], [乃/na], [古/go], adnominal endings [隱/n], and final endings [立/syeo], [占/(n)dyeo]. These findings can supplement the inadequate data for the Ancient Korean, not only in its qualitative profiles but also in its aspects of the linguistic contents reflected in these morphemes. Particularly, the uses of [] for the speech verb ‘謂’, [厼/gom] for the verb ‘現’, and [叱] for copula are suggestive in the history of grammar as well as the conventions of the Korean reading of a Chinese characters, which, thus, needs to be examined more closely in the future. 본고는 東大寺圖書館 소장 『大方廣佛花嚴經』 권제12~20에 기입된 角筆字 중 신라어 문법형태소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고대국어 자료로서의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東大寺 소장 『大方廣佛花嚴經』 권제12~20은 740년 경에 書寫된 新羅 寫經으로 이 자료에 기입된 문법형태소는 총 19가지이다. 이 중 조사는 총 12가지 144회가 확인되었다. 격조사는 주격조사 [尹/이], 목적격조사 [肐/을], 속격조사 [叱/ㅅ], 처격조사 [/아], 구격조사 [/로], 호격조사 [/아]와 접속조사 [卧/와]가, 보조사는 [分/], [厼/곰], [古/고] 등이다. 어미는 총 7가지 48회가 확인되었는데, 연결어미 [/아], [厼/며], [乃/나], [古/고]와 관형사형 어미 [隱/ㄴ], 종결어미 [立/셔], [占/(ㄴ)뎌] 등이다. 이 가운데 동사구에 결합한 [厼/곰]은 어미일 가능성을, [乃/나]는 명사구 나열의 조사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처럼 동대사 소장 화엄경에 기입된 각필은 고대국어 자료의 빈약함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자료로 그 가치가 충분하다. 특히 화법동사 ‘謂’에 []가 기입된 것이나 동사 ‘現’에 [厼/곰]이 기입된 것, 계사 ‘是’에 [叱]이 기입된 것, 나열의 기능을 하는 [乃/나]와 단독보조사 [分/]의 존재는 한문 훈독의 전통뿐 아니라 문법사의 측면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아 앞으로 보다 면밀히 연구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東大寺圖書館藏 新羅 花嚴經에 기입된 각필자 [白]의 추가 용례에 대한 연구

        박부자 돈암어문학회 2022 돈암어문학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gakpil mark [白] additionally found in the Buddha’s Flower Garland Sutra of Great Expensive Teachings (大方廣佛花嚴經) from the volumes twelve to twenty owned by Todaiji Library and to to interpret its grammatical function. Additional identification on the gakpil mark written in the Buddha’s Flower Garland Sutra of Great Expensive Teachings(大方廣佛花嚴經) was conducted from the 9th in January 2014 to the 15th in January 2020. Fifteen gakpil marks were additionally found in the 9th to 15th surveys. In the previous investigation, only cases where [白] was written in ‘言’ were found. However, additionally investigation confirmed that gakpil mark [白] was written in an environment that was not found in the previous investigation, ‘或[白]名’ on line 50, ‘問[白]’ on line 150, and ‘云[白]何’ on line 870, ‘歡喜[白]’ on line 963, ‘各奏[白]’ on line 964, etc. In additionally found cases, [白] is usually the verb stem ‘*sʌlp[ᄉᆞᆲ]-’. However,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白], tasks to be solved were also revealed. It was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interpretation of character-attached Seokdokkugyol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 interpretation of gakpil mark of Hwaeomgyeong (花嚴經) in Silla Dynasty. In addition, while withholding the conclusion on how to interpret it, only the possibility and problems of interpretation were pointed out. 본고는 2014년 1월 제9차부터 2020년 1월 제15차까지 東大寺圖書館 소장 大方廣佛華嚴經 권제12~20의 각필 조사에서 각필자 []이 추가 확인됨에 따라 그 용례를 소개하고, 각필자 []을 해독하고자 한 것이다. 제9차~제15차의 조사에서 추가로 확인된 각필자 []은 총 15회였다. 이전 조사에서는 []이 ‘言’에 기입된 예만 확인할 수 있었으나 추가 조사에서는 50행의 ‘或[]名’, 150행의 ‘問[]’, 870행의 ‘云[]何’, 963행의 ‘歡喜[]’, 964행의 ‘各奏[]’ 등 이전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은 환경에 각필자 []이 기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 확인된 용례에서도 []은 대체로 동사어간 ‘*ᄉᆞᆲ-’을 기입한 것으로 보인다. 목적어 명사구가 존대의 대상인 경우에 실현되었음이 추가 용례를 통해서도 확인되었고, 주체가 화자나 객체보다 상위자인 존대의 대상인 경우에도 []으로 표기된 고대국어의 동사어간 ‘*ᄉᆞᆲ-’이 실현되었음을 추가 용례를 통해 재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을 해독하는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도 드러났다. ‘白[]法慧菩薩言[]’을 통해 고려시대 자토석독구결의 해독과 신라 화엄경의 각필 해독 간의 간극을 해소하는 것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또 150행의 ‘問[]’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의 경우 동사어간으로 해독할지 선어말어미로 해독할지 결론을 유보하였다. 870행의 ‘云[]何’, 963행의 ‘歡喜[]’, 964행의 ‘各奏[]’은 각필자 []의 해독이 어려운 경우였는데, 이들 예에 대해서는 해독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1) -고종대 이전 왕실발기를 중심으로-

        박부자 국립고궁박물관 2022 古宮文化 Vol.- No.15

        This article is the first to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Wangsil Balgi(王室 발기[件記]), a list of royal items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Until now, the status of Wangsil Balgi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was not well known. Therefore, it was written twice to introduce the status of Wangsil Balgi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to the academic world. Currently there are 32 Wangsil Balgis in total hous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In this paper, the first volume, 12 Wangsil Balgis written up to King Gojong(高宗) were targeted. First, 〈Gogung 1741〉 is a list of brass bowls and wooden objects prepared in connection with the marriage of Princess Hwasun(和順翁主, 1720-1758), written by Naesussa(內需司) in 1732, and is the oldest of the Wangsil Balgi. Regarding Wangsil Balgi written before the 19th century, they exist only as a record, and the actual material has not been confirmed.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existence of Wangsil Balgi written in the 18th century has been confirmed through the existence of 〈Gogung 1741〉. There are three Wangsil Balgis written during Heonjong(憲宗) and Cheoljong(哲宗): 〈Gogung 2214〉 written in 1846, and 〈Gogung 2213〉 and 〈Gogung 2522〉 written in 1851. All three of these cases are related to the enshrining of the portraits of the former king(御眞 奉安) and are data showing the reality of the enshrining of the portraits of the former king in the 19th century. Eight pieces of Wangsil Balgi from King Gojong(高宗) are in the collection. 〈Gogung 2216〉 was written by Naesussa in 1864, and it is a list of cloths sent to the Original Palaces(本宮) in Hamheung(咸興) and Yeongheung(永興) . 〈Gogung 2220〉 and 〈Gogung 2221〉 are lists of food for the memorial service of Queen Shinjeong(神貞王后). 〈Gogung 717〉 is a list of court ladies who were active at the wedding of Uihwa-gun(義和君, 1877-1955) in 1893. And 〈Gogung 2215〉 is a list of food prepared during the Iandarye(移安茶禮) and Judarye(晝茶禮) in 1896. 〈Gogung 2211〉 is a list of food for a tea ceremony(茶禮) held in the royal mausoleum in 1898 and 〈Gogung 2223〉 is a list of items sent to each place during the ancestral rites in Jinjoen(眞殿) in 1905. This paper has only briefly introduced these materials, but it is expected that based on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n-depth research in related fields will progress in the future. 본고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과 내용을 소개하는 첫 번째 편으로, 그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에 대해서는 그 현황조차 제대로 알려진 바 없어 두 번에 걸쳐 그 현황을 학계에 소개하고자 작성되었다.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왕실발기는 총 32점으로, 첫 번째 편인 본고에서는 고종대 이전에 작성된 왕실발기 12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18세기 초인 1732년에 화순옹주 길례 때 내수사內需司에서 작성한 왕실발기 〈ᄂᆡ슈ᄉᆞ 화슌옹듀 길녜시 소용 각양 유긔 목믈 ᄇᆞᆯ긔(고궁1741)〉는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 가장 오랜 것이다. 19세기 전의 왕실발기에 대해서는 그간 기록으로만 존재할 뿐 자료 실물이 확인된 바 없었는데 이로써 18세기에 실재한 왕실발기가 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 〈辛亥五月十七日 眞殿第六室 器皿(고궁2213)〉, 〈신ᄒᆡ오월십칠일 봉안시(고궁2522)〉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왕실발기 〈신ᄒᆡ오월십칠일 환안시(장서각1880)〉과 함께 철종대의 어진 봉안 의례 및 그 의례와 관련하여 어떤 왕실발기가 작성되었는지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이다. 그간 어진 봉안과 관련된 왕실발기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는데 연속성을 갖는 실증적인 자료가 확인된 것이다. 고종대 왕실발기 8점 중 〈갑ᄌᆞ구월 위시 냥 본궁 의ᄃᆡ소입(고궁2216)〉은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에는 본궁에서 지낸 제례와 관련하여 별건으로 남아있는 유일한 자료이다. 또 신정왕후의 제사와 관련된 〈신묘ᄉᆞ월십칠일 됴샹식 겸ᄒᆡᆼ 샹다례 단ᄌᆞ【큰뎐】(고궁2220)〉과 〈신묘십이월초뉵일 탄일 다례 단ᄌᆞ【큰뎐】(고궁2221)〉나 의화군 길례 때 작성된 〈의화군 길례시 자비내인 발기(고궁717)〉 등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본과 함께 관련 의례를 촘촘히 재구성하고 왕실발기의 제작 과정을 밝히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들 왕실발기는 기록된 왕실 물명을 통해 18, 19세기 왕실언어의 특징 또한 살펴보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고에서 소개한 각 왕실발기의 작성 시기와 내용이 바탕이 되어 이후 관련 분야에서 깊이 있는 연구가 진전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언간 자료의 어휘사적 가치에 대한 연구

        박부자 국어사학회 2014 국어사연구 Vol.0 No.18

        본고는 언간 자료에 나타난 한자어, “아무쪼록”의 의미를 갖는 부사, 어간 복합어, 의태어, 물명 관련 어휘 등을 통해 사적인 연속선 상에서 언간 자료의 어휘가 갖는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언간 자료의 어휘는 언해본의 제약된 어휘 자료를 보완해 줄 수 있으며, 그간 국어사에서 연구가 미흡했던 한자어나 의태어 등에 대한 연구의 가능성을 열어 준다. 또 그간 單線的으로 진행되었던 어휘사 연구가 지역, 성별, 연령 등 사회적 변인까지 고려한 重層的인 어휘사 연구로까지 나아갈 수 있는 바탕이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언간 자료의 어휘를 통해 16~19세기 언중들이 실제로 사용했던, 원문의 간섭을 받지 않은 자연스러운 국어 어휘의 모습과 그 변화를 추적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istorically lexical items in vernacular letters with a focus on Sino-Korean words, lexical variations of an adverb amuccolok(“아무쪼록”), stem compounds, mimetic expressions and names of things. Vocabulary in vernacular letters can supplement on the limited number of lexical items available in vernacular editions of Classical Chinese texts. It can also open up the research possibility for studying Sino-Korean words or mimetic expressions which have been rarely studied so far. Furthermore, vocabulary in vernacular letters can lay the ground work for further research on lexical history that take account of social variables such as region, sex or age. More importantly, lexical studies with vernacular letters enable us to trace the actual and natural use of lexicon—un-filtered through transliteration—and the historical changes.

      • KCI등재

        ‘어미’형과 ‘아비’형 친족어휘의 사적 고찰

        박부자 국어사학회 2010 국어사연구 Vol.0 No.11

        본고는 국어의 ‘어미’형, ‘아비’형 친족어휘가 변화한 양상을 형태의 변화와 의미의 변화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친족어휘가 겪은 형태변화 중 ‘-님’이 결합하는 호칭어의 마지막 음절에서 일어난 ‘ㅏ>ㅓ’의 변화는 16세기에, ‘-님>-니’의 변화는 18세기에 ‘어미’계 친족어휘에서 가장 먼저 그 모습을 드러낸다. 이후 19세기에 이르러 다른 친족어휘에서도 동일한 형태 변화를 겪게 되었다. ‘아바지’와 같은 ‘-지’형 친족어휘는 18세기 경기 이남 방언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19세기에 중앙에까지 확대되었다. ‘-지’형의 득세로 19세기에 나타난 ‘아바니’가 더 이상 세력을 키우지 못하고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할’의 변화는 ‘한어미’계가 15세기 이전에, ‘한아비’계가 17세기에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보인다. ‘한어미’계의 ‘한>할’의 변화는 15세기 이전에 시작되어 중앙어에서는 이미 ‘할’형이 정착하였고 이후 남부로 확산되어 남부에서는 17세기 이후에도 ‘한>할’의 변화를 겪고 있었다. 이와 같이 ‘어미’형, ‘아비’형 친족어휘의 형태 변화에서 ‘어미’계 친족어휘가 변화를 가장 먼저 겪게 된 것은 친밀도와 출현 빈도가 높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어미’계와 ‘아비’계 친족어휘에서 ‘-님’형이 혈연과 혼인에 의해 맺어진 친족을 모두 지시하다가 ‘-니’형이 생성되면서 혈연관계는 ‘-니’형이 담당하고 ‘-님’형은 혼인관계에 의한 대상만을 지칭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아미’계와 ‘아자비’계 친족어휘는 부모 항렬이나 화자와 동 항렬의 남성과 여성을 모두 지시하였다. 18세기 이후 이들 친족어휘의 각 지시 대상이 한자어로 대체되기 시작하였고, 19세기에는 ‘큰, 져근’이 결합한 형태 등 고유어 친족어휘가 사용되었다. 특히 새로운 고유어 친족어휘의 생성으로 ‘아미’계, ‘아자비’계 친족어휘가 쇠퇴하여 의미의 축소를 경험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achronic changes of the kinship terms with eomi and abi, focusing on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aspects. Amongst these changes, the phonological change from a to eo at the last syllable of terms of address combined with -nim appears to have occurred in the sixteenth century. Another change from -nim to ni is observable from kinship terms with eomi in the eighteenth century. This change expanded to other kinship terms by the time of the nineteenth century. Kinship terms with -ci such as abaci ‘father’ is observable in the south Gyeong-gi province 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this change continued in the central reg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Predominated by the -ci forms, the kinship term abani in the nineteenth appears to have become extinct. As for the change from han to hal forms, kinship terms related to haneomi ‘grandmother’ underwent the change earlier than the fifteenth century, while those related to hanabi ‘grandfather’ experienced the same change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diachronic change from han to hal in the grandmother-related kinship terms already settled down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change continued in the southern region even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As observed in this paper, the linguistic change of kinship terms with eomi and abi indicates that the mother-related forms are more susceptible for the linguistic change than the father-related forms. This distinction seems to be attributed to the degree of intimacy with the referents and the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Among kinship terms with eomi and abi, those with the honorific marker -nim were used in reference to kinship members tied by blood relations or marriages. As the new -ni form appears, this form was linked to kinship terms tied by only blood relations, whereas kinship terms with -nim seem to refer to only kinship members tied by marriages. Meanwhile, kinship terms with acomi and acabi refer to the male and female kinship members respectfully who are in the same generation with the speaker or the speaker's parents' generation. After the eighteenth century, these kinship terms began to be replaced by Sino-Korean terms, whereas native kinship terms, for example, those combined with kheun ‘older’ or cyekeun ‘younger’, began to be used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particular, resulted from the formation of the new native kinship terms, the existing kinship terms with acomi and acabi diminished, thus, underwent the narrowing of meanings.

      • KCI등재

        東大寺圖書館 소장 『大方廣佛花嚴經』 권제12~20의 교감을 통해 본 誤記와 異表記

        박부자 구결학회 2016 구결연구 Vol.36 No.-

        This study has as an objective to examine the writing system focusing on the collated materials from the Dunhuang(敦煌) Manuscripts(寫經), the First Edition of the Tripitaka Koreana(初雕大藏經) and the Second Edition of the Tripitaka Koreana(再雕大藏經), that were differently narrated from those in the Volumes from Twelve to Twenty of the Avatamska Sutra(大方廣佛花嚴經) Owned by Todaiji Library(東大寺圖書館). As a result of collating the Todaiji manuscript of the Avatamska Sutra with materials on the Dunhuang Manuscripts, the First Edi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and the Second Edi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erroneous parts containing erroneous or missing or repetitively written characters. At times, erroneously narrated part was revised or supplemented using an ancient pen. Such erroneously narrated characters were counted to be 70 in total. In addition, in case of transliterated words, there were cases where different transcriptions(異表記)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collated materials were used, and there also was a case where different characters were transcribed but they were not irrelevant in meaning so it was not considered as erroneous. Likewise, parts that were differently narrated from the collated materials showed how accurate the texts of the Todaji manuscript of the Avatamska Sutra(華嚴經) were, while it offered other possibilities for consideration, including a possible interpretation that it might have a difference in time period comparing with the collated materials. Moreover, this research result can contribute to investigating the nature of the Avatamska Sutra(華嚴經) of Silla Dynasty, such as the level of narration of the Silla Dynasty manuscripts(寫經) or affiliations of the Avatamska sutra(華嚴經) used during Silla Dynasty. 본고는 東大寺圖書館 소장 『大方廣佛花嚴經』 권제12~20의 교감을 통해 이 자료에 나타난 誤記와 異表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동대사본 화엄경을 돈황 사경, 초조대장경, 재조대장경 등 관련 자료와 교감한 결과, 자형상의 유사성으로 인한 誤字나 동일 구문 반복의 착각으로 인한 脫字 혹은 중복해서 적은 글자 등 잘못 書寫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혹 잘못 서사된 부분에 角筆로 잘못 서사한 글자를 교정하거나 빠진 글자를 보충하여 넣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잘못 서사한 글자는 총 70자로 집계되었다. 이외에도 음역자의 경우 교감 대상 문헌들과 다른 異表記를 쓰는 경우도 있었고, 다른 글자로 書寫되었으나 의미상 무관하지 않아 잘못 서사한 것으로 보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이 관련 자료와 다른 글자로 서사된 부분들은 東大寺本 華嚴經이 얼마나 정확한 텍스트인가를 알게 해 주는 한편, 교감 대상 문헌들과의 시기적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가능성도 있어 여러 측면에서 생각해 볼 여지를 제공해 준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 결과가 新羅 寫經의 書寫 수준이나 신라 시대 때 사용된 華嚴經의 계열을 밝히는 등 신라 시대 華嚴經의 텍스트 성격을 규명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全州 李氏 李衡祥家 諺簡에 대한 서지적 고찰

        박부자 국어사학회 2017 국어사연구 Vol.0 No.25

        본고는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全州 李氏 李衡祥家 諺簡 20건에 대한 서지적 고찰을 통해 발․수신자와 발․수신 관계, 발신 연도를 밝혀 국어사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해당 자료를 서지적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李師閔의 편지는 총 13건으로 이 중 12건이 아내에게 보낸 것이고 1건이 딸에게 보낸 것이었다. 편지를 보낸 시기는 주로 1620년대로 17세기 초의 언어를 반영하고 있다. 李柱廈의 편지는 총 3건으로 아내에게 보낸 것이 1건, 며느리에게 보낸 것이 2건이다. 발신 연도는 1650~1671년 사이에 보낸 것으로 17세기 중후반의 언어를 반영하고 있다. 李衡祥의 언간은 총 2건이며 모두 막내딸인 오명운의 처에게 1721년에 보낸 것으로 18세기 초의 언어를 반영하고 있다. 여기에 덧붙여 한 가지 주목할 것은 발신자인 李師閔과 李株廈의 거주지는 한양이었고 李衡祥의 거주지는 인천이어서 李衡祥家 諺簡이 근대국어 초중반의 중부 방언을 반영한 자료라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bibliographically examining the twenty eongan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諺簡) of Yi Hyeong-sang’s (李衡祥) family from the Jeonju Yi (全州 李氏) clan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 (國立 한글 博物館) and elucidating their senders and recipi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parties, and the years of correspondence so that these documents may be used as data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The results of a bibliographical examination of these data are as follow. Letters written by Yi Sa-min (李師閔) amount to a total of thirteen, twelve of which were addressed to his wife and one of which was addressed to his daughter, respectively. They were sent mainly in the 1620s, thus reflecting Korean from the early 17th century. Eongans penned by Yi Ju-ha (李柱廈) amount to a total of three, with one addressed to his wife and two addressed to his daughter-in-law, respectively. They were sent between 1650 and 1671, thus reflecting the language from the mid- to the late 17th century. Letters composed by Yi Hyeong-sang amount to a total of two, both sent to his youngest daughter, or O Myeong-un’s (吳命運) wife, in 1721, thus reflecting Korean from the early 18th century. One noteworthy aspect that must be added here is that, in terms of the senders of these eongans, while Yi Sa-min and Yi Ju-ha lived in Seoul (漢陽), Yi Hyeong-sang lived in Incheon (仁川) so that eongans from Yi Hyeong-sang’s family are data reflecting central dialects (中部 方言) of early to mid-Modern Korean.

      • 七佛庵 石經에 대한 硏究

        박부자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보 Vol.0 No.40

        본고는 新羅의 石經 중 경주 七佛庵에서 출토 혹은 발견된 石經 5片을 대상으로 그간의 논의를 되짚어 보고, 각 片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핀 것이다. 먼저 [경주 155](大)는 그간 『金剛經』으로 알려진 조각인데 본고를 통해 金剛經의 여러 異譯 중 鳩摩羅什 번역본임이 밝혀졌다. 한편 [경주 155](小), [경주 200], [경주 10586]에 대해서는 그간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으나 본고를 통해 약사경 중 玄奘 번역본인 『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임이 밝혀졌다. [경주 155](大)와 마찬가지로 1행 36자로 되어 있으며 내용 상 [경주 155](小) - [경주200] - [경주 10586]의 순서임을 알 수 있었다. 校勘한 결과 [경주 155](小)에서 기존에 ‘完’이라고 판독한 글자는 ‘肉’의 異體字인 ‘宍’이며, ‘所’ 등도 古字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황수영 소장 칠불암 석경은 두 글자만 남아 있기 때문에 經名을 명확히 알 수 없다. 다만 남아 있는 글자로 추론해 보건대 금강경보다는 약사경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provides a literature review of five pieces of scripture stones either excavated from or discovered at Chilbulam(Seven Buddha’s Hermitage) in Gyeongju and examines each piece in detail. Firstly, this paper shows that [Gyeongju 155] (large), which is known was a copy of Diamond Sutra(金剛經), is a version translated by Jiūmóluóshí(鳩摩羅什). Although little is known about [Gyeongju 155](small), [Gyeongju 200], and [Gyeongju 10586], this paper has discovered that they are identified as Sutra of the Vows of the Medicine Buddha(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 經) translated by Xuánzàng(玄奘) from Buddhist scriptures of the medicinal doctor (藥師經). In common with [Gyeongju 155](large), they are written in one line with thirty-five words. It has been also discovered that the contents of three pieces are in order of [Gyeongju 155](small), [Gyeongju 200], and [Gyeongju 10586]. Furthermore, The result of cross-checking says a letter deciphered as 完 in Gyeongju 155] (small) has turned out to be 宍, which was another letter for 肉. Similarly, old letters were used in replacement for several letters such as所. Lastly, the scripture stone owned by Suyeong Hwang has only two letters left on it, thus it is not difficult to know the title of the scripture. However, one surmise from the letters available that it is likely to be from Buddhist scriptures of the medicinal doctor(藥師經), rather than Diamond Sutra(金剛經).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